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약관의 해석 및 약관법 제8조의 부당성 기준에 관하여 - 서울고등법원 2020. 5. 20. 선고 2019누38108 판결 -

        장윤순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1 동북아법연구 Vol.15 No.1

        Seoul High Court’s 2020. 5. 20. Ruling 2019, Nu 38108 is a court’s decision to interpret and apply the concept of business according to the act on the terms and conditions and it makes clear that Booking.com is not the interested party of the accommodation contract that includes the no refund policies. With regard to this, Seoul High Court considers real communication between the interested parties on confirmation of interested parties, and makes it clear that Booking.com is not a party of the accommodation contract. However according to the details of the terms and conditions, without considering specific circumstances or willingness of each contractual party, i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possibility for understanding by average customers in an objective and straightforward manners. When interpreting whether they are the interested parties of the accommodation contract, it is sufficient to make a decision based on the items notified to customers from the terms and conditions as well as the platform from the perspectives of average customers. Especially, Seoul High Court with additional decisions, interprets the unfairness standards for Article 8 of the act on the terms and conditions and applies them specifically. The ruling is a milestone in sense that it gives an opportunities for reviewing the needs for corrective orders and the decision on unfairness of the no refunds policies made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from now on. The no refunds policy makes it impossible to get a refund as the full amount of accommodation fee is deemed to be cancellation penalty even if there is no accommodation service from the company after cancelling the accommodation contract, so it can be seen as an overly heavy penalty to the customer.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is a trade where consumers’ choices are guaranteed, the motivation of penalty, trade customs, price discounts, competition promotion factors and ripple effects in the marke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no refund polices are levying overly high penalties to customers. 서울고등법원 2020. 5. 20. 선고 2019누38108 판결은 약관법상 사업자의 개념을 해석하고 적용한 판결로서 온라인 숙박예약 서비스 플랫폼 사업자인 부킹닷컴이 환불불가조항이 포함된 숙박계약의 당사자가 아님을 분명히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서울고등법원은 당사자의 확정과 관하여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 등을 고려하여 부킹닷컴이 숙박계약의 한 쪽 당사자가 아님을 판시하였다. 그러나 약관의 내용은 개개 계약체결자의 의사나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함이 없이 평균적 고객의 이해가능성을 기준으로 하여 객관적·획일적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숙박계약의 당사자인지를 해석함에 있어서 평균적 고객의 관점에서 약관들과 플랫폼에서의 고객들에게 고지된 사항들을 기준으로 판단하면 족하다고 할 것이다. 특히 서울고등법원은 추가적 판단으로 약관법 제8조의 부당성 판단에 대한 기준을 해석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적용하였다. 본 판결은 앞으로 공정거래위원회가 환불불가조항의 부당성 판단과 시정명령의 필요성에 대해서 다시 검토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본 환불불가 조항은 고객이 숙박예약을 취소할 경우에는 숙박업체로부터 숙박서비스를 제공받지 않음에도 결제한 숙박대금 전부를 위약금으로 보아 환불받지 못하게 되므로 해당 고객에게 일견 과중한 위약금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소비자 선택의 자유가 보장되는 거래라는 점, 위약금 예정된 동기, 거래관행, 가격의 할인 정도, 경쟁촉진 요소 및 관련 시장에의 파급효과를 모두 고려하면 숙박업체들의 환불불가조항이 부당하게 과중한 위약금으로 보기 어렵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독점규제법상 사인의 권리구제방안의 도입방향

