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실내공간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장아리 ( Ah Ri Chang ),황연숙 ( Yeon Sook Hw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6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공간특성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대학도서관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도서관의 특성과 변화를 수용하고 보다 전문화되고 차별화 된 도서관 환경의 방향을 이끌 수 있도록 현재 계획되어 있는 자료실의 공간특성을 파악하여 차별화 된 계획방안이 필요하다. 사례조사를 위해 서울소재 14개 대학교의 도서관을 선정하여 현장방문과 사진촬영, 도면파악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주제자료실은 건물 진입으로부터의 접근성에 대한 배려가 개인학습을 위한 일반열람실에 비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축 및 리모델링 된 대학도서관은 주제자료실이 개인학습 및 멀티미디어 활용 등 다른 기능의 공간들과 서로 근접하도록 계획하는 특징을 보이는 곳이 많았으며, 건물의 물리적 한계로 층을 분리하여 계획하더라도 중정과 중앙계단 등을 이용해 오픈된 형태로 연계성을 높이는 사례들이 나타났다. 2)신축 및 리모델링 된 대학도서관의 경우 대학의 상징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그래픽디자인 및 색채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공용열람가구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용열람가구는 4인 또는 6인 이상의 열람책상과 열람의자로 이루어진 가구로 자료실의 열람영역에 열배치 형으로 공용열람책상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반면 1인을 위한 프라이버시 보호의 개인열람석 비중은 낮게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cademic libraries and providing basic resources for future constructions of such spaces. The sample survey selected for this study includes 14 university libraries located in Seoul. We visited the locations, took pictures, and examined the architectural plans. 1) The access to subject specialization is rather inadequate from the building entrance as compared to the general reading rooms. The university libraries that have gone through remodeling and recent construction have their subject specialization be built close to individual learning and multimedia facilities. 2) In case of university libraries that have been newly remodeled, graphic designs and color designs have been applied to emphasize the symbols of each university. 3) Most subject specialization provides public reading spaces. These spaces are formed with furniture (desks and chairs) allowing four or six or more people to sit arranged in rows.

      • KCI등재

        공공도서관 공간특성 및 청소년 이용태도 조사연구

        장아리 ( Chang Ah Ri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4 No.-

        현재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시설로의 변화를 도약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활용실태를 보면 공공도서관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획일적으로 계획된 열람공간에서 많은 시간 교과학습을 하는 경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공공도서관의 학습공간은 청소년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의 학습환경 계획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학습공간의 실태와 공간특성 현황을 파악하고 청소년 이용자의 이용특성 및 선호도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도서관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청소년 이용공간의 공간배치특성 파악과 평면분석, 청소년이용자의 공공도서관 이용특성을 연구 범위로 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현장방문을 통한 사진촬영과 도면파악을 통해 사례조사방법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의 학습공간인 자료열람실의 평면특성을 살펴보면 자료대출형의 형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료열람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성별과 학령에 따라 학습환경으로서의 공간 이용특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전반적인 공공도서관 학습공간의 이용결과로는 주로 학업관련공부를 목적으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과반수로 가장 많았으며 학습공간 이용에 있어 자료실에서의 자유로운 개인학습공간 배치 확대를 선호하였으나 이는 사례조사에서 파악된 바와 같이 현재 자료실에 열람과 개인학습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실태를 반영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learning space for adolescents in public libraries requires various forms of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learning spa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ublic libraries by investigating users’ attitude and preferenc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lan of the space used by adolescents in public libraries and investigated their attitude of using public libraries. For the investigation, we visited a public library, took pictures and identified a plan for case study and conducted a survey of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lan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space of a public library were mostly material lending types. Therefore, the space for reading materials was found to be lacking.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using attitude depending on the sex and school age of adolescents. Third, adolescents use public libraries primarily for academic work related study. They prefer to expand the free study space in the materials room. This is because there is not enough room for reading and personal learning in the current materials room.

