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즈니스 모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상필(Sang-Phil Jang),김병조(Byoung-Jo Kim)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8 경영경제연구 Vol.40 No.1

        새롭고 급변하는 디지털경제 환경에서 국내외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에 관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 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실증 연구의 부족 등 뚜렷한 연구공백의 발견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비즈니스 모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103개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하였다. 둘째, 비즈니스 모델의 구체적인 측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효율성과 참신성을 비즈니스 모델 주제로 변수화 하였다. 셋째,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비즈니스 모델과 기업성과 사이의 직접적인 영향에 머무는 데 반해 본 연구는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까지 확장하여 실증하였다. 특히 조직학습을 단일 매개변수로 설정한 선행연구에서 한발 더 나아가 활용학습과 탐색학습으로 세분하였다. 그 결과, 비즈니스 모델은 두 주제 모두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매개변수를 통한 영향은 주로 탐색학습을 통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장지향성의 일부 요인(고객지향성)이 효율성 비즈니스 모델과 기업성과 사이에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기업성과의 제고 측면에서 기업이 선택하는 비즈니스 모델과 조직 차원에서의 학습, 그리고 조직 특성 사이에 어떠한 적합성(fit)을 도출할 수 있을지에 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Studies on business models in a new and rapidly changing digital economic environment are still at an early stag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discovery of clear research gap such as the lack of empirical studies on domestic companies. First, we examined the impact of business model on corporate performance. Second, this study presented concrete measures of business model. Third,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direct impact between business models and corporate performance. However, this study has expanded to mediating effects and moderating effects. In particular, organizational learning was divided into exploitative learning and exploratory learning. As a result, both efficiency-centered & novelty-centered business mod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mainly through exploratory organizational learning.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a factor(customer orientation) of market orientation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efficiency-centered business model and firm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suitability of business model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nhancing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business model.

      • KCI등재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e-러닝 기반 평생학습 프로그램 참여 실태 및 신규 프로그램 요구 분석

        장상필(Jang Sang Phil),이영민(Lee Young-min) 교육종합연구원 2006 교육종합연구 Vol.4 No.2

        e-러닝은 열린 교육체제를 통해 학습자에게 학습기회와 선택권을 넓혀 줌으로써 평생학습의 사회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 및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e-러닝의 특성에 기반하여 최근 여러 평생교육 기관들이 다양한 e-러닝 기반 평생학습 프로그램들을 개발․운영하고 있으나 e-러닝 기반 평생학습 프로그램들이 학습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e-러닝 기반 평생학습 프로그램 참여 실태를 수강 현황, 프로그램 만족도, 참여 장애 요인 및 신규 프로그램 개발 요구 관점에서 조사하고 분석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 모형 및 과정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연구결과 약 70%의 평생교육기관 수강생이 e-러닝의 참여경험이 있었고 주로 참여한 프로그램은 성인고등, 외국어, 정보화, 경력개발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목적은 학력보완이나 학점 취득, 직무능력 향상 등을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e-러닝 기반 평생학습의 참여 장애요인으로는 적절한 정보제시 부재나 학습시간의 부족으로 나타났고 학교평생교육시설에서 제공되는 e-러닝 기반 학습프로그램들을 수강하고자 하였다. E-learning expands the learning opportunities and selection chances of learning programs as well as meet the needs of societal demands toward the social integration and economical growth. Recently, various lifelong learning institutes and centers have been criticized for not managing programs that reflects the needs of adult learners. We, therefore,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e-learning programs for lifelong learning, program satisfaction, drawbacks of participations, and new development of programs to help managers and instructional designers develop new e-learning based lifelong learning program. In the result, about 70% learners have had chances to participate in e-learning based lifelong learning programs to get academic degree and upgrade their core competencies of their job and tasks in the domains of adult higher education, foreign languages, informatization, and career development. They had also little chance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s due to the lacks of appropriate information on e-learning based lifelong learning programs and participation time.

      • KCI등재

        주장성과 사회적 정향성이 혁신성을 매개로 초등학생의 스마트러닝 활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상필 ( Sang Phil Jang ),김지일 ( Jee Ii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스마트러닝과 같은 새로운 학습 환경에 대해 학습자들이 적극적인 활용 의도를 갖게 하는 요인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러닝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의 관계를 모형으로 수립하기 위해 주장성, 사회적 정향성이 혁신성을 매개로 스마트러닝 활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잠재평균분석(LMA)을 통해 구인된 요인들 간에 유의미한 남녀 차이가 존재하는지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여학생의 경우 사회적 정향성이 혁신성을 매개로 스마트러닝 활용의도에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잠재평균 분석을 통해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주장성이 높고, 사회적 정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에 대한 스마트러닝 활용에서 남녀 간에 다른 접근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racteristics which influence the intentions to use Smart-Learning. Based on the theory of media based learning, we analysed how learners`s characteristics would affect the intentions of Smart-Learning utilization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 of 520 grade 6 students in Seoul, Korea.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 examined how assertiveness, social desirability, and willingness to take innovative technologies (Innovativeness) would influence intentions to use Smart-Learning. The results showed social desirability via inovativeness influenced Smart-Learning intentions in only female students. Through latent mean analysis (LMA), gender differences were examined. Male students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s of assertiveness, wheres female students appeared to have higher levels of social desirability, The result imply we need to consider the gender difference intensively to gu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Smart-Learning. Female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ocial desirability and innovativeness, and with lower levels of assertiveness need to have a initiative of using Smart-Learning.

      • KCI등재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GLAS 유형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효과

        김지일,장상필,Kim, Jee-Il,Jang, Sang-Phil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LAS(Guided-Learner Adaptable Scaffolding) strategies i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considering GLAS types were developed. 93 sixth graders were selected from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they learned in the web-based system for 4 week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mpact of scaffolding on transfer of learning, cognitive overload by reflective scaffolding, learning motivation affected intrinsic scaffolding.

      • KCI등재

        웹 기반 학습 시스템에 적합한 형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이영민,장상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3 No.1

        It is said that traditional formative evaluation method does not fit in web based learning system because of inefficiency and improper data collecting techniques.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alternative formative evaluation method fit in web based learning system. In alternative evaluation, Participant, data collecting techniques and data are different from each web based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s a conclusion, this alternative evaluation method may promote effectiveness and quality of web based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