        장윤순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2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roof of damages under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is a difficult task, and that the introduction of punitive damages may be unprofitable in the case where the proof of damages is not readily available. In this regard, the necessity and objects of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for mitigation of the burden of proof and of punitive damages were investigated together with those of the introduction of an injunctive relief which is the ex-ante remedy for rights. In terms of claims for damages under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e courts upheld their position on the precedent where the burden of proof of damages from illegal acts under the Civil Code is reduced. The damages for undue collaborative acts shall be calculated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hypothetical competitive price and the cartelized price; this hypothetical competitive price is calculated using econometric techniques of an appraiser. A plaintiff bears the cost of an appraisal. If a plaintiff can hardly afford to bear a high cost of an appraisal, s/he may not sue for damages. Therefore, in the case where illegal acts have a causal relationship with damages, establishing a system for the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supplementation of the proof of damages may be necessary. This will entail accepting sampling and statistical methods with regard to the proof of damages for undue collaborative acts, as well as introducing the system of stating opinions on damages operated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Alongside with the reduction of the burden of proof of damages, the introduction of punitive damages will facilitate a more active remedy for the rights of a private person and the realization of the purpose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namely, promoting fair and free market competition for enterprisers and consumers. Moreover, the compensation system for damages is the ex-post remedy requiring the ex-ante remedy and the damages from the violation of the Act are difficult to recover after the occurrence of such damages. For these reasons, it may be necessary to introduce the injunctive relief to the Act as a legislative measure. It is reasonable that all violations of the Act, including combination of enterprises, should be subject to the injunctive relief under the Act. Exclusive jurisdiction and the system of stating opinions operated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may mak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promotion of remedy for rights of every private person. 본고에서는 독점규제법상의 손해액 증명의 어려움과 손해액 증명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도입은 실익이 적음을 밝히고 있다. 손해액 증명이 완화될 수 있는 제도와 징벌적 손해배상의 도입 필요성과 그 대상, 사전적 권리구제방법인 금지청구권의 도입 필요성과 그 대상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독점규제법상 손해배상청구의 경우 법원은 기존의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에서 손해액을 산정할 때의 증명도를 경감하는 판례의 태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부당한 공동행위에 있어서 가상의 경쟁가격을 산정하여 경쟁가격에서 담합가격을 빼는 형식으로 손해액을 산정하는데, 가상의 경쟁가격은 감정인의 계량경제학적 방식으로 계산된다. 감정인 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원고가 고액의 감정인 비용을 부담하지 못할 경우, 손해배상청구소송 제기를 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위법행위와 손해와의 인과관계가 인정된다면 손해액 증명에 관하여는 제도적으로, 실제 운용에 있어서도 보완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 방법으로 부당한 공동행위에 한해서 손해액 증명을 견본 추출방식이나 통계적 방식을 인정하는 것이고 공정거래위원회의 손해액에 관한 의견진술제도를 도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손해액의 증명이 완화되는 것과 병행하여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한다면 사인의 권리구제는 더욱 활성화되고 사업자와 소비자가 활동하는 시장에서의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의 촉진이라는 독점규제법상의 목적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손해배상제도는 사후적인 권리구제방법으로 사전적인 권리구제방법이 필요하고 독점규제법 위반으로 인한 손해는 이미 발생하고 난 후에는 그 피해를 회복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입법적으로 독점규제법상 금지청구권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독점규제법상 금지청구권은 기업결합을 포함한 모든 독점규제법 위반행위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고 전속관할과 공정거래위원회의 의견진술제도는 모든 사인의 권리구제수단의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다단계판매 규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윤순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8 No.1

