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율주행 자동차의 발전에 따른 서비스 플렛폼의 변화

        장영은(Youngeun Jang),김원섭(Wonsup Kim)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자율 주행 자동차가 발전함에 따라 기술뿐 만 아니라 관련 서비스에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 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다루어야 할 자율 주행 자동차에 대한 관련 서비스의 이슈를 도출하고 사용자 시나리오를 예측하려고 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를 활용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 개선방안 연구

        장영은 ( Youngeun Jang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업의 방법으로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하여 교수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A대학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3학년, 4학년으로 구성된 1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수업 내용을 토대로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과정 및 내용, 결과를 대상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결론 및 제언: 첫째, 팀별 과제를 선정함에 있어서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실제 과제가 선정되어야 하고, 둘째, 과제의 주제나 범위를 선정하는데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였다. 셋째, 실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팀 과업에 대한 지도뿐 아니라 개별 학생들에 대한 지도 감독이 중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팀프로젝트 수업의 학습 성과를 위해서는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인 과제를 수행하는 경험의 가치를 인식시켜 교과목의 만족도를 높이는 교수학습 전략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teaching method that can achieve effectiveness by using capstone design as a class method for solving problems in the community for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o this end,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cess, contents, and results of applying the capstone design class to 13 students, consisting of 3rd and 4th year majors in social welfare at A univers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selecting tasks for each team, an actual task that can experience the problem-solving process should be selected, and second, efforts were needed to reflect students' opinions in selecting the topic or scope of the task. Third, in the process of solving actual community problems,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guidance for team tasks but also guidance and supervision for individual students is important. Fourth, for the learning outcomes of the team project class based on the community, a teaching-learning strategy that increases the satisfaction of the subject by recognizing the value of the experience of performing practical tasks to learners is required.

      • KCI등재

        지반강성 산정방법에 따른 해상 모노파일의 설계하중 해석

        장영은(Youngeun Jang),조삼덕(Samdeok Cho),최창호(Changho Choi)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4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5 No.9

        본 연구에서는 해상풍력발전시스템(NREL 5 MW) 하중해석을 위해 필요한 기초구조물과 해저지반간의 상호작용 모델링 방안을 모색하고, 해상풍력시스템 해석프로그램인 GH-Bladed를 활용하여 하중해석을 수행함으로 지반모델링 방법과 설계하중조건에 따른 기초구조물 설계하중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상기 하중해석 결과를 기초구조물 해석프로그램 L-Pile에 적용하여 기초구조물 단면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정리한 기초구조물 모델링 방법인 고정단, winkler spring, coupled spring모델과 설계하중조건 DLC 1.3, DLC 6.1a, DLC 6.2a의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모노파일의 단면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모든 설계하중조건에서 고정단, coupled spring 모델의 경우 모노파일의 단면이 직경 7 m, 두께 80 mm로 산정되었으며, winkler spring 모델을 적용하여 해석을 수행한 결과 모노파일의 단면이 직경 5 m, 두께 60 mm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반-기초구조물간의 상호작용 모델링 방법이 기초구조물의 설계 단면을 결정하는 하중해석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을 고려하여 해상풍력시스템 기초구조물을 설계한다면 기초구조물 설계 시 발생할 수 있는 과다?과소설계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plores methods for modeling the foundation-seabed interaction needed for the load analysis of an offshore wind energy system. It comprises the comparison study of foundation design load analyses for NREL 5 MW turbine according to various soil-foundation interaction models by conducting the load analysis with GH-Bladed, analysis software for offshore wind energy system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load analysis were applied to foundation analysis software called L-Pile to conduct a safety review of the foundation cross-section design. Differences in the cross-section of a monopile foundation were obser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xed model, winkler spring and coupled spring models, and the analysis of design load cases, including DLC 1.3, DLC 6.1a, and DLC 6.2a. Consequently, under all design load conditions,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monopile foundation cross-section were found to be 7 m and 80 mm, respectively, using the fixed and coupled spring mode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ducted using the winkler spring model showed that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monopile foundation cross-section were 5 m and 60 mm, respectively. The study found that the soil-foundation interaction modeling metho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oad analysis results, which determined the cross-section of a founda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designing an offshore wind energy system foundation taking the above impact into account would reduce the possibility of a conservative or unconservative design of the foundation.

