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울과 동경의 ‘보헤미안 씬(scene)’ 비교

        장원호(Wonho Jang)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논총 Vol.15 No.-

        최근 보헤미아(Bohemia)적 특성이 도시개발과 혁신의 동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도시혁신 연구자들은 보헤미안을 창조적 인재로 구분하면서 이들이 관습으로 둘러싸인 전통이란 달걀을 깨뜨림으로써 오믈렛과 같은 창조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보헤미안의 창조성에 관한 논의는 미국과 서유럽에서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동아시아에서는 아직 보헤미안적 지역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이 연구는 도시 씬(Urban Scene)의 개념을 사용하여 보헤미아 씬과 관련된 속성이 동아시아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울과 동경의 보헤미안 씬을 시카고와 비교하여 아시아의 보헤미안 씬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보헤미안 씬이라는 개념의 종합화를 시도하였다. 데이터 분석결과를 보면 서울의 보헤미안 지수 평균이 동경이나 시카고보다 높으나, 이를 서울이 동경이나 시카고보다 더 보헤미안적이라고 해석할 수는 없다. 시카고와 동경의 보헤미안 지수가 서울보다 낮은 이유는 지역별로 거주민들의 특색이 뚜렷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동경에서는 자기표현이나 일탈성과 같은 보헤미안적인 특징이 나타나는 구역은 그와 대치되는 개념인 근린성이나 전통성, 그리고 지역성이 높은 구역과는 엄격히 분리된다. 하지만, 서울에서는 근린지역에서도 보헤미안 씬의 성격이 나타나는 등, 보헤미안 씬만의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런 점이 서울에서 보헤미안 씬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이는 보헤미안 씬의 유인효과라는 측면에서 서울이 동경보다 낮게 나타나는 원인이 되고 있다. Bohemia is considered a core component driving innovation and urban development in the West. Many urban sociologists contend that bohemians are creative. Artists are the quintessence in the sense that breaking the eggs of tradition is a prerequisite to cooking a new omelet. The core idea seems broadly accepted by many readers and commentators in the US and Western Europe. However, many East Asian intellectuals react with puzzlement when asked what or where is the local bohemia, implying that there is none in most Asian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whether or not bohemia is absent in East Asia, using urban scene data.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Chicago to lead to incorporate Asian variations more specifically. In so doing we reassess whether the idea of bohemia should be revised or whether a new concept should be considered as Asian variations are more specifically incorporated into international theory. What is interesting from the analysis is that the mean bohemian scene scores of Seoul is higher than that of Tokyo, and even Chicago. This does not mean that Seoul is more bohemian than Tokyo and Chicago. The reason why the mean bohemian scores in Tokyo and Chicago are lower than Seoul is the differences in residential areas. In Tokyo and Chicago, the bohemian-like scenes of self-expression and transgression are (often strong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neighborliness, tradition, and localism. People pursuing these distinctive activities are in different neighborhoods. By contrast, in Seoul, all of these are more often together geographically and those scenes are positively or at least not negatively related. This makes bohemian scenes of Seoul less attractive than those of Tokyo. No correlations between bohemian scenes and apartment prices are found in Seoul, whil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bohemian scenes and land prices are found in Tokyo.

      • KCI등재

        취학 전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모-자녀 상호작용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분석

        장원호(Jang, Won-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모-자녀 상호작용이 자녀의 초등학교 저학년 학교적응에 미치는 횡·종단적 영향력을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 자료는 한국아동패널의 2014년(7차)-2016년(9차)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22.0와 AMO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초등학교로 취학하는 동안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모-자녀 상호작용은 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부부갈등과 모-자녀 상호작용의 초기치가 높을수록 3년간의 변화율은 낮았다. 셋째, 부부갈등 초기치와 모-자녀 상호작용 초기치가 높고 상호작용 변화율이 클수록,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적응력은 높았다. 넷째,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초기치는 모-자녀 상호작용 초기치를 매개로 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횡단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변화율은 모-자녀 상호작용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에 종단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원만한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해, 단기적으로 부모애착 관계를 회복하고 유지할 수 있는 환경과 장기적으로 불안정한 부모애착이 성공적인 교사 및 또래 애착관계로 전이 되도록 돕는 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tercept and the slope in maternal perception about marital conflic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on second-graders school adjustment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The 2014-2016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ere extracted and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rital conflic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decreased linearly over time while entering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higher intercept of marital conflic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lower slope in marital conflic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Third, the higher intercept of marital conflict and mother-child interaction and the greater slope of mother-child interaction were related to the high level of second-graders school adjustment; Fourth, the effect of the intercept of marital conflict on second-graders school adjustment was mediated by the intercept in mother-child interaction. The effect of the slope of marital conflict on school adjustment was also mediated by the slope in mother-child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necessity of creating an atmosphere to recover parental attachment, developing program for transition to successful teacher and peer attachment, and operating teacher learning community.

      • HOMT ; Hy Time DTD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XOMT의 확장

        장원호(Jang Won Ho),임혜정(Lim Hye Jung),박인호(Park In Ho),강현석(Kang Hyun Syug) 한국정보처리학회 199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5 No.9

        Hypermedia applications have to support a various media with time related functions that are linked with non-continuous and synchronous. Recently, HyTime(Hypermedia/Time based Structuring Language)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describe and manage hypermedia documents using HyTime by non-specialists. In this thesis, we propose a HOMT(HyTime support XOMT) scheme which is very easy to design HyTime DTD to describe the structure of hypermedia documents. HOMT scheme is contrived by extended method of XOMT(eXtended OMT) for design of SGML DTD.

      • 서울시 씬(Scenes) 지도 작성을 통한 서울 공간특성화 전략 연구

        장원호 ( Won Ho Jang ),이종열 ( Jong Yul Lee ),변미리 ( Mi Ree Buin ),( Terry Clark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연구보고서 Vol.2010 No.21

        This research focuses on applying the new concept of ``urban scene`` to the metropolitan city of Seoul. In so doing, the research draws a map of ``Seoul Scenes`` in terms of five different sub-dimensions of urban scenes:traditional, glamour, bohemian, ethnic, and global scenes. The research first describes the concept of urban scene and its importance in urban policy planning. The basic argument of the urban scene approach is that we need to put more emphasis on the consumption aspect of the city, especially on cultural consumption. Thus, the city is now a place of consumption rather than just a place of residence or produc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urban scenes, the research collects various amenity data for all of the 424 ``Dongs`` of Seoul, mainly from the Electronic Yellow Pages and the Bizzip data of the Statistics Bureau. Using ARCGIS program, the research draws five detailed scene map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 north of the Han River (so-called ``Kangbuk`` in Korean) is more traditional and the part south of the Han River (``Kangnam``) is more glamorous and global. The district of Yongsan-Gu shows the highest ethnic culture. With the scene map and Seoul Survey data, the research reviews how scenes can have influence on the values and identities of the residents. The research finds that those who live in the highest scenes, especially glamour, bohemian, and global scenes, tend to be more sensitive to cultural consumption. Finally, the research compares Seoul with three US metropolises, LA, Chicago, and New York in terms of 15 sub-dimensions of urban scenes. The 15 sub-dimensions include traditional, charismatic, utilitarian, egalitarian, individual self-expressive, exhibitionist, transgressive, formal, glamourous, neighborliness, local, ethnic, corporate, state, and rational, The results are that, first, Seoul is more traditional and less formal and charismatic than all the three US metropolises. Secondly, Seoul is less glamorous and exhibitionistic than LA and New Y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