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세기 고구려의 영남 북부 지역 지배에 관한 새로운 접근 - 영남 북부 ‘本 高句麗 郡縣’ 기록의 이해 -

        장병진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2 No.-

        The traces of Koguryo's domination left in the northern part of Yeongnam(嶺南) were approached anew with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powers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and the dynamics of the political forces located in the surrounding area in min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is simply an error to record that some counties and prefectures in the northern part of Yeongnam were originally Koguryo provinces in the Geography section of 『Samguk Sagi(三國史記)』. It is understood that the record reflects its own historicality. During the Maripgan period, Silla was expanding its political influence throughout the Yeongnam region, but it did not completely overwhelm the local community. In some regions, the foundation for domination inherent in indigenous society was still intact, and it was a flexible situation that could break away from the Silla-centered political network at any time. In this situation, the Silla state faced a crisis, and Koguryo troops came over Jukryeong(竹嶺) to save Silla. The emergence of new power that overwhelms the existing Silla power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structure of power in the Yeongnam region. Although Koguryo troops did not directly exploit each region of Yeongnam, some local groups on the path of Koguryo troops’ entry sought to break away from the Silla-centered political network and subjugate to Koguryo. It is also confirmed that Koguryo identified the residents of the area to which it belonged and mobilized them for labor. The memory that some of the Silla counties and prefectures in the northern part of Yeongnam were ruled by Koguryo in the past was established in this background. 영남 북부에 남겨진 고구려 지배의 흔적을 4~5세기 두 권력이 교차하는 경계, 주변부에 자리한 정치 세력들의 역동성을 염두에 두고 새롭게 접근해 보았다. 『삼국사기』 지리지에서 영남 북부의 일부 군현을 ‘본 고구려 군현’이라고 기록한 것을 단순한 두찬으로 넘기기에는 석연치 않다. 이 글에서는 나름의 역사성이 반영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마립간기 신라는 영남 지역 전역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해갔지만, 지역사회를 완전히 압도하지는 못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토착 사회 고유의 지배 기반이 온존했고, 언제라도 신라 중심의 정치적 관계망에서 이탈할 수 있는 유동적인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라 국가가 위기를 맞고, 고구려군이 신라를 구원하기 위해 죽령 너머로 들어오게 되었다. 기존 신라의 권력을 압도하는 새로운 권력의 출현은 영남 지역의 세력 구도에 변화를 가져왔다. 고구려군이 영남의 각 지역을 직접 공략한 것은 아니었지만, 고구려군의 진출로 주변의 일부 지역 집단들이 신라 중심의 정치적 관계망에서 이탈해 스스로 고구려에 복속해 온 것이다. 고구려는 새로 귀속된 지역의 주민들을 ‘民’ 과 같이 파악했고, 현지 지배층은 이제 신라가 아닌 고구려에 인적, 물적 자원을 공급했다. 영남 북부의 신라군현 가운데 일부가 과거 고구려의 지배를 받았다는 기억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성립했다.

