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명 조식의 선비정신과 도덕교육

        장승희(Jang Seung He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6

        남명 조식은 16세기 퇴계․율곡과 같은 시대를 살았고 그들과 더불어 도학(道學) 선비로 불리지 만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수많은 선비들 중 남명이 선비정신의 대명사로 꼽히는 것은 그 의 실천적 의리(義理) 정신 때문이다. 남명은 경(敬)으로 내면을 수양하고 현실에서 의(義)를 실 천하고자 노력한 선비였다. 16세기 사화(士禍)의 시기에 그는 철저하게 의(義)에 근거하여 출처 를 결정하였고, 혼란한 정세에서 처사(處士)의 길을 선택하여 수기(修己)․치인(治人)의 유교 이상 을 실현하고자 했다. 1980년대 이후 남명과 그의 학파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지기 시작하였고, 2000년대 남명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져 기본적 연구는 충분히 축적되 었다고 할 수 있다. 이제 중요한 것은 현재 이루어진 이러한 성과들을 도덕교육에 어떻게 반영하 고 수용할지이다. 남명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에서 드러나는 학문과 출처관, 경의(敬義)사상을 바 탕으로 한 실천, 상소문에 드러나는 애민사상과 비판정신 등은 그의 선비정신을 구성하는 내용들 이다. 남명의 선비정신은 최소도덕의 원리에 의해 운영되는 현대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의리(義理) 를 바탕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삶의 철학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이 글은 선비정신에 초점을 두고 남명사상을 분석․정리하고, 향후 도덕교육과정 체제 구성과 교과서 집필 시 이 가운데 어떤 내용들을 포함시킬지와 그 방향성을 도덕교육적 관점에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Nammyeong(南冥) Jo Sik(曺植, 1501-1572) is named for the synonym for the seonbi with Toegye(退溪) Yi Hwang(李滉, 1501-1570) and Yulgok(栗谷) Yi Yi(李珥, 1536-1584) who lived in the 16th century. Nammyeong is too low appreciated in a valuation on his practical achievements in comparison with both Toegye Yi Hwang and Yulgok Yi Yi. One reason of underestimation is the insufficient literary works about philosophical theory. Another reason is related to political environment of four massacre of scholars which was influenced him to give up entering the service of government office in those days. It begins to pay attention to Nammyeong for the first time in the 1980's. The lively studies of Nammyeong in the 2000’s are needed as an alarm bell in the capitalism society. The studies of Nammyeong are quantitatively somewhat enough until now. However, there is no result related to moral education toda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application of study results to recent moral education. Nammyeong had never enter the service of government office his whole life in spite of several chances, but he always took a look i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had an interest in the voice of the people. He try to cultivate the inner mind with Gyeong [敬], and treat other people; outside with Yui[義]. He presents four memorials to the King about political situation with his administrative responsibilities. It clearly discovered critical cognition into political affairs in those days, the thoughts loving the people, the viewpoint of severe criticism on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educational contents up which are included in curriculum and textbook of moral education about Nammyeong. The practical life is the significant reason which Nammyeong Jo Sik is a synonym among scholars in the Chosŏn dynasty. The moral textbook writer has to considerate three matters. First, the life as a retired gentleman who holds no office and the situation of those times. Second, Gyeong[敬] and Yui[義] as a core of seonbi spirit. Three, critical cognition into political affairs and the thoughts loving the people in the memorial to the king.

      • KCI등재

        불교 지관(止觀) 명상의 윤리교육적 의미 -『대승기신론』과 원효의 지관을 중심으로-

        장승희 ( Jang Seung-h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8 윤리교육연구 Vol.0 No.50

