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하대 心地의 불골간자 계승과 동화사 창건

        임평섭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4 한국고대사탐구 Vol.47 No.-

        9세기에 활동한 승려 심지는 진표로부터 전해진 불골간자를 계승한 후 대구 팔공산에 동화사를 창건한 인물이다. 심지는 왕자 신분이었으나 출가하여 반신라적 특징을 지녔다고 분석되는 진표의 사상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이를 고려한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심지의 활동과 사상을 정치적 관점에서 다루었다. 본 논문에서는 정치적 관점보다는 심지를 중심으로 한 사상적 측면과 그의 활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 심지가 진표의 사상에 관심을 기울이고 불골간자를 계승한 목적 또는 의도를 당시 시대적 맥락에서 이해하였다. 기존에는 지방에서 확산되고 있는 진표의 미륵사상을 통제 또는 수용하기 위한 시도였을 가능성을 분석하고 있다. 반면에 이 글에서는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전반에 왕실의 일원으로서 심지가 경험했던 왕위 다툼과 다수의 반란, 그리고 지방에서 심화되고 있는 사회경제적 모순에 주목하였다. 심지는 실천적이며, 구세적 성격을 지닌 진표의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진표의 계승자인 영심의 법회에 참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심지는 진표와 유사한 수행을 하여 지장을 친견하고, 미륵의 수계를 상징하는 불골간자를 계승하였다. 둘째, 동화사 창건과 불사 활동에 대해 다루었다. 먼저, 심지가 간자를 계승한 후 팔공산에 돌아와 동화사를 창건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이것은 전통적인 국가 제장이자 전략적 중요성을 지닌 팔공산을 불교 신앙의 중심지로서 자리매김하려는 의도였다. 이 과정에서 심지의 행적은 진표의 사상과 연결되는 용신앙과 미륵신앙, 그리고 간자와의 인연이 중요하게 다뤄졌다. 다음으로, 동화사를 창건한 이후 민애왕 석탑 조성에 참여한 행적에 주목하였다. 기존에는 민애왕과 같은 인겸계 출신인 심지를 통한 경문왕의 정치적 목적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심지와 진표 사상의 연관성에 주목하고, 민애왕의 시해와 관련한 장소인 대구 방면 전투를 새롭게 조명하였다. 특히 탑 조성을 통해 반란에서 희생된 민애왕과 망자들을 위로하여 정치사회적 문제를 해소하고자 했던 불교적 맥락을 강조하였다. 이처럼 심지는 소백산맥 이북 지역에서 확산되었던 진표 사상을 왕경 인근의 중요한 장소인 팔공산으로 퍼뜨리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심지의 행적과 동화사의 불사에서 불골간자 외에 진표와 관련된 사상이나 실천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으며, 다양한 사상적 특징이 엿보인다. 이는 동화사의 지리적 위치와 왕실・지역 유력자의 후원을 토대로 한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심지가 진표의 사상을 수용하여 현실의 여러 문제를 해소하고자 했던 의도와는 달리 심지는 불골간자를 계승한 역할로, 동화사는 불골간자를 보관하는 장소로 전승되었다. In the 9th century, the Silla monk Simji, after inheriting the Maitreya’s Relic Ganzha from Jinpyo, founded Donghwasa on Mt. Palgongsan in Daegu. Simji, originally a prince who renounced his royal status, exhibited a distinctive association with Jinpyo’s teachings. Previous studies, considering this, primarily examined Simji’s activities and philosophical aspects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This paper specifically investigates Simji’s philosophical aspects and his actions. This study addresses two main issues. Firstly, it explores Simji’s interest in Jinpyo’s teachings and his purpose or intent in inheriting the Maitreya’s Relic Ganzha within the contemporary context. In this regard, Simji actively embraced Jinpyo’s teachings with a practical and salvational approach, participating in Yeongsim’s assemblies as Jinpyo’s successor. Secondly, it examines the establishment of Donghwasa and subsequent Buddhist activities. It focuses on Simji’s return to Mt. Palgongsan after inheriting the Maitreya’s Relic Ganzha, where he ritually cast the Ganzha with mountain deities to establish Donghwasa. After founding Donghwasa, attention is drawn to Simji’s participation in the construction of King Min’s pagoda. This paper focuses on Simji’s association with Jinpyo’s teachings and highlights the battles in the Daegu region related to King Min’s demise. Thus, Simji played a crucial role in spreading Jinpyo’s teachings, which were prevalent in the Mt. Palgongsan, an important site near the royal capital. Unlike his intention to actively resolve societal issues through Jinpyo’s teachings, Simji’s role as the inheritor of the Maitreya’s Relic Ganzha led Donghwasa to become a repository of these teachings.

      • KCI등재

        신라 진흥왕대 州의 廢置와 巡狩

        임평섭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6 新羅文化 Vol.48 No.-

        A remarkable study was conducted on the Silla's hierarchical system in mid- and ancient era, stone installation time and purpose of Jinheungwang Sunsubi. Howeve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Jinheungwang Sunsubi from the aspect that it was a monument of patrolling the area by Jinheungwang. It is because the fact that they moved not only standing stone related to patrol but also the province attracts our attention. In particular, it‘s required to give attention to the patrol in present northeast district Hamgyong area in addition to Bukhansanbi in Han River basin which was mainly treated for territorial expansion and Sunsubi of Jinheungwang. In this process, this study intends to make an analysis by dividing it into two directions of different political, social and geographical background. Through abov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s for patrolling the Han River basin, Jinheungwang personally climbed Bukhansan to investigate Goguryeo and neighboring information in order to establish strategy of advancing to northern area. Meantime, it is seen that as for northeast direction, Jinheungwang made them, which had strong native characteristics, accompany him for participation in ceremony in order to not only strengthen his authority but also stabilize the area of strong autonomous featur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movement of the province during Jinheungwang's patro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n political problem.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Jinheungwang's patrol was an important political activity which showed his noticeable strategic aspect as well as territory confirmation and settlement of the public sentiment.