      • KCI등재

        논문 : 대학생의 전공계열을 고려한 대학도서관 공간계획 적용요소에 관한 연구

        장아리 ( Ah Ri Chang ),황연숙 ( Yeon Sook Hw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공간요소 중요도 평가를 통해 공간계획요소를 개발하여 대학생의 전공주제를 고려한 대학도서관의 디자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이라는 특성상 대학도서관의 이용자들은 뚜렷한 전공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전공주제에 따라 학습양식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각각의 학습양식에 적합한 학습환경이 필요하며 이는 이용자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학습양식 및 전공계열에 따라 공간요소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들을 구분하여 차별화 된 자료실을 계획해야 한다. 공간요소 중요도 평가를 위해 대학생 총 143명의 설문응답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계열에 따라 공간요소 중요도 평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이공계열의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의 학생들보다 중요도 점수가 높았다. 특히 이공계열 학생들은 디자인 관련 요소에 대해 중요하게 여겼으며,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은 사회적 요소에 대해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현재 획일적으로 계획되어 있는 대학도서관 학습환경을 대학이라는 특성을 고려한 전공주제별 이용자의 관점에서 차별적인 공간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할 것이다. 도출된 공간계획요소를 평가도구로 하여 향후 대학도서관의 공간평가와 이용태도조사를 통해 전공주제에 따른 차별적인 공간모델 계획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ts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factors for subject reference libraries within academic libraries. The study will be based around the evaluation of data collected from 143 surveys carried out by students on a diverse range of undergraduate courses.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meaningful distinctions in the evaluation of importance of spatial factors across majors and departments. As a general rule, students in the natural sciences valued their spatial factors more than students in the humanities or social sciences. The former group especially appreciated design factors, whereas the latter group focused on the social aspects of their studies and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students.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the outcome of these results and allow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udy spaces, which are currently uniform, so that they may reflect the needs of each unique field of study.

      • KCI등재

        청소년의 여가실태를 고려한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요구에 관한 연구

        황연숙,장아리,임은영,Hwang, Yeon-Sook,Chang, Ah-Ri,Lim, Eun-Young 한국주거학회 2013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4 No.4

        Being able to enjoy leisure time for adolescents is a necessary activity, for it helps them relieve their anxiety and stress and develop their potential.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such spaces in the housing plans in advance and support diverse community activities. The current living spaces do not hold proper spaces and facilities for community activities appropriate for adolescents. Community facilities should be planned so as to reflect the needs of these adolescents, based on a clear survey in advance. The current study has conducted a survey to find out about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requests from adolescents on the leisure facilities their current living spaces hold. Based on this prior research, this study looks for solutions that could solve the issue at hand. The current community facilities are not convenient to support a diversity of leisure activities to the adolescents. The community facilities should be able to supplement information on the various activities put in place for the youth and widely supply the programs in demand. Furthermore, the adolescents wanted to form their own community within the facilities to practice their leisurely activities. We can safely assume that the youth's desire for more community amenities will increase for their own development.

      • KCI등재

        논문 : 청소년의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이용현황과 만족도 분석

        황연숙 ( Yeon Sook Hwang ),장아리 ( Ah Ri Chang ),김선영 ( Sun Young Kim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청소년 이용특성을 파악하고 커뮤니티 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청소년의 여가활용을 지원할 수 있는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서울및 경기소재 12개 공동주택 단지의 커뮤니티시설의 현황을 파악하여 거주청소년들의 이용특성을 분석한 결과를는 다음과 같다. 1)커뮤니티시설 이용현황은 학령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은 시설을 거의 이용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많았으나 초등학생의 경우 1시간 이내, 또는 1~3시간 이내로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학령에 따른 주이용 커뮤니티시설 종류의 x2검정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모두 실내 학습시설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중.고등학생들의 학습시설 이용률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초등학생은 실외 운동시설,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은 실내 운동시설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청소년의 커뮤니티시설만족도 조사결과 성별 및 학령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초등학생의 만족도가 다른 학령에 비해 높았고, 남학생의 만족도가 여학생 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들의 특성과 여가활동을 반영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계획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usage statues and the satisfaction of apartment community facilities in order to suggest the basis design guidelines for the youth community facilities. Due to lack of community facilities in a apartment complex, most of youth could not fully take advantages of them. The analysis of this study as follows.The result of usage at community facilities in a apartment complex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1) Mo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id not use the community facilities. Howev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d the community facilities more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y used them about less than one hour or 1~3hours. 2) The most of students were frequently used the learning facilities among others. Although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d outside sports facilities, the middle and high schoolstudents and the college students used inside sports facilities. 3)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ere high and boys` satisfaction were much higher than girls.

      • KCI등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ayout and Adolescent`s Needs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for the Adolescents

        황연숙 ( Yeon Sook Hwang ),장아리 ( Ah Ri Ch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6