        본 연구는 한국 불교명상의 정체성을 찾고 윤리교육의 관점에서 명상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승기신론』 및 원효의 지관(止觀) 명상에 대하여 탐구한 것이다. 최근 명상의 보편화는 긍정적이지만 명상을 마음의 안락수단이나 현실도피의 방법 등 피상적으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윤리교육의 관점에서 청소년들에게 한국명상을 소개함으로써 명상의 본질을 파악해 볼 수 있도록, 동아시아 불교에 큰 영향을 준 『대승기신론』과 한국불교사에서 지대한 영향을 준 원효의 지관명상에 주목하여 보았다. 『대승기신론』은 동아시아 불교이론 정립에 지대한 영향을 준, 대승불교 경전을 종합한 논서로 불성을 지닌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이 특징이다. 『대승기신론』의 지관명상은 기신론 전체구조와 맞물려 있으며, 중생심인 일심(一心)을 중심으로 진여문(眞如門)과 생멸문(生滅門)의 조화를 추구한다. 지(止) 명상은 진여삼매를 추구하는데, 그것은 삼매를 통하여 분별을 벗어나 진여법의 평등성에 대한 파악이 핵심이고, 관(觀) 명상은 생멸인연의 현상을 바르게 분별하여 통찰함으로써 동체 대비로 소아를 넘어 대아로 확대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토대로 찾을 수 있는 윤리교육에 주는 시사점 다섯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일심에서 드러나는 인성에 대한 긍정과 신뢰, 둘째는 진여문과 생멸문의 불일불이(不一不異)에서 드러나는 이성과 현실의 조화 추구, 셋째는 부정취(不定聚) 중생을 중심으로 한 일반인을 위한 명상 방법, 넷째는 동체대비(同體大悲)에 근거한 소아에서 대아로의 명상 지향점의 확대, 다섯째는 지관쌍운(止觀雙運)에서 드러나는 정서와 인지의 조화와 이를 통한 도덕적 실천이다. 지관명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청소년들에게 명상교육을 실시한다면, 단순히 나를 위한 명상을 넘어 타인과 공동체, 세상에 대한 관심과 수용하여 윤리적 실천으로 연계시킬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nts of the theory of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大乘起信論] and Wonhyo’s understanding in order to fin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meditation and to present a way forward. The theory of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is an essay composed of Buddhist scriptures that greatly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theories in East Asia, especially in the human mind. First, I looked at the foundation of Buddhist meditation through early Buddhist Samata and Vipassana. Despite of the universalization of meditation is positive in recent years, meditation tends to be perceived only superficially, such as the means of comfort of mind or the way of escaping reality. In order to establish of Korean meditation, from the ethical educational point of view, I paid attention to Wonhyo’s Ji-Guan[止觀] meditation. Based on this, the conclusion looked at five implications of ethical education. Firstly, positive and trust in personality revealed in the ‘one mind[一心]’, secondly, reason and present are harmony, thirdly, meditation methods for ordinary people, fourthly, expansion of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the meditation from the ego[小我] to the higher self[大我]. The last is harmony between emotion and recognition and moral practice. If we educate medit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t meditation, I hope that young people today win not simply meditate for me and link them with ethical practice by accepting and accepting interest in others, community, and world.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성(誠) 수양과 도덕교육

