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朝鮮初期의 宗學

        張炳仁 釜山敎育大學 1985 부산교육대학 논문집 Vol.21 No.1

        Since the Koryo dynasty, the Royal family so called "Chong Chin"(宗親) has been excluded from the national formal educational system. However, the royal family's education could not be neglected during the early Choson dynasty due to the impact of confucianism and great expansion of education. Thus, Chong Hak(宗學) was established as an educational organization for the royal family in the era of Sejong(世宗) because of the drastic progress of the whole social structure. Historically ChongHak was the first educational organization only for the royal family. There was a practical purpose for Chong Hak to be established. Chong Bu Si(宗簿寺) came about as an authority exercising body over Chong Chin because of social disruption brought about by the Chong Chin, who were discontent with the condition that they were restrained from holding any governing official posts under the rule called "Chong Chin Bul Im I Sa"(宗親不任以事). The education of confucionism at Chong Hak also directly helped to maintain civil order during this event. During the Choson dynasty the education of Chong Chin was not effective, for the common scholars' belief for pursuing education was to obtain a governing post, which was limited to Chong Chin at this period. Therefore, Chong Hak was ceased under Yeon Sak Kun(燕山君) rule. Thereafter, it went through several stages, but it eventually extincted in the early 18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중기 이후 국왕의 혼례형태의 변화 -별궁의 운영과 ‘別宮親迎禮’의 성립-