        본 연구는 청소년 여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공간특성을 조사하고 청소년의 요구를 파악하여 공동주택 커뮤니티 시설의 디자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청소년기는 신체적으로, 심리적으로 매우 민감한 시기이고 이때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주거환경은 청소년의 올바른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공동주택의 단지내 커뮤니티시설을 청소년이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공동주택 내 청소년들이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시설의 종류로는 학습시설이 가장 많았고, 특히 개인학습을 위한 독서실이 많았다. 문화시설은 시설의 종류는 가장 다양하였으나 수가 적어 청소년의 다양한 여가활동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었다. 운동시설은 성인 위주의 프로그램과 이용 연령의 제한 등 문제가 있어 청소년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시설 개방이 필요하다. 어린 청소년들의 경우 다른 세대에 대한 배타적 심리가 높아 다른 세대의 커뮤니티시설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계획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청소년의 연령대별 발달특성과 심리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시설을 계획하고 디자인하여 실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The research focuses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within apartment complexes to invigorate leisure for adolescents. The objective is to survey the needs of adolescents in order to provide plans for the overall layout for the community facilities of the apartment complex.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Most community facilities for adolescents within apartment complexes were concentrated in one location. In addition, instead of being designed within an independent center, they were mostly incorporated in the lower grounds of the apartment complex. Among the community facilities, the educational facilities were the highest and number and most commonly found, especially reading rooms for individual studies. Cultural facilities were diverse in types, but few in numbers. Sports facilities is a great need for more diverse sports programs and more openness and availability when it comes to sports facilities. Younger adolescents tended to be more exclusive, psychologically, than other age ranges. They wanted to have their own community facility.

      • 청소년의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이미지 선호에 관한 연구

        황연숙(Hwang, Yeon-Sook),장아리(Chang, Ah-Ri)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1

        To vitalize leisure time for adolescents, it is above all important to provide them with the necessary leisure space they can use. A clear, exact understanding and survey of their preferences should be ascertained to promote positive development. Community facilities should directly reflect these results. This thesis examines the types of spaces and space images adolescents prefer, in order to plan an efficient and appropriate community facility reflecting their need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385 adolescents living in 12 different apartment complexes. The analysis of this thesis in terms of community facilities within the apartment complexes was categorized into: learning facilities, culture facilities, and sports facilities. The results and analysis of the survey show different emotional adjectives for each preference in the learning, culture, and indoor sports facilities. Among them, adjectives for culture facilities showed the most diversity. The image scale was designed based on the emotional adjective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distribution of each facility. Culture and sports facilities were distributed within the sphere of dynamic and soft image, whereas learning facilities were dispersed along a static and hard image area. These results in different emotional adjectives based on adolescents’ preferences should be prevalent in various areas, such as the choice of furniture, material, color, lighting, and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facilities, so as to provide appropriate and comfortable surroundings for each facility.

      • KCI등재

        청소년 감성어휘의 학령별 뇌파분석에 따른 공동주택 커뮤니티 시설 계획

        황연숙(Hwang, Yeon Sook),김주연(Kim, Ju-Yeon),장아리(Chang, Ah Ri),임은영(Lim, Eun Young),정현원(Jung, Hyun W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3 No.4

        Adolescence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development stages for the significant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a person goes through that stage. This study has surveyed communal residencies in the Seoul area and the community facilities within them and has analyzed their correlation with the adolescents` emotional reactions according to their school age.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evaluating the perceptions of teenagers towards learning, cultural, and exercise facilities. These adjectives were positioned on the IRI adjective images to obtain representative words such as “noble”, “gentle”, and ”cheerful” for the purpose of analysis. Furthermore, each representative word was assigned a color and then made into a simulation for the EEG experiment. The EEG signals of the teenagers in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indicated that EEG signal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activated compared to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nd both groups responded to the “cheerful” images with high EEG signals. Therefore, in order for community facilities within communal residencies to actively support and activate leisure and academic activities for adolescents, they have to be connected to their emotional characteristics. It is also important to minutely plan according to their school age.

      • 공동주택 청소년 커뮤니티시설의 배치 및 공간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황연숙(Hwang, Yeon-Sook /),정현원(Jung, Hyun-Won),김선영(Kim, Sun-Young),장아리(Chang, Ah-Ri)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3 No.3

        Adolescents have stro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needs, and they are constantly making efforts to learn about their surroundings in order to satisfy their curiosity. For such Adolescents, a safe and enjoyable leisure space is highly important. Leisure space used by Adolescents is an effective space for the mental stability and healthy growth of Adolesc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ommunity facility in order to nurture positive maturity of Adolescent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use of indoor youth facilities of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in relation to the facilities’ layout plans and space characteristic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door community facilities for Adolescents of apartment complexes are divided into educational facilities, leisure/cultural facilities and sports facilities and were found focused in a single location. 2) Educational facilities include reading rooms and libraries. The library must not only include space to allow reading, but must also include space in which individuals are able to use laptops and space for group use in order to provide a space for various uses. 3) Leisure/cultural facilities include lecture rooms, banquet halls, karaoke and multimedia rooms. Banquet halls, which are generally used by adults, must be open to parties for Adolescents in order to support healthy leisure activities for Adolescents. 4) Sports facilities include gyms, GX rooms and pools. Since the majority of the programs are currently for adults, various programs must become available for Adolescents to promote their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