      • KCI등재
      • KCI등재

        임둔․진번군의 치폐와 위치에 관한 재논의

        장병진 고조선단군학회 2022 고조선단군학 Vol.47 No.-

        When the Han(漢) Dynasty established the commanderies(郡) and prefectures(縣) on the old land of Old-Joseon(古朝鮮), Imdun Commandery(臨屯郡) and Jinbeon Commandery(眞番郡) were also established. This is because Jinbeon and Imdun were included in Old-Joseon. However, Jinbeon Commandery and Imdun Commandery were abolished only 20 years after their establishment, and some of the remaining prefectures were reorganized into Nakrang Commandery(樂浪郡) and Hyundo Commandery(玄菟郡). Since the Imdun Commandery and Jinbeon Commandery areas were connected to Yodong Commandery(遼東郡) only through Hyundo Commandery or Nakrang Commandery, it was burdensome to operate the commandery separately in terms of efficiency and cost of control. Dongyi Prefecture(東暆縣), where the commandery office of Imdun Commandery was located, was located in the south of the seven prefectures of Yeongdong(嶺東). Except for Bujo Prefecture(夫租縣), the six prefectures in Yeongdong are understood as remnants of Imdun Commandery. Imdun Commandery was established covering the Yeongdong and Yeongseo(嶺西) area, and some of the prefectures included in the third district of 「Census register wooden tablet of Nakrang Commandery」 may have originally belonged to Imdun Commandery. Dongyi Prefecture was suitable as the location of the commandery office in Imdun Commandery as the center of the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Yeongseo and Yeongdong. Until now, the discussion that the location of Jinbeon Commandery was located in the south of Nakrang Commandery was considered an ironclad idea. However, the historical materials that were presented as conclusive arguments had low credibility or errors in interpretation. Accordingly, the historical materials were reinterpreted and the location of Jinbeon Commandery was newly determined. The range of Jinbeon Commandery ranged from both sides of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Aprok River(鴨綠江) to the Cheongcheon River(淸川江) basin. It is not clear whether it covers the west coast. However, at least Seogaema Prefecture(西蓋馬縣) in the northeast and Paesu Prefecture(浿水縣) in the south can be used as criteria for setting the range of Jinbeon Commandery. 漢이 고조선 故地를 군현으로 재편하면서 임둔군과 진번군을 설치한 것은 해당 지역을 고조선의 일부라고 인식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임둔군과 진번군은 설치 후 불과 20여 년 만에 폐지되고, 잔현의 일부는 낙랑군과 현도군 소속으로 재편되었다. 임둔군과 진번군은 현도군이나 낙랑군을 거쳐야만 요동군과 연결되는 지역이었기 때문에 지배의 효율성이나 비용의 측면에서 郡을 따로 운영하기에 부담이 컸다. 임둔군의 수현 동이현은 영동 7현 가운데 남부에 자리한 현이었다. 부조현을 제외한 영동의 6현은 임둔군의 잔현으로 이해된다. 애초 임둔군은 영동 지역 외에 영서 지역까지 아우르며 설치되었는데, 「낙랑군 호구부」에서 3구역으로 구분된 현 중 일부가 본래 임둔군의 속현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동이현은 영서와 영동을 연결하는 교통로의 거점으로 임둔군의 수현으로 기능하기에 적합했다. 그동안 진번군의 위치를 두고 낙랑군의 남쪽에 자리했다는 논의가 철안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결정적인 논거로 제시되었던 사료는 그 신빙성이 낮거나, 해석상 오류가 있었다. 이에 관련 사료를 재해석해서 진번군의 위치를 새롭게 비정했다. 진번군은 압록강 중하류의 양안에서 청천강 유역에 이르는 지역에 걸쳐 설치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 서쪽 해안까지 포괄했는지는 분명히 알 수 없지만, 적어도 동북쪽으로 서개마현(현도군)과 남쪽으로 패수현(낙랑군)을 진번군의 범위를 설정하는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 KCI등재

        고구려의 대방 지역 진출과 영역화 과정

        장병진 고구려발해학회 2020 고구려발해연구 Vol.68 No.-

        In the early 4th century, Koguryo had completely driven out the Chinese commanderies that had been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fall of Gojoseon. Koguryo had already attacked the Nakrang area since the 1st century, and attempted to reach the Daebang area beyond the Daedong River at the end of the 3rd century. And finally, when King Micheon reigned, they absorbed the old land of Nakrang and Daebang commanderies into their territory. Previous studies have understood that Koguryo dominated the old land of Nakrang and Daebang commanderies in a similar way. However, there were many differences between Nakrang and Daebang areas, including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the process of being subjugated by Koguryo, and the way Koguryo ruled the two regions. With the advance of Koguryo, the Nakrang commandery was weakened relatively early, and the governing organization was disbanded. On the other hand, since its establishment by the Gongsun regime, the Daebang commandery restored the governing order, and until relatively late, the commandery system has remained smooth. This difference has also led to differences in the way Koguryo ruled after taking over the two commanderies. After Goguryeo advanced into the two regions, the Nakrang region was actively reorganized, while the Daebang region dominated by utilizing the existing base and governing order. The differences in cultural aspects appearing in the Nakrang area and the Daebang area can also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is background. 4세기 초, 고조선 故地에 漢 군현이 처음 설치된 이래로 400여 년 동안 한반도 서북부에 남아있었던 중국군현 세력은 고구려에 의해 요동의 바깥으로 완전히 축출되었다. 고구려는 이미 1세기 무렵부터 낙랑군 지역을 공략했으며, 3세기 말에는 대동강 너머의 대방군 지역까지 진출하려고 시도했다. 그리고 마침내 미천왕대에 이르러 낙랑ㆍ대방군의 옛 땅을 자신들의 영토로 흡수했다. 고구려가 낙랑군과 대방군을 축출하고, 해당지역을 지배한 방식에 대해서는 일률적으로 파악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낙랑군과 대방군은 설치 배경에서부터 고구려에 의해 복속되는 과정, 이후의 지배방식에 이르w기까지 여러 차이가 있었다. 낙랑군은 비교적 일찍부터 고구려의 진출로 영향력이 축소되고, 군현의 통치조직도 와해되었다. 반면 대방군은 공손씨에의해 분치된 이후 군현의 질서를 상당히 회복하였고, 비교적 늦게까지 군현체제가 원만하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고구려가 2군 고지를 지배하는 방식에도 차이를 가져왔다. 낙랑군 고지는 적극적인 재편이 시도되었다면, 대방군 고지에서는 새로운 통치 거점을 개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기존의 지배 질서를 용인하는 이중적인 모습이 확인된다. 군현 축출 전후로 확인되는 낙랑군 지역과 대방군 지역 문화 양상의 차이도 이러한배경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 KCI등재