        장승희(Jang Seung He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5

        이 글은 다산 정약용의 성(誠)의 본질에서 수양(修養)의 내용을 파악하여 도덕교육적 시사점을 찾기 위한 것이다. 성(誠)은 유교 철학[윤리학]의 중요개념으로, 성실(誠實)․진실무망(眞實無妄)․ 정성(精誠) 등의 의미를 지닌다. 성(誠)을 중시한 학자가 많지만, 다산 정약용은 실학의 집대성자 로서 성리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천주교와 과학 등 서양학문을 받아들였으며, 원시유학의 본 질로 회귀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런 학문적 특성상 그는 성(誠)을 다양하고도 종합적으로 이해하였 다. 이 글은 두 가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하나는 개념화의 한계와 그것을 넘어서는 수양의 필요성, 하나는 현재 도덕교육 상황에서 전통교육의 현대적 적용 방법의 필요성이다. 개념(槪念) 은 학문에서 필요하고 유용하지만, 현실에서는 결핍과 소외를 조장하기도 한다. 개념적 인식은 대 상의 실제[본질] 혹은 전체 파악을 방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동양의 수양은 개념을 세우긴 하 지만 그 개념 자체에 빠지지 않고 그것을 초월 혹은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을 수반하는 특징이 있 다. 현재 전통도덕교육은 이론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장과의 연계가 쉽지 않아 단절 국면들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고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본질에 대한 재해석과 방법적 모색이 요구된 다. 하나의 개념으로서 성(誠)에 대해, 다산은 개념을 확대시켜 새롭게 해석하여 수양(修養)과 연 계시키고 있는데, 여기서 도구이성의 파괴적 성격을 극복하는 방법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다산 은 『대학』과 『중용』의 해석에서 성(誠)을 신독(愼獨)과 동일시하였다. 계신공구(戒愼恐懼)를 핵심으로 하는 성(誠)은 수양(修養)의 측면에서, 자아성찰, 덕(德)의 구현, 초월적 존재에 대한 외 경이 특징이다. 자아성찰에 초점을 둔 수신(修身)에 더하여, 그는 덕(德)의 실현을 위해 인간관계 에서의 구체적 실천을 강조하고, 나아가 외경(畏敬) 대상으로 상제천(上帝天)을 강조함으로써, 인 간은 왜 도덕적으로 살아야 하는가의 근본적 물음에 대해 성찰하게 해준다. 다산의 성(誠) 수양은, 개념에 집착하는 현대인들에게 개념을 새롭게 구성하고 개념을 넘어섬으로써 인간의 본질을 성 찰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불어 도덕교육에서 이러한 수양법으로, ‘청소년들 의 명상과 집중을 통한 자아성찰’, ‘관계성의 본질에 대한 파악을 통한 덕의 실현’, ‘초월적 존재에 대한 외경성의 함양을 통한 겸손과 공경’을 가르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by observing the essence of the moral cultivation of Sŏng(誠) in Dasan Chŏng Yagyong. Sŏng(誠) is a significant concept in the confucian philosophy. It signifies a sincerity, a truth which is not cheat, and a earnestness. Many scholars regard Sŏng(誠) as an important one among the confucianism concepts. I choose Dasan Chŏng Yagyong because he comprehensively studies the meaning of Sŏng(誠) as a compiling man of Silhak(實學). His prosecution of studies shows the critical attitude toward neo-confucianism and the reviving of original confucianism. This study starts from two critical minds. Firstly, a recognition of the limits of the conception and of the importance of the cultivation of the mind. Secondly, an application to the traditional education for now days. The conception is helpful tool for knowing something from a strictness or a efficiency viewpoint. If it exposes destructiveness of modern instrumental reason, people will suffer from a lack or alienation of mind. The conception displays not all of things but limited partial characters. East cultivation has a transcendental tendency by overcoming the limits of conception. In spite of the theoretical importance, the traditional moral education practically comes out with a gap because of a lack of the applicable methods. So It needs to re-explication the essence of the traditional moral education. Dasan Chŏng Yagyong not only re-explicates the meaning of Sŏng(誠) but also tries to deepen the cultivation of the mind. He regards Sŏng(誠) as same as Sindok(愼獨) in two books, the Doctrine of the Mean(中庸) and the Great Learning(大學). Sindok(愼獨) is the method of Sŏng(誠)’s embodiment for the moral life. The methods of cultivation of Sŏng(誠) have three aspects. Firstly, it means the moral training, a self-introspection. Secondly, it has to practice a inter-relation to gain a Dŏk(德). Thirdly, it has a feeling of awe to transcendental being, the Chŏn(天).

      • KCI등재

        교과내용학 : 음식생활에 대한 윤리적 논의와 음식윤리교육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31

