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白雲 沈大允의 『儀禮正論』에 대한 小考 - 19세기의 禮 本義의 주요 관점 제안과 관련하여-

        장병한 동양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Baekun Sim Dae-yun (1806〜1872,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ekun), who lived in the early and mid 19th century, authored Uirye jeongnon (Right Theory on Rites) associated with Three Rites, which is a new right theory of on rites from the viewpoint of the study on Chinese classics, which embraces esteem and respect on the basis of worshiping the king and respecting subjects. Baekun realized that the existing rites, practiced as classical rites, were manipulated in the process of transfer due to scholars' falsehood and errors. He then tried to correct these errors, to reestablish the rites for the preceding king, and thus to establish them as the foundation for governing the state and for assessing commoners' blisses and woes. Baekun proposes the spirit of rites of the 19th centur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right theory on rites. First, shifting from the complex procedures and formalities that we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people's status in the past, he proposes unified and simplified principles of rites under which rites are not differentiated according to low or high status of people. Second, shifting from the past strict spirit of respecting in rites, namely, from the excessively authoritative or rigid rites, he emphasizes the combination of respecting and harmony. Third, he criticizes the empty formalities and vanity of the 19th century, and abnormal divine propensity of rites, he proposes a fundamental measure, which emphasizes humanism-based human rites, human knowledge, and people emotion and practicality. This spirit of Baekun's Uirye jeongnon is deemed to be a bridge in the development of the mental system of subsequent 20th century early modern and modern rite studies, namely, non-class, practicality, usefulness, and simplicity. 19세기 초ㆍ중반에 걸쳐 살았던 白雲 沈大允(1806〜1872, 이하 ‘백운’으로 지칭함)의 三禮관련 저술서인 儀禮正論은 崇君과 尊君의 정신에 근거한 崇經과 尊經의 경학 입장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면서 기존에 禮經으로 통행되고 있던 儀禮가 그 전승과정에서 학자들의 거짓과 착오에 의하여 저작된 것임을 진단하고, 과거 鄭玄이 劉向의 別錄에서 제정한 통행본 의례17편의 차서에 따라 저자의 새로운 의례의 정론을 전개하였다. 백운은 이를 통해 잃어버린 선왕의 예를 재정립하여, 국가의 治亂과 백성들의 禍福의 근거로 삼기를 희망했다. 먼저 <상복>편을 제외한 16편은 각 편의 서두에서 그 편의 의례와 관련한 대의를 밝히고, 기존의 예경으로 통하는 예기ㆍ의례를 비롯한 각종 경전을 근간으로 하여 의례를 재구성하고 있다. 그러면서 기존의 鄭玄의 주석 체계에 대한 비판과 변석을 가하고 있으며, 이전 오랫동안 예의 통설로 통해 왔던 주자의 주자가례에 대한 비판과 변정도 아울러 전개하고 있다. <상복>편에서는 기존의 정설로 통하고 있던 子夏傳의 저작설에 회의하고, 혹자의 錯亂說을 제안하였다. 그 서술전개는 경문과 전문을 章句別로 서술하고 자신의 정론은 疏에서 밝히고 있다. 여기 疏에서는 상복의 경문과 전문의 眞僞를 변별하고, 이에 대한 경전적 근거로서 禮記ㆍ書經ㆍ公羊傳 등을 제시한다. 그러면서 賈公彦의 疏에 대해서도 그 是非를 분간하고 이에 대한 변정 또한 가하고 있다. 백운은 여기 의례의 정론에서 19세기의 주요한 예 본의 정신 몇 가지를 제안하고 있다. 첫째 : 과거 특정 신분 중심의 의례인 「士禮」편들을 거짓으로 조작된 것으로 규정하는 동시에, 신분의 차별에 따른 예의 절차나 형식을 달리한 번거로움에서 탈피하여, 신분의 귀천에 따른 차별이 없다는 원칙에 따른 통일된 예의 원칙과 간이성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 이전 예의 엄격한 尊尊의 정신 즉 分殊論에 매몰되어 예의 질서가 지나치게 권위화 또는 경직화 된 것에서 벗어나, 尊尊[分]과 親親[和]의 병행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 19세기 당시 禮俗의 허례허식 및 奇異한 神道로의 경향성을 비판하고, 이에 대한 극복책의 일환으로 인본주의에 근거한 人禮와 人知, 民의 情緖와 實利를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백운의 의례정론의 주요 정신 체계 즉 ‘士 중심의 의례관 부정’, ‘신분의 귀천과 고하에 따른 무차별성’, ‘分과 和의 병행성’, ‘사람과 인간 知性의 강조’, ‘庶民의 情緖와 實利의 중요성 자각’ 등은 이전 의례의 통행본인 의례의 煩雜性’과 주자가례의 士禮 중심주의를 탈피하고 있다는 것에서 뿐만 아니라, 19세기 당시 過禮ㆍ過分의 虛禮虛飾과 지나친 형식주의적인 예 질서 체계를 개선하려는 저자의 현실인식이 반영된, 즉 19세기 예학 질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저술적 의의를 가늠할 수 있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정약용의 경학관과 경세학의 기저 : ' 공평사상 ' 을 중심으로 focused on " The idea of fairness "

        장병한 한국한문학회 2000 韓國漢文學硏究 Vol.25 No.-

        As we have mentioned above, there is "Fairness, Impartiality, and Equality" in the basis of "Views of Chinese Classics" and "The study of managing a state or world" by Jeong Yak Yong. From this idea, we can understand that, in completing the pursuit of learning method - "Cultivating one's mind" and "Ruling people" which is the ideal of Confucian scholar, Jeong Yak Yong (Dha-San) thought of the idea "Fairness, Impartiality, and Equality" as the most important. When we consider historical meaning of "Equal View of Chinese Classics" and "Learning of Managing a State", we had better rule out certain prejudice or preconception on comments and commentators. Only when we translate the Classical Canon in an equal view, we can reach the absolute or right truth. This equal view of Chinese Classics is related to the learning method of practical science or realism. And that idea is the same as that of Kwon Deuk Gi (Man-Hwoe). Later, that idea was ahead of their times. In other words, pioneering view of Chinese Classics led by Kim Jeong Hee (Chu-Sa) is in relation with the idea.In the past, many scholars regarded society as utterly rotten. And in order to improve this phenomenon, they thought that equality and fairness was on the basis of national administration and relief. Such an idea was related to that of Yul-Gok (Lee-Yee), who asserted "Let's clean the government by taking good and talented men into government service". The equal view of Chinese Classics by Jeong Yak Yong began from the strong willpower of ruling out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a fixed idea. The most important part of his idea is to improve contradictional organism of society. The idea of Jeong Yak Yong may be in connection with that of "Fair Policy" led by Yeong Jo and Jeong Jo, who are kings of Cho-Sun Dynasty. That idea took an important role in breaking many symptoms of the last stage in the 19th century's feudalism Doctor Lee Woo Sung said, "The freedom of thought can't be made in a moment By translating the Chinese Canon in a new method, so many fixed ideas will be liberated." We also hereby certify that the equal view of Chinese Classics and managing a state by Jeong Yak Yong is one part of practical science or realis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