      • KCI등재

        저격수와 의사(醫師) : 이화림의 중국 유학(留學)과 자기서사

        장영은(Jang, Youngeun)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This thesis aimed to track the ‘moving’ paths of an independence activist Lee, Hwa-Rim, and also to read Lee, Hwa-Rim’s Memoir again in the perspective of ‘study’. Lee, Hwa-Rim’s lifetime was composed of ‘study’. Lee, Hwa-Rim who was born in Pyeongyang of January 1905, worked as a kindergarten teacher in Gunsan and Cheongjin. From the moment when leaving for Shanghai in 1930 to the year when she became 95 years old in 1999, she had to endlessly ‘move’ to different places like Shanghai, Guangzhou, Nanjing, Chongqing, Guilin, Changsha, Luoyang, Taihang Mountains, Yanan, Beijing, Shenyang, Jilin, Darren, and Changchun. Instead of finding the reason why she had to move so many times from independence movement and revoluti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ason based on ‘study.’ Actually, such numerous spaces where Lee, Hwa-Rim moved were the crucial places for social interactions that enabled her to ‘study’ in various methods because those cities of East Asia in the 20th century were continuously changing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through interactions with outside. When Lee, Hwa-Rim was over 90 years old, she stopped moving any more, and then concentrated her last energy on her memoir. Even when she was “older than 90 years old, she organized her life by paying attention to big events at home and abroad”. The “narrative identity’ shown in Lee, Hwa-Rim’s Memoir reveals who she is. Lee, Hwa-Rim consistently said she was a woman who ‘moved’ to find a place for ‘studying’ in her entire life. The ideologies like national liberation and revolution were also the values that Lee, Hwa-Rim acquired from concrete actions of study. Lee, Hwa-Rim’s Memoir shows who she is and what kind of person she is. Lee, Hwa-Rim was a female revolutionist who struggled hard to match study and labor, and movement and reformation with her own life. 이 논문은 독립 운동가 이화림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한편, 『이화림 회고록』을 ‘공부’의 관점에서 재독(再讀)하고자 했다. 1905년 1월 평양에서 태어나 군산, 청진에서 유아원 교사로 근무했던 이화림이 1930년에 상하이로 떠난 이후 95세 되던 해인 1999년까지 상하이, 광저우, 난징, 충칭, 구이린, 창사, 뤄양, 타이항산, 옌안, 베이징, 선양, 지린, 다렌, 창춘 등지로 끊임없이 ‘이동’하며 살 수 밖에 없었던 원인을 독립운동과 혁명에서 찾는 대신 ‘공부’로 분석하고자 했다. 실제로 이화림이 이동했던 한국과 중국의 무수한 공간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부’를 할 수 있었던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정 장소였다. 20세기 동아시아의 도시들은 외부와의 상호작용으로 각 장소의 고유적인 특성이 끊임없이 변모 중이었기 때문이다. 이화림이 90세가 넘어 더 이상의 ‘이동’을 멈추고 마지막으로 매달린 일은 회고록 작업이었다. 저격수와 테러리스트로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시작했던 이화림은 41세에 의과대학에 진학했다. 그녀는 의사가 되어 안정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지만, 중국 공산당의 정책 연구 기관인 당교에서 공부를 지속해가며 자신의 사회적 활동 반경을 꾸준히 확장시켜 나갔다. 이화림은 회고록에서 공부로 자신의 서사적 정체성을 구축했다. 이화림은 자신이 공부 할 수 있는 곳을 찾아 평생 이동한 여성이었음을 일관되게 이야기했다. 민족 해방과 혁명 등의 이념 또한 공부라는 구체적인 행위 속에서 이화림 스스로가 획득한 가치였다. 독립운동 진영 내부의 성차별과 이념 대결, 중국 공산당 내에서 조선족 여성 의사로서 겪어야 했던 난관, 한국 전쟁과 문화대혁명의 상흔 등을 이화림은 공부를 향한 의지로 매번 극복하며, 새로운 장소로의 이동을 두려워하지 않았다. 이화림의 회고록은 그녀가 공부와 노동, 이동과 개조를 자신의 삶에서 일치시키기 위해 분투한 여성 혁명가였음을 증명한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운영 현황에 대한 고찰

        장영은 ( Youngeun J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의 아동실태와 종사자 현황 자료를 기초로 지역아동센터 운영의 종사자 측면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발행된 전국 지역아동센터 통계조사보고서의 4년간 자료를 활용하여 아동현황과 종사자 현황에 집중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운영 현황을 점검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은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는 반면, 중, 고등학생의 이용률은 꾸준히 감소를 하고 있었다. 또한 종사자들의 근무경력은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평균근무경력은 여전히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복지사들의 사회복지사 자격 비율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20% 이상의 생활복지사는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지역아동센터 운영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the aspect of workers in the operation of local children’s centers based on the data on the actual status of children and workers in regional children’s centers. To this end, the four-year data from the National Regional Children’s Center Statistical Survey Report issu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as used to examine the operation status of regional children’s centers by focusing on the status of children and workers. As a result of the study, while the number of children who use the local children’s center showed a continuous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steadily decreasing. In addition, the working experience of the workers showed an increasing trend, but the average working experience was still short. Although the percentage of social worker qualifications among living workers is showing an increasing trend, more than 20% of living workers still do not have social worker certif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a direction for improvement was proposed for the operation of regional children’s centers.

