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동북경제구의 발전과 중한경제무역협력의 전망

        장동명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4 중소연구 Vol.28 No.2

        중국은 2001년 WTO가입에 따라 많은 변화와 큰 발전을 이루고 있다. 특히 2003년 1인당GDP 1000달러를 넘으면서 중국은 새로운 경제성장 단계에 진입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중국정부는 경제성장을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동북경제발전전략' 이라는 국가정책을 실시하였다.이러한 차원에서 볼 때, 1990년대 말의 금융위기는 극복했지만 여전히 침체상태에 있는 한국경제에 있어서 공업기반, 교통통신시설, 인적자원 및 자연자원 등을 충분히 구축하고 있는 중국 동북경제구는 중ㆍ한 경제협력을 한층 더 추진할 수 있는 발전공간과 무대가 될 것이다.본 연구는 거시분석과 미시실증 방법을 결합하여, 중국이 WTO가입과 새로운 경제성장 단계로의 진입이라는 거시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추진되고 있는 '동북경제발전전략'이 한국경제의 구조조정과 산업고도화에 중요한 발전공간과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는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문에서는 중국동북경제구의 경제발전과정과 현황을 개괄적으로 살펴본 후, 중ㆍ한 경제무역관계의 발전과정을 재조명하고 향후 협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Win-Win 효과에 대해 전망하고자 한다.

      • KCI등재

        북중 무역 및 물류협력에 관한 분석

        장동명 한중사회과학학회 2011 한중사회과학연구 Vol.9 No.2

        북한의 가장 중요한 대외경제무역관계로서 중-북경제무역관계는 수십 년 동안 큰 발전을 이루었다. 20세기 90년대부터 양국의 경제관계는 점차 원조협력 위주에서 시장원칙 위주로 전환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협력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지난 2011년부터 중국은 「12차 5개년 계획」 발전전략을 시작하였으며, 전국에서 경제개발 및 사회발전 중심으로 경제지역재편을 대규모로 추진하고 있다. 그중 중국 동북경제지역은 북한과 인접한 양국 간 경제무역협력의 주요 지역이다. 중국은 료寧沿海經濟帶發展規화과 長吉圖開發開放 先導區 두개의 국가급 발전전략을 중심으로 동북지역 경제발전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이들은 중국동북지역 경제발전전략의 새로운 토대가 될 것이다. 북한은 장기적인 경제봉쇄에 따라 많은 장애가 있었지만 여전히 발전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 북한은 2012년 ``강성대국의 대문을 향하여`` 라는 전략적 목표를 수립하고 2011년 초 「국가경제개발 10년 전략 계획」을 추진함으로써 경제건설에 집중하고 있다. 북-중 양국 간 경제관계는 주로 무역과 물류분야에서 분석할 수 있으며 양국 간 물류기초시설은 도로, 철로, 항만, 공항, 통신망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양국 간 12개 국경출입구는 대부분 무역화물 통관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향후 양국 간 물류협력의 발전 잠재력이다. 장기적인 시각에서 보면 이러한 협력은 중국과 한반도 사이의 물류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역할을 하며, 나아가 한반도에서 동북아 및 유럽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물류망 구축에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전역의 발전과 번영을 가져다 줄 전망이다.

      • KCI등재

        中韩机电产业竞争力与贸易效应的实证分析

        장동명,이병휘,윤승현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12 동북아경제연구 Vol.24 No.3

        It is an active exploration for the East Asian region to deal with external challenges by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East Asia FTA with the help of the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This article empirically studies trade benefits of Sino-Korea FTA by analyzing the competitiveness of Sino-Korea electromechanical indus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mechanical and electrical industry. By comparing the fitting results of imports of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ducts from South Korea and the fitting results of exports of electromechanical products to South Korea, we could find that tariff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have hindered the development of bilateral trade in mechanical and electrical industry. After that, we can conclude that the establishment of Sino-Korea FTA will greatly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ducts trade, and optimize the trade and industrial structure and upgrade electromechanical industry'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promote the common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both economies.