        장병인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5 No.-

        조선초기 국왕의 혼례절차인 ‘命使奉迎’은 국왕의 체모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즉 국왕이 구차스럽게 몸소 私家로 나아가서 신부인 왕비를 맞이해 오는 대신 使者로 하여금 대신 궁궐로 모셔오게 한 것이다. 16세기 중종대에 오면 『주자가례』에 따라 국왕의 혼례절차가 친영제로 바뀌게 되지만 이 때의 친영도 국왕이 직접 왕비집으로 가서 왕비를 맞아오는 것이 아니라, 왕실과 왕비집의 중간지점에 관소를 설치하여 국왕이 그곳에 가서 신부를 맞아오는 절충적인 방법인 ‘假館親迎’이었다. 가관친영례에 의한 국왕의 혼인은 중종대에 한차례, 선조대에 두차례 모두 세차례 시행되었다. 이후 17세기 인조대에 이르러서는 관소인 태평관을 거치지 않고 왕이 직접 별궁으로 가서 신부를 맞이해 오는 ‘別宮親迎’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때의 변화는 병자호란 후 재정상의 어려움 때문에 혼례절차를 간소화한다는 외양을 띠었지만, 왕과 신하의 예는 같다는(君士夫同一禮) 의식이 상대적으로 강한 서인의 정권 장악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인다. 그러나 초월적인 왕의 권위를 어느 정도 살려주던 가관친영의 폐지가 갑자기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가관친영에서 별궁친영으로 바꾸는데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는 데에는 별궁이 큰 역할을 하였다고 보인다. 즉 궁궐의 하나인 별궁에서 신부를 맞아오게 함으로써 별궁을 태평관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장소로 받아들이게 했기 때문이다. 별궁은 그 기원을 연산군 12년으로 잡을 수 있고, 국왕의 혼인에 별궁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실제 운영된 것은 선조 35년이 처음이라 할 수 있다. 별궁은 한편으로는 왕실가족으로 선택된 왕비나 세자빈의 높아진 지위를 유지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왕실의 혼례라는 성대한 의식을 순조롭게 진행하여야 한다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운영되었다. 별궁의 운영은 왕비로 하여금 왕실가족으로서의 지위를 견지할 수 있게 하였을 뿐 아니라, 왕이 사가로 왕비를 직접 맞으러 갔을 때 일어날 수 있는 국왕체모의 손상을 막을 수 있고 동시에 친영 본래의 의미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안으로 기능하였다. 인조 16년 이후, 별궁제의 정착과 함께 간택된 왕비를 임시로 그곳에 거주하게 하여 의제적 왕비집으로 삼게 되었으나, 별궁은 왕비집으로서의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없는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당시 위정자들이 택한 방법은 왕비의 본가를 잠정적으로 별궁 가까이로 옮겨 별궁과 이전된 왕비집 두 곳에서 혼례절차를 진행토록 하는 것이었다. 왕비 본가를 별궁과 가깝고 규모가 큰 집으로 옮김에 따라 혼례절차의 원활한 수행 및 점차 성대해지는 왕실혼례의 구색을 맞추기에 적합하게 되었다. 조선중기 이후 국왕의 혼인은 관소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사서인과 동례인 진친영에 접근하였고 경우에 따라서는 별궁을 의제적 왕비집으로 하여 진친영의 외관을 과시하려고 하였으면서도, 별궁의 공적 역할을 부각시킴으로써 끝내 국왕 혼례의 독자성을 유지하였다. 결국 별궁친영은 국왕혼례의 독자성과 진친영의 이행이라는 양면성을 모두 갖춘 기묘한 타협책으로 마련된 것으로, 이렇게 탄생된 별궁친영은 이후 대한제국기까지 확고히 정착되어 『주자가례』의 혼례에 따라 국왕의 혼례를 치르려는 노력을 최대한 반영한, 조선왕조 특유의 최종적인 귀결책이 되었다. It was for the purpose of keeping the king's authority that MyeongSa-BongYeong(命使奉迎) was adopted in the early Choseon period. Namely, instead of receiving the queen in person, the king required that the queen be guided to the palace by his messenger for the marriage ceremony. Gaguan-Chinyeong(假館親迎), implemented under the reign of Joongjong(中宗) in the 16th century, was changed from the previous ceremony procedure in accordance with Juja-Garye(朱子家禮). However, it wasn't the same way of having the king receive the queen from queen's house personally; it was only a compromise in which the king receive the queen in a middle place, Tai-Pyoung Guan(太平館), between the court and the queen's house. After Joongjong's reign, Gaguan-Chinyeong was performed twice in the SeonJo(宣祖) Dynasty. However, at the time of the Injo(仁祖) dynasty, the form of the king's marriage ceremony was changed into BeolGung-Chinyeong(別宮親迎), in which the king received the queen from Beol-Gung(別宮) in person. On the surface this change was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difficulty of finance after the war of ByungJa-HoRan(丙子胡亂); however in reality it was deeply connect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SeoIn(西人) party who believe that propriety is the same between the sovereign and his subjects, namely “GunSabu-Dongilrye"(君士夫同一禮). However the Gaguan-Chinyeong, which maintained the transcendental king's authority, was not abandoned easily. It appears that Beol-Gung played an influential role in diminishing the reaction to the changing practice of Gaguan-Chinyeong to BeolGung-Chinyeong. As Tai-Pyoung Guan was devastated by the war at that exact time, the adoption of the policy of receiving bride from Byeol-Gung was implemented on a more simple and less extravagant scale. The origin of Byeol-Gung expected the bride of the crown prince to live apart from her native family. Its purpose was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the bride who will be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Afterwards, choosing one of the palaces to be used for Byeol-Gung became a habitual practice. And then, Byeol-Gung was utilized as the place where the bride of the king or crown prince trained to become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Therefore Byeol-Gung had two faces of meaning: one was public space which was one of the palaces, and the other was private space where the selected bride of the king or crown prince was living. Finally, Byeol-Gung not only made the queen keeping the authority of royal family, but also made the best use of the point of Chinyeong by receiving the queen at the place where she is living. And what is more, Byeol-Gung enabled the king to reduce the loss of his authority which was caused by visiting private house in order to receive the queen. It was because Byeol-Gung where king received his bride, the queen, was not a private house but one of the palace. After middle Choseon period, the propriety of king's marriage got near to his subject's propriety, by rejecting Gaguan-Chinyeong. But the peculiarity of king's marriage was maintained by emerging public role of Byeol-Gung. After all, Byeol-Gung was prepared for the compromising plan of two faces; one was reflection of peculiarity of king's marriage ceremony, and the other was transitional stage for performing Gin-Chinyeong(眞親迎) which was mentioned in Juja-Garye. From this time to Teahan Empire era, BeolGung-Chinyeong was las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중기 사대부의 혼례형태 - 假館親迎禮의 시행을 중심으로 -