        On February 17, 2012, by eliminating consumer requirements and easing retail profits, expanding the concept of multi-level marketing, many companies became multilevel marketing sellers and became subject to prior restraints and it had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the restoration of the distribution market. Especially, considering that the door-to-door sales under sponsorship are not affecting a large damage to the consumers, not violating the administrative restraints that much, and the fact that the first stage of the sponsorship allowance is not large, it is reasonable to state that door-to-door sales under sponsorship is different from multi-level marketing. However,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system of protection of multi-level marketing salespersons and the problem of costs, it is necessary to relax restraints by making a multi-level marketing salesperson registration card and a pocketbook for multi-level marketing salespersons possible by electronic document. Especially, in the current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restriction of public information just by administrative rules violates the business secrets of a multi-level marketing business entity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multi-level marketing salespersons without enough legal grounds.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closed must be specified explicitly in the legislation. In addition, the system for request for cessation of violation against consumers to Fair Trade Commission is currently not used,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e report, and for the promptness of consumer infringement relief, it is reasonable to change the system to a new system for seeking a prohibition on a court. The applicable action should be limited to the act in violation of Prohibition of Speculative Expansion of Sales Force in Article 24. Another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imposition of overburdened charges such as the purchase of goods in Article 22, Paragraph 1 of the current Act on Door-to-Door Sales and the imposition of obligations such as the collection of money such as the entry fee of Article 24 Clause 1.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imbalance of a punishment level. Along wit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in the multi-level marketing distribution market revised, in order to secure the efficiency of the pre-restraints and to clarify the criminal penalty provisions, some provisions of the Act on Door-to-Door Sales should be revised. 2012년 2월 17일 방문판매법에서 소비자요건의 삭제와 소매이익의 완화로 다단계판매의 개념을 넓힘으로써 많은 업체가 다단계판매업체가 되어 사전적 규제의 대상이 된것은 유통시장의 건전화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특히 후원방문판매는 현재소비자에 대한 피해가 크거나 행정규제 위반 정도가 큰 행태가 보이지 않는 점, 후원수당 1단계의 사행성이 크지 않는 점 등을 고려하여 후원방문판매로 다단계판매와 달리규정한 것은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다단계판매원의 보호라는 제도의 취지, 비용의 문제 등을 고려할 때 다단계판매원 등록증, 다단계판매원의 수첩을 전자문서로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규제를 완화할필요는 있다고 본다. 특히 현행 정보 공개 제도에 있어서 행정규칙으로 공개 정보 범위를 정할 수 있게 한 것은 법률상 근거 없이 다단계판매업자의 경영상 비밀과 다단계판매원의 개인정보의 침해한 것이다. 공개되는 정보의 내용에 관하여는 법령에 명시적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또한소비자 등이 공정거래위원회에 침해정지를 요청하는 제도는현재 특별히 활용되지 않고 있는 점, 신고와 다르지 않는 점, 소비자 침해 구제의 즉시성을 위하여 법원을 대상으로 하여 금지를 구하는 제도로 변경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적용대상 행위는 제24조의 사행적 판매원 확장행위 등의 금지에 위반한 행위에 한정해야 한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현행방문판매법 제22조 제1항의 재화구매 등 일정 수준이상의 부담부과행위와 제24조 제1항 제4호의 가입비 등의 금품징수 등 의무부과행위가 구별되기 어려운 점, 처벌수위의 불균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다단계판매유통시장의 양적 질적 변화와 함께 사전적 규제의 효율성을 확보하고 형사처벌규정의명확성을 위해서 방문판매법의 일부 규정은 개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제3자 정자제공형 인공수정자녀 및 혈연관계 없음이 명백한 자녀에 대한 각 친생추정 적용여부 - 대법원 2019. 10. 23. 선고 2016므2510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장윤순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연구 Vol.61 No.1

        The Supreme Court declared primally the target verdict that it applies to the regulations on Presumption as Husband's Child of the Civil Act in the case that a wife gave birth to a child by receiving a third party sperm under the consent of her husband. With an advance of technology, the verdict has a huge meaning due to concerns in varied aspects because it is not an exception that it does not apply to the presumption as a husband's child if the person in a marriage has no relation to his father.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appearance theory of the Supreme Court is not explicitly discarded as usual, even though it is clarified that it applies to the presumption as a husband's child in the case that the Supreme Court reveals the truth that the child born by his wife during the marriage has no relation to her husband in the genetic tes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should be presented in a way that it seeks specific validity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compromise legal stability. I think that it is invalid to the principle of legal interpretation if the results were admitted as exceptions by interpreting the regulations of the presumption as a husband's child against a person's will. The regulations of presumption as a husband's child do not admit the exceptions based on the detailed explanatory of pregnancy, even though it is only stipulated that children born during the marriage mean the children of their husbands. The regulations of the presumption as a husband's child interprets the fact that blood relationship that a wife in the marriage is pregnant a child applied in all cases. Also, in this case, the marriage cannot be interpreted as a “life of normal marriage” and refers to the registration of marriage. Furthermore, the benefits of granting exceptions to the presumption as a husband's child are small by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to revise the system of the presumption as a husband's child twice and the constitutional decision in the Constitutional Court's 2012Heonba357 pronouncement on March 26, 2015. Therefore, I think the previous appearance theory of the Supreme Court should be discarded.