      • KCI등재

        연간 스케일링경험률의 지역분포와 차이: 지역사회건강조사 7년(2008년-2014년) 자료 분석

        장영은 ( Youngeun Jang ),이민영 ( Minyoung Lee ),박수경 ( Sukyung Park ),김연주 ( Yeunju Kim ),이가영 ( Gayeung Lee ),김춘배 ( Chunbae Kim ),김남희 ( Namhee Kim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5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9 No.3

        Objectives: The aim of this 7-year study was to examine regional differences in scaling experience rate.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on scaling experience rate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 (CHS) obtained between 2008 and 2014. The standardized frequency of scaling experience rate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and shown as a Box Plot. Using the Map Wizard for Excel 10.0, the scaling experience rate in each region was illustrat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Results: The scaling experience rate in 2008 was 18.6% and in 2014, was 34.9%. From 2008 to 2014, the annual rate of scaling experience increased approximately 1.8 times. The scaling experience appeared to form clustering on GI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caling experience rate between cities, towns, and districts. Although the scaling experience rate increased, the gap between regions seems consistent. Conclusions: The Scaling Experience rate increased annually, but regional differences did not decrease. Therefore, oral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each community should strive to improve the scaling experience rate.

      • KCI등재

        가면을 쓴 작가들 : 정지용과 이태준의 고백

        장영은(Jang, Youngeun)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이 글에서는 한국근대문학을 대표하는 모더니스트 작가인 이태준의 월북 동기를 해방기의 작가들이 처했던 냉전 질서와 연동시켜 고찰해보고자 했다. 이태준의 가장 가까운 동료이자 친구였던 정지용은 왜 서울에 머물렀는지 그리고 두 사람의 행보는 해방 이후 어떻게 달라졌는지 등의 문제들을 그들이 남긴 자기 서사를 중심으로 분석했다. 특히, 이분법적인 정치 상황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정지용이 발표할 수밖에 없었던 공개서한을 전향서로 독해하면서 이태준의 소련 기행과 월북의 연관성을 추론하고자 했다. 이태준이 소련 방문 기간 동안 고리키 문학을 동경하게 된 사건에 초점을 두고 『쏘련기행』을 재독(再讀)하는 한편 해방 전과 해방 후의 이태준 문학의 사상적 일관성 및 연속성을 강조했다. 이태준의 월북 동기는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서 분석해볼 수 있다. 우선, 문화재 애호가였던 이태준은 화폐로 모든 것이 교환 가능한 자본주의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다. 노동자가 예술가로 살 수 있고 더 나아가 예술가가 노동자로 살 수 있는 소련의 문화정책에 동의하며 이태준은 사회주의에 점차 우호적인 입장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이태준은 소련 기행에서 고리키 문학의 사회적인 영향력에 큰 감동을 받았다. 이 글에서는 이태준이 사회주의 리얼리즘 혹은 심미적 사회주의를 귀국 후 글쓰기로 실천하고자 하는 포부를 가졌음에 주목했다. 마지막으로 개인 우상화에 저항하다 숙청당하고 마는 이태준의 최후 또한 그가 해방 이전부터 견지했던 문학론의 적극적인 실천으로 해석했다. In this article, I will consider why Lee Tae-jun, a modernist writer who represents modern Korean literature, chose to go to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writers of the two Koreas had to face the Cold War order and post-colonial reality, judging that Lee Tae-jun’s decision to North Korea was also related to the Cold War, and wanted to analyze Lee Tae-jun’s literary work in conjunction with the situation of the two Koreas after liberation. The following questions will be asked to find out why Lee Tae-jun left Seoul. Also, why did Jeong Ji-yong, Lee Tae-jun’s closest literary colleague and friend stay in Seoul? I have tried to analyze the reality that the two writers had to face after liberation centered on their self-narratives. Lee Tae-jun’s motive for North Korea can be analyzed in two main ways. First of all, Lee Tae-jun, a cultural heritage lover, could be interpreted as attractive to socialism, where labor can be embodied as art, rather than capitalism, where everything can be exchanged in currency. Second, Lee Tae-jun was deeply moved by Maxim Gorky of literature in the Soviet Union’s travels and added meaning to his desire to practice socialist realism or aesthetic socialism in writing after returning Korea. In particular,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reexamine The Trip of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focusing on the events that Lee Tae-jun discovered Maxim Gorky during his visit to the Soviet Union, and to demonstrate the ideological consistency and continuity of Lee Tae-jun’s literature before and after lib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