        최근 소개된 두 건의 고구려 유민 묘지명 자료 -「李仁晦 墓誌銘」, 「太夫人 泉氏 墓誌銘」-

        장병진 백산학회 2023 白山學報 Vol.- No.127

        2022년 중국에서 고구려 유민의 묘지명 자료 두 건이 새롭게 소개되었다. 「이인회 묘지명」과 「태부인 천씨 묘지명」이 그것이다. 이인회는 요양인으로 그 가문은 요서, 요동 일대의 세족이었다. 선대가 당의 고구려 고지 지배에 직접적으로 참여했고, 당의 고구려 침공에 직접 참여했을 가능성도 높아보인다. 다만 직접적으로 고구려 출신이라고 파악하는 것에는 좀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태부인 천씨는 천현은의 딸이다. 묘지명에 따르면, 묘주 천씨 부인은 천헌성의 증손녀이라고 하는데, 가문의 세계가 기존의 자료와 차이를 보여 의문을 던진다. 기존의 자료에서 헌성과 현은이 부자관계였던 것과 달리, 천씨 부인의 묘지명에서는 헌성과 현은이 조손 관계로 나타난다. 또 부인의 조부 동제는 그동안 알려진 천씨 가문 관련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인물이다. 정보의 혼란이 발생한배경을 밝히는 것은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In 2022, two new epitaph materials for Koguryo refugees were introduced in China. These are The epitaph of Lee Inhoe and the epitaph of Mrs. Cheon. Lee Inhoe was a man of Liaoyang and his family was a powerful family from the Liaoxi and Liaodong areas. Lee Inhoe's ancestors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Tang's control of Koguryo's old lands, and most likely participated in the Tang's invasion of Koguryo before that. However, it seems that a more cautious approach is needed to directly identify them as being from Koguryo. According to the epitaph of Mrs. Cheon, Mrs. Cheon is the daughter of Cheon Hyuneun and the great-granddaughter of Cheon Heonsung. However, the genealogy of the family differs from the existing data, raising questions. Unlike the existing data showing that Heonsung and Hyuneun were in a father-son relationship, in the epitaph of Mrs. Cheon, Heonsung and Hyuneun appear in a grand-grandson relationship. In addition, her grandfather, Dongje, is a person who has not been confirmed in any known materials related to the Cheon family. Unraveling the background of information confusion will be a future task.

      • KCI우수등재

        유득공의 역사 인식과 사군지

        장병진 한국사연구회 2023 한국사연구 Vol.- No.201

        본 연구는 유득공의 역사 인식과 역사 서술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유득공이 실질적인 역사서로 자부한 『사군지』를 저술한 것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그는 자국사를 계통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어서 한사군의 역사를 온전히 정리하는 것이 관건이 된다고 생각했다. 그는 기자의 영토와 제도를 고구려에 주목하고, 고구려를 직접 계승한 발해를 자국사에 포함시키기 위한 논리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발해고 를 저술했다. 다만 자국사의 북방적 흐름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발해를 자신사의 범주에서 파악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했다. 특히 기자에 대한 존숭이 강화되는 현실에서 ‘마한정통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에 버금가는 새로운 논리를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유득공은 주나라에 대한 기자의 수봉과 조주를 인정하고 있었다. 그는 한나라가 한사군을 설치한 것이 옛 삼대의 영토를 회복한 것이라고 이해했다. 그리고 중원에서 영가의 난 이후에 유교적 보편 문명이 단절된 반면, 한사군 지역은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으로 연결되어 문명이 지속되었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과거 역사는 당시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가 중원을 차지하면서 유일한 문명으로 조선이 남은 상황과 비슷하다고 이해했다. 유득공이 유교 문명의 계승을 중시하면서 자국 역사의 계통을 수립하려는 노력 속에서 한사군의 역사를 정리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였다. 유득공이 북방을 중심으로 자국사의 정통을 세우려는 논의에서 한사군 문제는 기자 못지않게 중요했다. 그가 역사책으로서 사군지 를 저술했던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었다.