      • KCI등재

        부당한 공동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 : 공정거래법상 성립요건과 손해액 산정을 중심으로

        장윤순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가천법학 Vol.7 No.1

        부당한 공동행위는 공정거래법이 추구하는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훼손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윤 극대화 등을 위하여 사업자들은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유혹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부당한 공동행위는 계속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한 피해는 직접구매자나 최종수요자가 입는다. 부당한 공동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는 가상의 경쟁가격이 문제되기 때문에 일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와는 달리 손해액 산정이 쉽지가 않다는 문제가 있다. 그렇다고 손해액 산정에 있어서 계량경제학적 분석결과를 맹신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생각된다. 이유는 과다한 비용, 시간의 소모, 계량경제학적 분석의 불확실성, 증거자료의 피고에로의 편중으로 인하여 그 활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사례에 따라 계량경제학적 분석 이외에도 통계적 방법, 표준시장비교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손해액을 산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타당하다. 법원은 공정거래법 제57조의 손해액 인정제도를 적극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고, 다양한 손해배상액의 산정에 관한 기준이나 공정거래위원회의 손해액 산정에 관한 의견을 구하는 방법을 입법함으로써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공동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에 있어서 손해액 입증을 원활하게 하여야 한다. Cartel damage fair and free competition that the Fair-Trade Law pursues. Nevertheless, in pursuit of profit maximization, businessmen cannot always resist the temptation to commit Cartel. The number of the section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and it is direct purchasers or final consumers who are damaged by Cartel. A claim for damages in such cases is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unlike with the claim for damages due to general illegal acts, it is not always easy to calculate the damages due to Cartel, as virtual competitive prices for them might come into question. However, it appears to be dangerous to blindly accept the results of econometric analysis in calculating damages, for the reason that it is difficult to utilize them due to excessive expenses, time consumption, uncertainty of the econometric analysis, and overemphasis on a defendant in the application of evidential data.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calculate damages in specific cases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the statistical method, the standard market comparison method, as well as the econometric analysis.Conclusively, the court should actively judge the damage recognition system provided in the Article 57 of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apply it to trial processes, and facilitate the proof of damages due to Cartel for the respective claims by enacting various criteria for calculating damages and by elaborating the methods to obtain opinions on the calculation of damages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 KCI등재

        공공조달계약과 조달청의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거래정지 조치에 관한 소고 ― 대법원 2018. 11. 29. 선고 2015두52395 판결 ―