        본 논문은 인간의 ‘먹음’ 행위에 대한 윤리적 논의를 바탕으로, 도덕·윤리 교과에서의 음식윤리교육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인간의 먹음 행위는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본능적 욕구와 관련된 주관적, 개인적인 것으로 그 자체는 무윤리적인 것이지만, 문화로서 음식은 정치적·경제적·종교적 영향과 역사적 변화 발전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영양학의 기본철학은 “자기가 먹은 음식이 자기가 된다.”는 것이다. 인간이 먹는 음식이 인간의 본질을 규정하고 인류문명의 미래마저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간의 ‘먹음’ 행위는 윤리적 방향성을 지니지 않을 수 없다. 오늘날 먹는 것은 어느 시대보다 풍요로워져서 하나의 즐거움이 되었지만, 이로 인해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윤리적 성찰이 요구되고 있다. 먹는 문제는 개인의 기호 차원을 넘어 건강 및 생존과 관련될 뿐 아니라 자본주의, 환경오염 등 정치·경제영역과도 관련되는 구조적·제도적으로 복잡한 사회윤리 문제라는 데서 위기의식은 더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인간의 음식생활에 대하여 윤리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문화상대주의와 어떤 관계에서 음식윤리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는지 탐구하였고, 나아가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오늘날 음식생활에서 드러나는 윤리적 문제를 분석하고, 윤리적 원리와 덕목에서 해결책을 찾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도덕 교과에서 음식윤리교육이 필요한 이유, 교육과정의 음식윤리내용,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육 방법을 찾아 보았다. 도덕·윤리 교과의 음식윤리교육은 인지적·정의적·행동적으로 통합된 ‘에코지능(Ecological Intelligence)’를 바탕으로 윤리적 소비자, 민주시민을 육성하여 미래사회의 발전적 변화를 모색하는 기틀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for food ethics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based on ethical arguments on human ``eating``. An act of eating itself is non-ethical because it is subjective and private field is related with instinctive desire. But a food as a culture has affected by politics, economy, religion, and history today. The basic principle of the science of nutrition is the food I eat makes me. That means human food has an decisive repercussions on the trait of character of human real nature what is more the direction of the future civilization. Therefore the food life needs the ethical direction. Today, the human eating changes for surviving from to essential pleasure of life. But the food life made to break out severe problems, ill health, farm products, and environmental problem menacing human right to live. The sense of crisis about eating is getting more strained by reason of a complicated connection among those problems. The eating problem is a very complex matter related to politics, economy, and social system beyond the personal taste. I research ethical problem of the food life from personal and social standpoint, and ethical principles to solve the problems with a critical mind. Then, I study food ethics education focused on contents and methods in moral subject about ecological intelligence. In conclusion, I deal with food ethics in future for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통해 나타난 유아교사의 놀이 개념과 의미

        장승희(Jang seung hee),손원경(Son won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 개념을 전반적인 경험에 비추어 알아보고 그 속에서 드러나는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2017년 4월부터 2018년 3월까지 11개월 동안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놀이 개념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자료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유아교사의 놀이의 대한 개념은 즐거움의 원천, 자유로움의 열림, 정서적 치유 · 돌봄의 에너지, 함께 어우러짐, 주체로서의 몸으로 나타났고 그 의미로는 인간의 본능, 유아가 주체가 되는 자발적 선택 , 긍정적 자화상의 형성을 위한 매개체, 실재적 발달수준으로의 성장, 세계와 소통하는 몸으로 도출되었다. 이 과정에서 유아교사들의 놀이에 대한 인식과 신념이 확고히 정립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육과정 구성 시 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이 반영된다면 유아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를 진정한 놀이로 인식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lay concep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ir overall experiences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play for them. Photovoice was used to gather dat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the concept of play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was a source of joy, opening of freedom, energy for emotional healing·care, mingling together and the body as a subject. As for the meaning, it was a human instinct, voluntary choice as a subject, medium for building a positive self-image, growth as a real developmental level, and the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the play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belief in it were firmly formulated. Therefore if the play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reflected in curriculum making,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preschoolers to view play in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early childhood as a true play

      • KCI등재

        교과교육학 :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의 본질과 인성교육의 방향 -행복담론을 중심으로-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7