      • KCI등재

        고구려본기의 부여 관계 기사와 ‘동부여’의 실체

        장병진 한국사학회 2019 史學硏究 Vol.0 No.136

        This article is to review whether the record of East Buyeo in Samguksagi Koguryobongi has been changed later. In the early days of Koguryo, there was a historical entity that can be called East Buyeo. It is natural to understand records of Buyeo in Koguryobongi as a relationship with East Buyeo. Since its early days, Koguryo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East Buyeo and achieved political growth. This attitude of Koguryo provided the circumstance in which North Buyeo showed hostility toward Koguryo, and led to a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existence of East Buyeo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guryo and East Buyeo are confirmed as fact, it is questionable to believe the Koguryo's founding myth also as a historical fact. The Koguryo's founding myth went through the stages of change until it had a present structure. The early Gyerubu royal family justified the founding of the kingdom and emphasized the sanctity of the kingship asserting that they had succeeded Dongmyeong of Buyeo. Then, the genealogy of the founding father changed to connect Heaven and Habaek. The change is a result of the Koguryo royal family’s acceptance of the founding myth of East Buyeo, who had been closely related to East Buyeo. Until the Koguryo royal family gave Jumong a sacred status of Dongmyeong and they completed the founding myth with the structure of Dongmyeong myth, for some time, there was a perception that Jumong was the son of heaven and the grandson of Habaek and inherited Dongmyeong. 이 글에서는 『三國史記』 고구려본기의 동부여 관계 기사가 후대에 변개된 것인지를 재검토하였다. 고구려 초기에 이미 동부여라고 부를 수 있는 역사적 실체가 존재하고 있었다. 고구려본기의 부여 관계 기사들은 내용 그대로 동부여와의 관계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고구려는 일찍이 동부여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국가적 성장을 이루었고, 이러한 고구려의 동향은 길림 방면을 중심으로 발전한 (북)부여가 고구려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충돌하는 배경이 되었다. 한편 동부여의 실재, 고구려와 동부여의 관계를 규명하였더라도 고구려 건국설화의 내용을 역사적 사실로 믿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고구려 건국설화는 현전하는 구조를 갖추기까지 단계적 변화를 거쳤다. 초기 계루부 왕실은 부여 동명을 계승하였음을 내세우면서 건국을 정당화하고, 왕권의 신성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다가 시조의 계보를 천제와 하백으로 분식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일찍이 동부여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고구려 왕실이 동부여의 건국 전승을 수용한 결과이다. 최종적으로 고구려가 시조 주몽에게 동명의 위상을 부여하고 동명형의 건국설화를 완성하기까지 고구려 시조가 천제자이자, 하백의 외손이라는 인식과 동명을 계승하였다는 인식은 한동안 병존하였다.

      • KCI등재

        백제 부여풍 후손의 행적에 관한 새 자료 - 조인본, 부여씨 부부의 묘지명 -

        장병진 한국역사연구회 2022 역사와 현실 Vol.- No.123

        An epitaph that was found from a tomb where both Jo In-bon(趙因本, ZhàoYīnbĕn) and his wife Madame Buyeo(扶餘氏) were buried together, serves as anew historical material that could shed some light on the lives of Buyeo Pung(扶餘豐) and his descendants which we previously did not really know verywell. The epitaph refers to Buyeo Pung as ‘Daebang Taeja(帶方太子),’ stating inno uncertain terms that he was the son of King Euija of Baekje(義慈王). In thatregard this material is certainly worth scrutinizing, as the academic communityhas been deb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Euija and Buyeo Pung, andthe identity of the last crown prince(太子) of Baekje for a very long time. It is believed that Buyeo Pung was sent to the Wae(倭) Japan by his fatherKing Euija. Therefore Buyeo Pung’s daughter, Madame Buyeo, must have beenborn in Japan and only came to the late Baekje territory when her father BuyeoPung returned there for the Buyeo Resurrection movement. After his troops’defeat at the Baek-gang river(白江) battle Buyeo Pung reportedly fled toGoguryeo, but his daughter seems to have remained at the Ju’ryu-seong(周留城)fortress before surrendering to the Dang forces and ending up in China. Theepitaph reveals details of her life in Dang China, which seems to have been aturbulent one 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is epitaph. The epitaph also lets us know the marital relationships that were establishedamong Buyeo Pung’s descendants. Jo In-bon, who married Madame Buyeo, wasa person who joined Dang and helped Dang in its war efforts against Goguryeoand Baekje. His ancestors like Zhào Chāozōng(趙超宗) and Zhào Jiǒng(趙煚)are also listed in Chinese history book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MadameBuyeo’s daughter, the grand daughter of Buyeo Pung, married Yuan Qianyao(源乾曜), who was a governmental minister during Dang Xuánzōng(玄宗)’sreign, and Madame Buyeo’s grandson (her daughter’s son) Yuán Qing(源淸)was the son-in-law of Emperor Xuánzōng himself. All these relationships shouldbe examined further, with the fact that Buyeo Yung(扶餘隆)’s descendants toohad marital relationships with the Dang royal family taken into account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