      • KCI등재후보

        关于中韩农产品贸易问题的几点分析

        張東明,尹胜炫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2 중국과 중국학 Vol.16 No.-

        1992년 8월 중·한 양국의 정식적이 수교를 시작으로 양국 간의 국제무역협력은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였으며, 이미 2011년 양국의 무역총액은 2,500억 달러에 육박하고 있다. 현재 한국은 이미 중국과의 무역에 있어 세 번째로 큰 무역상대국이고, 중국도 수년간 지속적으로 한국의 최대 거래대상국이자 제일 큰 수출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중·한 농산품무역은 아직도 여전히 만족할 수 없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문에서는 중·한 농산품무역의 현황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중·한 농산품의 비교우위, 경쟁적 보완성 및 FTA의 중·한 농산품무역의 영향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이에 대한 중·한 농산품무역의 향후 전망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중한경제관계가 진일보 심화되면서 중한농산품 무역은 상대적으로 증가할 것이고, 이에 따라 중국의 대 한국 농산품 시장의 수출경쟁력은 강화 될 것이다. 둘째, 그러나 중한 농산품 무역의 증가는 속도는 느리게 성장할 것이다. 셋째, 중한 양국은 농업영역의 협력, 교류강화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합리적인 농산품 무역구조를 조절해 갈 것이다. 넷째, 중한 농산품 무역이 진일보 확대됨에 따라 양국의 무역 마찰은 한층 더 심화될 것이고, 심지어 양국 경제무역 교류는 무역 분쟁으로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정책적 제안으로 첫째, 중한농산품 무역 연구를 강화 이에 따른 중한 농산품 무역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 둘째, 중한 FTA 건립을 위하여 농산품 무역의 자유화 실현 셋째, 농업 지원 역량을 높이기 위한 산업 업그레이드 추진 넷째, 합리적인 경쟁을 위한 다원화 전략 구현 다섯째, 농

      • 21世紀 中·韓 協力 展望과 課題 : 中·韓 經濟協力을 中心으로 Center on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張東明 서울大學校經濟硏究所 2004 經濟論集 Vol.43 No.3

        1992년 8월 중ㆍ한 수교 이후 양국관계는 실로 눈부신 발전을 이루어 왔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들 하지만 국가대 국가 간의 관계에서는, 특히 역사가 기록되기 전부터 영향이 오고 갔을 중국과 한국의 경우에서 이는 실로 조족지혈에 불과하다고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10년 남짓한 기간 동안에 두 나라의 관계는 경제와 무역 분야에서 역사상 견주어 볼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2003년 현재 중국은 한국의 제3위 무역국이자 최대 규모의 해외투자 대상국이며 한국은 중국의 제4위 무역국이다. 이것만으로도 현재 진행되고 있는 두 나라 간의 협력관계가 각각의 국가경제에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가늠해보기에는 그리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게다가 2003년에는 급기야 중국의 1인당 GNP가 1,000달러 선을 넘어섰는데 이야말로 중국경제 역사상 가장 큰 획을 그은 시점이라고 아니 할 수 없다. 본고는 이러한 정황들을 배경으로, 중ㆍ한 양국 경제무역관계를 재조명하고, 21세기를 통틀어 더욱 긴밀한 경제협력방안을 구축하기 위해 양국은 무엇에 힘써야 하는지를 중국의 시각에서 분석한 논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동부 시베리아 에너지 개발에 대한 국내 철도 산업의 경제성 분석과 진출 방안 연구 : 동부 시베리아 철도 주변 지역을 중심

        장동명(Jang Dong-Myoung),송춘근(Song Choon-Kun),김봉택(Kim Bong-Taek) 한국철도학회 2005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Trans-Siberian Railway (TSR) has been recently rising to the surface as the world important issue with Trans-Korea Railway (TKR). This can change transportation means from sea to railway and enhance Korean international position through the North-east Asian economic cooperaton with Russia. In particular, when "Iron Silkroad" linking TKR is created, it can revitalize the underdeveloped East Russia and Far East"s economies and Korean railway can play a key role as the North-east Asian logistics center and exerts a powerful influence on them. In addition, Korean railway expects to obtain economic benefits accruing to various value-added businesses such as IT, tourism, especially, transportation business from the East Siberia, the world largest reserves of energy to Korea. This study tries to find economic value analysis and guidelines on strategies of Korean railway with international logistics base built in Khassan (Vladivostok contiguity reg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energy deposited around east of TS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