        본 연구는 최근 시행을 앞두고 있는 ‘인성교육진흥법’을 분석하고, 이 법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의 본질과 ‘인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세월호 사건 이후 한국사회의 도덕성에 대한 문제제기와 대안 찾기가 활발해졌고, 그 결과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되었다. “「대한민국헌법」에 따른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하고 「교육기본법」에 따른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건전하고 올바른 인성(人性)을 갖춘 국민을 육성하여 국가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는 이 법의 목적과 방향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내면성이 특징인 인성은 법적 규제가 쉽지 않고, 법에 의한 인성교육은 자칫 국가의 통제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으며, ‘진흥’에 초점을 둘 경우는 관련 기관 간의 이권투쟁 양상으로 변질될 수 있다. ‘인성’은 동서양 문화의 차이, 다양한 학문적 접근, 용어의 특성상 정의하기 쉽지 않은 개념이지만, 하나의 개념으로서 ‘인성’은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무시할 수도 없다. 법에서는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타인·공동체·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인성으로 파악하고 있다. 필자는 이를 바탕으로 동서양 개념을 포괄하고, 인간 존엄과 가치·행복추구라는 헌법 이념을 근거로, 추구해야 할 인성으로 도덕성(관계적 자아)과 개성(주체적 자아)을 핵심요소로 추출하였다. 도덕성은 유교의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에 근거한 관계적 자아의 특성이며, 개성은 서구 민주주의에서 강조한 개인의 고유성 및 권리와 연계된다. 경쟁과 성공, 물질적 가치를 추구하는 우리 사회의 분위기를 전환하여 인성교육담론은 개인과 사회의 행복을 지향하는 행복담론이 될 필요가 있다. 행복은 누구나 추구하고 원하는 가치 지향적 개념으로, 본질과 조건,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행복에 대한 윤리적 접근인 ‘행복윤리’를 제안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ssence of the humanity and direction of the humanity education that we have to pursuit in the law for the stimulation of the humanity education. This law will take effect on and after July 21, 2015. The object of this law is to contribute to national development by building up the Korea to have sound and right humanity based on value of the constitutional law, the dignity and value of man. The humanity of people is so internal that not to be control by the law. The humanity education is inclined to degradation into the means of nation’s control. If the government stress on only promotion, the humanity education will lose the way. The concept of humanity has to considerate the demands of times and the social needs. The humanity consists of two essential elements. One is morality that confucianism concept which regards relationship self as important. The other is personality that west concept that put special emphasis on independent self. The morality is need to accord with relations among the people come from east’s confucianism concept. The concept of personality is the essential for richness of independent self based on west concept. The direction of the humanity education needs shift to happiness discussion. The concept of happiness is value oriented because everyone want happiness. Korean society focused on competition and achievement up to the present. In future, we have to pursue happiness for life of person or community. In conclusion, I suggest happiness ethics that research to essence, condition, and realization method of happiness with the ethic viewpoint.

      • KCI등재

        초기불교에서 마음의 구조와 붓다의 정서교육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39

        본 연구는 최근 정서교육담론을 성찰하고, 초기불교의 마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붓다가 행한 가르침을 정서교육 관점에서 분석하여 도덕교육적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오늘날, 정서표현의 방향성 및 기준 상실로 인하여 정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그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초기불교에서는 마음[찌따, citta]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분석하고 있는데, 마음과 마음부수의 결합 및 조합에 의한 작용과정을 매우 세밀히 분석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초기불교에서 이처럼 마음을 해체시켜 파악한 이유는 찰나생 찰나멸 하는 마음의 구조를 잘 파악하여 마음에 조종당하지 않고 마음상태를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포착함으로써 마음을 다스리고자 함이었다. 붓다는 인간의 존재적 실상을 고(苦)라고 전제하고 괴로움을 극복하여 행복에 이르는 방법을 설파하였다. 행복이라고 하는 것은 부정적 해로운 마음[不善]을 긍정적 유익한 심리[善]로 변화시켜 가능하다고 가르쳤는데, 이 가르침의 내용과 방법이 이른바 정서교육과 다르지 않다. 붓다 정서교육의 목표는 이고득락(離苦得樂), 즉 괴로움을 극복하여 행복에 이르는 것이며, 정서교육의 내용은 연기법(緣起法)과 사성제(四聖諦)를 인식하여 마음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붓다가 활용한 정서교육의 방법과 효과를 보면, 대화법을 통한 정서의 변화, 자신을 모델링으로 한 정서의 체화, 사마타 명상을 통한 정서의 안정, 위빠사나 명상을 통한 통찰지의 확립이다. 여기서 찾을 수 있는 도덕교육적 의미로는, 초기불교의 마음분석을 통한 정서교육의 가능성, 업(業)과 연기(緣起)의 원리에 따른 긍정적 정서확산의 중요성, 집중 통찰명상에 의한 정서와 통찰지의 조화의 중요성, 대기설법과 방편에 의한 도덕상담의 가능성 등을 제시할 수 있겠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moral educational meaning in Buddha’s emotion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mind in the early Buddhism. First of all I reflect on the discourse of recent emotion education. The emotion problems of today result from the loss of direction and standard of emotional expression. The cause of the this state is standardization and sensualism of capitalism culture. The early Buddhism analyses very detail by taking apart about mind and mind accompaniment(心所, cetasika). It emphasize to observe the working process of combination and union between mind and mind accompaniment. Buddha’s instruction is the attainment of deliverance by changing mind. Speaking synthetically, that is the emotional education. The aim is getting happiness by leaving anguish, the contents are the true of cause and effect and the Four Noble Truths in the Buddha’s emotional education. The educational methods and effects of Buddha are the emotion change by conversation, the emotion embodiment by modeling, the emotion stabilization by smata meditation and the emotion establishment by vipasna meditation. The moral education meanings of these are the possibility of emotional education by mind analysis, importance of emotion’s widespread by Karma operating, the balance between emotion and insight and the possibility of the moral consultation.