        장병인 조선시대사학회 2008 朝鮮時代史學報 Vol.45 No.-

        The administrators of the Choson dynasty tried to introduce Chinyongrye(親迎禮) in accordance with Juja-Garye(朱子家禮) from the beginning of the foundation of a country. However, since Chinyongrye was a marriage form which was based on Chinese family relationship, it was difficult to implement in Choson. Therefore, after the failure of the trial of Chinyongrye implementation during Taejong(太宗) dynasty, it was never mentioned until the Joongjong(中宗) dynasty when Salim(士林) started to discuss about it. Many Salim started to enter politics in Joongjong dynasty, documents show that Chinyongrye started to be performed in some Sadaebu(士大夫) family in that period. However, this was a temporary phenomenon and Chinyongrye disappeared with the decline of the Salim School. In the 16th century, the performance of Chinyong was again proposed with the development of thought of Confucian Rituals. A new way which kept the meaning of Chinyongjae(親迎制) without change of residence system, was sought, Gaguan-Chinyeongrye was one of that example, which was tried by Hoseo-Sarim(湖西士林) in Injo(仁祖) dynasty. Gaguan-Chinyeong permitted to lease a house Gaguan(假館) between the bride's and the groom's house to meet the bride and perform a procedure. This, which can be found in Juja-Garye in detail, was for the case when the groom's place was far from the bride's, which made difficult to perform a procedure of Chinyongrye-ceremony at groom's place at wedding day. The concrete discussion about the implementation of Gaguan- Chinyeongrye seemed to be firstly made at Song, Si-Yeol's(宋時烈) house during Injo(仁祖) dynasty. Gaguan-Chinyeongrye was performed intensively the following 50 years and the last case is shown in Sukjong(肅宗) dynasty. And this fact perhaps represents the decline of the enthusiasm for performing Gaguan-Chinyeongrye. The actual case shows that the supporting party of Gaguan-Chinyeongrye, is only arguing the principle that the systems which were made by Juja and Confucian Sages, have to be followed to recover Gorye(古禮). Moreover, Gaguan-Chinyeongrye, which had the limits concerning its ritual itself and implementation problems, was more controversial than the original Chinyeong. In conclusion, Gaguan-Chinyeongrye, which was implemented in Choson dynasty, couldn't change the marriage form of Seorubuga(壻留婦家) while adding some complicated procedures, couldn't last for a long time. 조선시대 위정자들은 건국이래 친영제를 도입하려 시도하였지만 처가거주제를 바탕으로 한 서류부가혼속의 저항으로 좌절되었다. 명종대에 이르러 주자학을 신봉하는 사대부들이 친영제의 절차와 조선 고유의 혼속인 서류부가혼의 절차를 혼용하여 새로운 혼례방식을 창안하였으니, 그것이 ‘半親迎’이었다. 그러나 반친영의 요건의 하나인 ‘明日見舅姑禮’의 시행이 현실적으로 용이하지 않아 명일현구고례를 제외한 채 ‘當日相見禮’만을 도입한 서류부가혼의 변형으로서의 ‘新俗禮’가 성립을 보게 되었다. 신속례의 성립으로 친영제를 도입하려는 사대부들의 노력이 사라지게 된 것은 아니었다. 16세기 예학의 발달과 함께 古禮의 시행이 다시 화두로 등장하게 되자 거주제를 바꾸지 않고도 친영제의 의의를 살릴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던 것이다. 인조대 이래 호서사림을 중심으로 시도되었던 ‘假館親迎禮’가 그것이다. 가관친영은 신랑과 신부집과의 거리가 멀어 신부를 맞아오는 당일에 신랑집에서 혼례를 치르기 어려울 경우를 대비해 신부집과 신랑집 사이에 민가를 빌어 館所를 설치하여(假館) 신랑이 신부를 직접 맞이하여(親迎) 예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주자가례』에는 관소를 신부집 근처에 설치하는 방식과 신랑집 근처에 설치하는 두가지 유형의 가관친영례가 실려있다. 그러나 정작 시행과정에서는 『주자가례』의 두 방식도 속례의 요소를 많이 수용하였을 뿐 아니라 신부집을 사위집으로 가정하고 관소에서 신부를 맞이해 신부집에서 혼례를 치르는 제3의 방식까지 창안되었다. 가관친영례 시행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실천은 인조 22년 여름에 회덕에 있는 송시열의 집에서 그의 딸과 윤문거의 아들과의 혼인에서 최초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때의 충청 5현의 결의로 본격적으로 가관친영례가 확산될 계기가 마련되었던 것이다. 이후 50여년간 집중적으로 시행된 것으로 확인되는 가관친영례는 숙종년간 김창협의 셋째 딸의 사례를 끝으로 구체적인 시행사례를 찾아보기 어렵게 된다. 이는 단순한 사료의 일실에서 연유한 것이라기보다 가관친영례의 시행 열의가 쇠퇴했음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 시행사례를 통해 보면 가관친영례를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가관친영례를 시행해야 하는 이유로 고례를 회복하기 위해 주자를 위시한 선유들이 만든 제도를 따라야 한다는 당위론 이상의 유도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도리어 가관친영례는 의례자체가 가진 문제점이나 시행상의 문제점 등을 태생적으로 내포하고 있어, 眞親迎보다 논란의 소지가 많았다. 즉 절차상 ‘男先於女’라는 친영 본래의 정신에 어긋나는 부분을 가진 것이나 지나친 형식주의 내지 가식성의 요소를 가진 것이 의례자체의 문제점이었다. 뿐만 아니라 관소를 마련하여 혼례를 치르는 데 따르는 행사의 번거로움․별도 비용의 필요․오랜 관행을 바꾸는 데 대한 정서적 반발 등 시행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들이 불거져 나왔던 것이다. 결국 조선사회에서 시행된 가관친영례는 서류부가 혼속을 바꾸지도 못하면서 익숙하지 않은 번거로운 절차만을 군더더기로 첨가시킨 것으로 널리 채택되어 오래 지속되기는 어려운 혼례방식이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