        장윤순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41 No.1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5DU52395 decided on November 29, 2018 concluded that Director of Public Procurement Service suspending Korea On-line Marketplace Complex Shopping Mall against contract counterpart—according to the additional special terms & condition of the goods purchase contract—is an admini- strative disposition which is the subject of appeal litigation. Continuously, the Supreme Court have judged that fundamental contents are no different from the contract between private persons as it is a judicial contract signed with the opponent on equal footing set up under private party of the state, or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procurement contract. This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has acknowledged the disposition of the Director of Public Procurement Service’s consideration upon the additional special terms & condition of the goods purchase contract, a type of judicial contract. Here, the question aros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procurement contract of the state are judicial contract. The public procurement contract rather has a very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determined as the same with the contract between the private persons—like what the most specialists in administrative law suggest. The public procurement contract has the characteristic as public law of the state contract act, has the purpose of public procurement contract,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law when considering its scale. In particular, based on the difficulty of controlling the state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legal entity’s duty to explain under the Terms and Conditions Regulation Act, one of the civil special acts, it disproves the fact that public procurement contract can protect the people’s right only as a civil law (judicial) contract. To be specific, it is a great significance that Supreme Court considers the trading suspension measure of Korea On-line Marketplace Complex Shopping Mall noting the following facts: 1) the fact that regulations such as electronic procurement act effects the people’s duty and right; 2) the fact that the contract counterpart’s right should be protected more; 3) and the fact that the task of the Director of Public Procurement Service—in accordance to the principle of public law education—should be applied. Acknowledging the suspension measure of the Korea On-line Marketplace Complex Shopping Mall by the Director of Public Procurement Service as the disposition, it is believed that this decision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transparency and fairness as an influence on public procurement contract business of the people’s duty and right. 대법원 2018. 11. 29. 선고 2015두52395 판결은 조달청장이 물품구매계약 추가특수조건에 따라 계약상대자에게 행한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거래정지 조치를 항고소송의 대상인 행정처분이라고 하였다. 계속해서 대법원은 공공조달계약의 성격을 국가 등이 사경제의 주체로서 상대방과 대등한 지위에서 체결하는 사법상의 계약으로서 본질적인 내용은 사인 간의 계약과 다를 바가 없다고 판시하여 왔다. 본 대법원 판결은 조달청장이 사법상의 계약인 물품구매계약 추가특수조건에 기한 행위를 처분성을 인정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 국가 등의 공공조달계약의 성격이 사법상 계약인지 의문이 들었다. 오히려 행정법학계의 다수 의견처럼 공공조달계약이 사인간의 계약과 동일하다고 할 수 없는 중대한 특수성이 있다. 공공조달계약은 국가계약법의 공법적 성격, 공공조달계약의 목적, 그 규모 등에 비추어 공법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특히 국가 등에 대해서 민사특별법인 약관규제법상의 사업자의 설명의무가 적용하여 규제하기 어려운 점 등에 비추어 공공조달계약이 단순히 사법상의 계약으로 국민의 권익을 지킬 수 없다고 할 것이다. 특히 전자조달법 등의 규정이 국민의 권리의무에 영향을 끼지는 점, 계약상대자의 권리구제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점, 조달청장의 업무의 법치행정의 원리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대법원이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거래정지조치를 행정처분으로 보는 것이 큰 의미가 있다. 본 판결이 조달청장의 나라장터 종합쇼핑몰 거래정지 조치를 처분으로 인정함으로써 국민의 권리의무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조달계약업무에 있어서 투명성과 공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였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사내변호사의 보고의무와 의뢰인의 비밀보호특권