      • KCI등재

        괴(怪)와 "졸(拙)"로 본 추사 김정희의 철학적 인간학

        장승희 ( Seung-hee Ja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4 No.-

        본 연구는 추사 김정희의 삶과 예술, 학문과 철학을, 추사체의 특성인 ‘괴(怪)’와 ‘졸(拙)’의 개념으로 접근하고, 철학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종합한 것이다. 철학적 인간학은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통해 인간의 의미법칙과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오늘날 인간에 대한 이해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그 지평이 넓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학문의 분과로 인해 오히려 본질적인 이해가 더 어려워졌을 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문명에서 획일화되고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대사회는 철학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본질적 인간이해가 절실하다 하겠다. 추사는 성리학적 이념의 변화기인 조선후기에 실학은 물론 불교와 도가 등 다양한 사상을 수용하였고 고증학과 금석학에 일가를 이루었으며, 독서를 좋아한 유학자요 원당사찰을 둔 불자이자 추사체를 정립한 예술가이기도 하다. 인생 역시 매우 역동적이었기 때문에 다각적인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그의 삶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추사체의 특성 가운데 괴(怪)가 추사의 개성이라면, 졸(拙)은 꾸밈없고 순수한 경지로서, 두 개념은 그의 삶의 여정과 맞닿아 있다. 괴(怪)의 특성은 왕족 가문의 부유함과 천재적 재능에서 드러나는 개성과 자신감의 표현으로 여러일화에 보인다. 그러나 그의 괴(怪)는 제주 9년 유배생활 속에서 역(易)의 철학과 불교사상에 힘입어 졸(拙)로 승화되었고, 마침내 불이(不二)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추사의 철학적 인간학’은 고난과 역경을 노력과 성실로 극복한 삶, 뜨거운 인간애와 배려심, 불이적(不二的) 졸(拙)의 자세 등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그 도덕교육적 의미를 여기에서 찾아볼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ynthesis life, art, learning and philosophy of Chusa Kim Jeonghui(秋史金正喜, 1786~1856) by focusing on Goe(怪) and Jol(拙) that is distinctive feature of Chusache(秋史體) from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viewpoint.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seeks after the law of meaning and essence of human beings by questioning intrinsic problem. Today the realm of human understanding is wider than previous. But subdivision of studies in the intrinsic understanding of human is difficult, because the understanding of human in capitalism culture is standardizing. Chusa who is the scholar of Silhak of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very diversified man famous for not only epigrapher but also Chusache(秋史體) and his interesting life. If we have a right understanding of him, we would comprehend his diversified aspects, for instance as an artist, a scholar, and a natural person. Chusache(秋史體) is conceptualized by Goe(怪) and Jol(拙), the former is artistic presentation of his personality and the latter is unadorned condition of overcoming Goe(怪). Those aspects core in contact the trace of his life. The mora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his philosophical anthropology is attitude of him while overcoming the difficulty, humanity and consideration, and a modest attitude.