        장윤순(Jang, Yun Soon)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5 No.3

        변호사의 개업형태 중 새로운 변화로 사내변호사로의 진출이 많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내변호사에 대한 규정이 미비했다. 2014년 2월 24일 사내변호사의 독립성을 규정한 변호사윤리장전의 개정은 환영할 만하다. 변호사는 공공성과 독립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변호사의 공공성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공공성을 의미하므로 사내변호사도 공공성을 가지고 있다. 사내변호사는 기업과 고용관계에 있으므로 외부변호사와 비교할 때 독립성이 열위의 위치에 있다. 기업의 위법행위에 조력하지 않고 적법에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사내변호사에게 위법행위에 대한 보호조치를 할 의무를 부여해야 한다. 그렇게 되어야 사내변호사의 독립성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사내변호사의 의뢰인은 기업이므로 위법행위에 대한 보고의무는 충실의무의 일환이다. 또한 변호사와 의뢰인과의 신뢰가 보호되고 의사소통이 공개되지 않음으로서 의뢰인의 권리가 보호된다. 변호사의 존립기반은 비밀유지의무이다. 그러므로 수사의 대상이되기 전에도 사내변호사와 의뢰인의 비밀보호특권은 인정되어야 한다. 특히 사내변호사에 대한 규정을 변호사법에 포함시켜야 한다. 그러한 한 방법으로서사내변호사의 형태도 개업으로 인정할 수 있도록, 원칙적으로 법률사무소로 기업의 주소를 포함시킬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법률과 현실의 괴리를 생각해보고, 변호사법이 규정하야 할 목적이 무엇인지를 이제는 고민해야 보아야 한다. In-house lawyer is increasingly becoming a new type of law practice. Nevertheless, there are no specific regulations on in-house lawyers. In this regard, the revision of the Ethics Code of Lawyers on February 24, 2014, which stipulates the independence of in-house lawyers, is welcomed. Lawyers should maintain public nature and independence. Since lawyers’ public nature implies that their job performance is public in nature, in-house lawyers have a public nature as well. Meanwhile, as in-house lawyers have an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enterprises, in-house lawyers’ independence is at a disadvantageous position, as compared to that of outside counsel. In order to make them not to assist in enterprises’ illegal acts and follow the path of legitimacy, in-house lawyers should be granted a duty to take protective measures against illegal acts. Thereby, the independence of in-house lawyers can be reinforced. Additionally, as the clients of in-house lawyers are enterprises, such a duty to take protective measures against illegal acts is a part of the duty of loyalty. The protection of confidence and disclosure of communication between a lawyer and a client secures the client’s rights. The base of lawyers’ existence is the duty of confidentiality. Therefore, an in-house lawyer-client privilege should be accepted even before the client becomes a subject of investigation. In particular, the regulations on in-house lawyers should be included in the Attorneys-at-Law Act. One way of doing so is to include the address of an enterprise as a place of law offices in principle so as to acknowledge a form of in-house lawyers as a commencement of law practice. In conclusion, it should be stressed the gap between law and reality and the purpose of the Attorneys-at-Law Act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형사사건에 관한 성공보수금약정의 효력에 관한 연구

        장윤순(Jang, Yun-soon)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東亞法學 Vol.- No.69

        대법원이 형사사건의 성공보수약정에 관하여 민법 제103조에 위반되는 것으로 결론지은 것은 다른 나라의 입법례, 학설, 변호사의 역할, 일반국민의 법감정에 비추어 지극히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가사사건의 성공보수약정에 관하여는 대법원이 이유에 설시하지 않았으나 가사사건의 성공보수약정에 관하여 가족제도의 보장, 혼인과의 유지, 재산분할의 부양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그 효력이 부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사안에서 피고는 형사사건의 성공보수약정이 사회상규에 위반된다고것은 인식하지 못하였을지라도 적어도 사회상규에 위반한다고 판단케 하는 기초사정의 존재 즉, 의뢰인의 궁박된 상황, 성공조건의 성취와 자신의 업무와의 인과관계가 없다는 사실 등에 관한 인식은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는 민법 제103조에 대한 인식이 있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사안에서 민법 제103조가 적용되어 소급적으로 무효가 되었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사안에서 형사사건의 성공보수금약정이 무효된다라는 결론이 내려진 것은 사법신뢰에 대한 초석을 다진 것이라고 본다. 다만, 과거 형사사건의 성공보수금 약정에 관하여 무효의 장래효를 인정한 논리는 수긍하기 어렵다고 본다. The Supreme Court"s decision that the contingent fee agreements in criminal cases are violations of Article 103 of the Civil Law Code is well understandable in view of the legislative cases of other countries, relevant theories, the roles of lawyers and the general public"s view of the law. However, although the Supreme Court did not specifically mention the contingent fee agreements in family cases, it is appropriate that the effects of the contingent fee agreements in family cases be denied the consideration of a secured family system, retention of marriage, and support-related elements in the division of assets. In this case, although the defendant had not realized that the contingent fee agreements in criminal cases were against the social regulations, he did have a perception of the needy circumstances of the plaintiff at least, and of the fact that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ulfillment of the conditions of success and his work, both of which can be considered basic circumstances that are against the social regula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fendant did possess knowledge of Article 103. Therefore, in my opinion, this case should have been retroactively nullified by the application of Article 103. In this case, the decision that the contingent fee agreements in criminal cases are to be nullified will strengthen the basis of trust in the judiciary system. However, in criminal cases where the future effects of past nullification is recognized, the decision regarding the contingent fee agreements is not understandable.

      • KCI등재

        고용보험법 제70조 제2항의 해석에 관한 소고 -대법원 2021. 3. 18. 선고 2018두47264 전원합의체 판결-

        장윤순 ( Jang¸ Yun-soo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9 No.3

        대법원 2021. 3. 18. 선고 2018두47264 전원합의체 판결은 고용보험법 제70조 제2항의 수급권자가 육아휴직이 끝난 날 이후 12개월 내에 신청하여야 한다는 조항이 육아휴직급여에 관한 법률관계를 조속히 확정시키기 위한 강행규정이라고 해석한 최초의 대법원 판결이다. 대법원은 이 사건 조항에서 육아휴직급여를 지급받으려는 사람으로 하여금 일정한 기간을 준수하여야 할 의무를 부과하는 것으로 이행하는 것이 법률 문언에 충실한 해석인 점, 2011년 고용보험법 개정 결과 조문이 변경된 것은 실체적 조항과 절차적 조항의 분리일 뿐 다른 변화가 없다고 본 점, 법률관계를 조속히 확정하려는 제척기간으로 해석가능하다는 점을 논거로 하고 있다. 그러나 먼저 제척기간에 관한 형식은‘종료된 날로부터 1년이 지나면 해당 행위에 대하여 제재처분을 할 수 없다’와 같이 기간 도과의 법적 효력이 명시된 상태로 규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고용보험법 제70조 제2항은 그 효과를 규정하고 있지 않는다. 오히려 고용보험법이 육아휴직급여 수급권자로 인정받는 절차와 육아휴직급여를 지급받는 절차를 일원화하고 있어서 추상적 권리와 구체적 권리로 나누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고용보험법상 규정 형식에서 신청기간을 제척기간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오히려 법령 해석에 있어서 육아휴직급여수급권은 사회보장수급권의 성격뿐만 아니라 헌법상 재산권적 성격도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반복적인 고용보험법과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으로 인한 연혁적 해석의 결과 고용보험법 제70조 제2항은 육아휴직급여 수급권자에게 육아휴직급여 신청절차를 촉구하는 규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욱이 고용보험법 제107조 제1항의 3년의 기간이 소멸시효임은 명백한 반면 고용보험법 제70조 제2항의 기간의 법적 성격은 그 규정에서 알 수 없기 때문에 고용보험법 제70조 제2항을 훈시 규정으로 해석하는 것이 조화로운 법령 해석의 결과가 된다. 따라서 고용보험법 제70조 제2항은 남녀고용평등법에 의하여 육아휴직을 부여받은 근로자가 고용보험법상 직업안정기관의 장에 대하여 육아휴직급여 신청을 해야 육아휴직급여 지급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어 직업안정기관의 장이 수월하게 행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Supreme court 2021. 3. 18 announcement 2018Du47264 en bac decision is the first decision made by the supreme court interpreting Article 70 Paragraph 2 of Employment Insurance Act which states that the beneficiary must submit the application within 12 months of the end of childcare leave as a forced regulation for prompt legal settlement regarding childcare leave benefits. The supreme court proposes the fact that it is a valid interpretation to have the beneficiary as fulfill his or her duty as the clause obliges the beneficiary to abide by the given duration, it views the adjustment of the clause after the 2011 amendment to Employment Insurance Act is only a separation of tangible clause and procedural clause without any additional change, and the period stated within the clause can be understood as an limitation period for prompt legal settlement as its argument.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limitation periods need to be regulated with a clarification on the lapse of period by stating “Restriction on the stated action is not applicable after a year following the termination date, Employment Insurance Act Art 7 Para 2 does not stipulate its effect. As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rather combines the procedure for being approved as a beneficiary of childcare leave with the procedure for receiving the benefits, it does not differentiate the abstract right and definite right. Therefore, the application period within the current Employment Insurance Act cannot be concluded as an limitation period. Rather, the legal interpretation need to consider that right to childcare leave benefits not only has the characteristic of right to social security but also the characteristic of property rights based on the constitution. Also, based on the result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following the repeated amendment on Employment Insurance Act and Gender Equality in Employment Act, Employment Insurance Act Art 7 Para 2 can be interpreted as a regulation pressing prompt prenatal benefits application for its beneficiary. Additionally, although extinctive prescription of 3 years is apparently stated in Employment Insurance Act Art 107 Para 1, the legal characteristic of the duration stated within Employment Insurance Act Art 70 Para 2 is unspecified which lead to the conclusion that Employment Insurance Act Art 70 Para 2 be understood as a directory provision.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understand Employment Insurance Act Art 70 Para 2 as a regulation which informs that employee granted with a childcare leave based on Gender Equality in Employment Act I required to apply for prenatal benefits to the leader of employment security office to allow him or her smoother administration.