      • KCI등재

        현대 행복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윤리교육적 대안

        장승희 ( Jang Seunghee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2 No.1

        이 글은 긍정심리학 중심의 현대 행복담론을 성찰하고, 윤리교육적 대안을 탐색한 것이다. 긍정심리학은 긍정심리와 성격강점을 토대로 행복을 강조함으로써, 철학적 개념에 머물던 행복을 일상의 영역으로 끌어내렸고, 보통사람들의 행복추구에 기여한 바가 크다. 그러나 긍정심리 중심의 행복담론은 서구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여러 문제들을 수반하고 있다. 행복추구가 인생의 가치관 및 세계관과 연계됨을 감안하면, 윤리교육의 관점에서 행복담론에 대한 성찰이 절실하다. 한국사회는 경제적 발전으로 절대적 행복도는 상승했을지라도 비교에 의한 상대적 행복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사회구조적 자산 불평등이 행복 불평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긍정이데올로기는 역사적·문화적인 긍정성에 과학, 경제학, 의학 및 자본주의가 결합된 결과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현대 행복담론을 윤리적 관점에서 성찰해보면, 긍정심리 중심의 행복 개념의 문제, 긍정강박과 인공행복의 문제, 행복의 질과 불평등 문제로 요약할 수 있다. 행복교육을 위한 윤리교육의 대안 세 가지는, 행복추구의 방향을 동서양의 지혜를 중심에 놓고, 긍정심리와 비판적 사고의 조화를 바탕으로, 소아(小我)를 넘어 공동체로 실천적 지향을 확대시키는 것이다. 행복추구에서 개인의 심리적 위안과 만족도 중요하지만, 철학적 기반에서 행복의 본질과 관계적 의미 이해가 이루어져야 행복담론의 윤리교육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alternatives to happiness education through ethical reflections on modern happiness discourse. Positive Psychology emphasizes happiness based on a positive mind and personal strengths. Positive psychology has contributed a lot to the pursuit of happiness for ordinary people. However, happiness discourse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has caused many problems. Considering that the happiness pursuit is value-related, happiness discourse should include ethical education aspects. In Korean society, absolute happiness has risen due to economic development, but relative happiness is low. It is also a problem that inequality in social assets leads to happiness inequality. The main aspects of modern happiness discourse consist of three points. At first, the concept of happiness centralized on Positive Psychology makes problems. The compulsion in positivity and artificial happiness is also a problem. Lastly, Quality and inequality in well-being are also a problem. There are three alternatives(suggestions) related to ethical education in happiness education. Firstly, the direction of pursuing happiness should focus on harmony in life based on western-eastern wisdom. That direction also should take care of the unison of Positive Psychology and critical thinking about it. Lastly, the practical pursuit of happiness should expand from self to the community. Psychological satisfaction is significant in the pursuit of happiness, but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appiness by philosophical foundations is also counts in terms of value theory.

      • KCI등재

        아바타 패션마케팅에 따른 아바타 의복 이미지와 캐주얼 브랜드 이미지 비교 연구

        장승희(Jang Seung-Hee),이선재(Lee Sun-Jae) 한국복식학회 2005 服飾 Vol.55 No.5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bout the avatar's fashion products efficiency on casual wear advertisements to study about the effect of avatar's clothing image provided by apparel industry and to investigate about the effort of avatar's fashion product on apparel advertisement for fundamental data on the avatar's fashion marketing. Following were the summaries of the results: First,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avatar's clothing and casual brand images of nate avatar's fashion marketing, avatar's clothing image of FUBU male, female and maru male, female that is reformative, characteristical, unique and sensitive to latest fashion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FUBU and maru brand images. Therefore, consumers' higher perception on avatar's clothing image that are 'reformative', 'characteristical' and 'unique', indicated higher casual brand image perception, proving avatar's clothing image is effective in suggesting the brand. Second, in terms of advertising the avatar by clothing them with garments of each brand and comparing avatar's clothing and casual brand images, active avatar's clothing image of FUBU male, female emphasized active brand image of FUBU. However, FUBU male avatar's clothing image did not emphasize 'reformative', 'characteristical', 'cool', or 'sensitive to latest fashion' images compared to FUBU female avatar's clothing image. Also, in case of maru, 'male', 'conseuative' and 'insensitive to latest fashion' image of male avatar clothing emphasized maru brand image. Maru female's 'unpractical' ,'female' and 'characteristical' images emphasized maru brand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