      • KCI등재

        상습범의 상습성 인정기준과 죄수판단에 대한 연구

        장윤순(Jang, Yun-so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3 江原法學 Vol.38 No.-

        상습범의 요건인 상습성은 어느 기본적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반복된 행위로 인하여 얻어진 행위자의 습벽 내지 경향이다. 상습성이 우리 형사법 상 구성요건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그 개념 자체가 모호할 뿐만 아니라 행위자의 속성이므로 상습성만을 근거로 가중처벌하는 것은 형법상 책임주의와 배치될 소지가 크다고 본다. 또한, 법률상 상습성 인정의 구체적인 기준이 없어 법을 해석ㆍ적용하는 자의 자의가 개입될 여지가 많다. 현행법상 상습성이 인정되는 경우 형사특별법에 의하여 가중하여 처벌되고 가중의 정도가 상당히 큰 편인데다가 형벌의 적정한 개별화가 곤란한 경우가 있으므로 상습성 인정은 더욱 신중하게 판단되어야 한다. 적어도 상습성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수개의 범행이 반복되고 동종범죄전과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동종범죄전과가 없는 경우에 시간적?장소적 밀접성, 범행방법의 전문화가 된 경우에 상습성을 인정하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고 본다. 상습성은 개별행위마다 나타날 수 있는 속성이고 반복된 행위를 통해 획득된 행위자의 속성이기 때문에 상습성이 인정되더라도 개별행위는 그 독자성을 잃지 않으므로 상습성을 지닌 자가 범한 개별행위는 수죄이다. 상습범을 포괄일죄로 보는 것은 단순 범죄의 죄수결정에 관한 대법원의 태도에 부합하지 않고 피해자 보호에도 취약하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상습성만 있으면 상습범을 포괄일죄라고 보는 것이 판례의 입장이다. 상습범을 포괄일죄로 보는 경우에는 상습범을 구성하는 일부범행에 대하여 공소를 제기하여 판결이 확정되면 이후에 확정판결의 기판력의 시적 범위까지 범해진 나머지 범행이 발각되더라도 기판력이 미치기 때문에 이를 처벌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대법원 2004.9.16. 선고 2001도3206 전원합의체 판결의 다수의견은 단순사기죄와 상습사기죄의 공소사실의 동일성을 인정하지 않는 방법으로 기판력을 제한하여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는 공소불가분 원칙과 일사부재리의 효력을 인정하는 현행법상 무리한 해석이고 검사의 불완전한 공소제기의 효과가 피고인에게 불이익으로 돌아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습성이 발현되는 수개의 범행이 있는 경우에는 수죄로 보아야 하고 각 범행 상호간에 동일한 보호법익이나 행위의 태양과 방법, 범의의 단일성 여부, 시간적ㆍ장소적 접속성의 요건을 충족할 때만 포괄일죄로 보아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