      • KCI등재후보

        관람객의 창조적 접근을 위한 박물관 내?외부 장소성 확장과 현재적 맥락화 - 전곡선사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임평섭,김미소 한국박물관학회 2016 博物館學報 Vol.- No.30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의는 현대인들의 문화?여가 수요를 충족시킴은 물론 박물관에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문화경관과의 결합을 통해 박물관 내부에 위치한 문화유산이 관람객으로 하여금 창조적으로 이해되는 과정을 제시하고 자 한다. 특히 강조하고자 하는 개념은 문화유산의 “현재적 맥락화”이다. 이는 박물관 외부에 위치 한 문화경관을 단순히 재현?이용하는 것이 아니며, 문화경관에 담긴 다양한 기억의 층위를 문화 유산에 대한 관람객의 주체적인 해석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에서는 모범사례로써 전곡선사박물관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곡선사박물관은 아슐리안형 주 먹도끼라는 대표 유물과 전곡리 구석기유적이라는 문화경관을 박물관 내?외부에서 적극 활용하 고 있다. 전곡선사박물관이 갖는 강점은 적극적인 “현재적 맥락화”의 활용이다. 박물관에서는 아슐 리안형 주먹도끼에 담긴 의미와 가치 창출을 위해 전시 기법과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관람객에 게 유물이 현재적 맥락에서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유물에 담긴 단순한 의의 및 가치를 일방향적으로 전달하는 것과는 구분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박물관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현재의 시점에서 의미를 줄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 특히 박물관을 둘러싼 문화경관과 결합할 때 관람객에게 문화유산에 담긴 가치와 다양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문화경관에 담긴 다양한 기억을 문화유산과 결합한 현재의 행위와 경험 으로 전환할 때 관람객은 주체적인 창조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궁예의 미륵관심법을 통한 정국운영과 그 의미

        임평섭 전북사학회 2014 전북사학 Vol.0 No.45

        Existing view about Gungye government was in argument on if the government is political power unions among powerful families. Especially, main trend was an opinion where life and government of Gungye were understood from viewpoint of political power unions among powerful families. Accordingly, ‘Maitreya Buddha’ came to the forefront as part of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This was applied to analyze function and character of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 This viewpoint is well disclosed in interpretation of Gwangpyongseong which was a representative government organization in Gungye era. That is, there is contradiction in opinion about Gwangpyongseong, one is that Gwangpyongseong is an organization to represent powerful families, the other is that it played a role to assist autocratic royal authority of Gungye like Jipsabu in Silla. But such existing analysis interpreted characteristic of Gungye government where ‘Maitreya Buddha’ came to the forefront, as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or ‘individual tendency’. So it is pointed out that important factor is overlooked in understanding Gungye and Gungye government. Accordingly, the study tried to analyze in what form ‘Maitreya Buddha’ thoughts and national direction as ‘Buddhist nation’ which were core events in Gungye government were reflected to life of Gungye and Gungye government. Through this, it could be drawn that ‘Maitreya Buddha’ of Gungye had been continuously strengthened in the life of Gungye, not dramatic event in the year 911 for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this affected identity and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 of Taebong, ‘Maitreya Buddh's Land’.

      • KCI등재

        진흥왕 집권 초기의 정치구도와 한강 유역 진출

        임평섭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9 新羅文化 Vol.53 No.-

        Numerous studies, associated with Silla’s expansion on Han river, have focused on which routes Silla went into Han river basin, and competitive relationship over the region among three kingdoms. Even Silla’s advance on Han river has tended to appreciate Silla as a betrayer, based on the argument, like “Secret Contract of Goguryeo-Silla”. Thus, the movement of Silla have been depreciated, without considereration about Silla’s internal condition.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points out Silla’s expansion on Han river, examining political relations between a situation from his initial regent period of King Jinhueng and political powers. In particular, this paper newly tried to interpret political forces’ motions in terms of “Generation”, contrast to precious studies’ approach, which have defined them as an allies or a counterforce to King with a dichotomous view. Each political group would has been held different points about Silla’s expansion into Han River, due to their different generation experience. Especially, Different from the Political forces, who lead political situation in the initial reign of King Jinheung, Some political groups, who got a power later, had a more aggressive point to the expansion into north. In the process, it seems that King Jinhueng took the lead in the expansion, trying to mediate arguments between each generations.

      • KCI등재

        신라하대 원랑선사 대통의 위앙종 수용과 월광사 주석

        임평섭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7 No.-

        This article mainly looks into the life and thoughts of Wŏllang-sŏnsa Dae-Tong who acted as a Zen monk in the late period of Silla. Even though Dae-Tong was born into a poor family as well as came from a frontier, He finally gained fame with a human network, even accepting the newest Zen thoughts from the Tang Dynasty. Nanghye muyŏm and King Kyŏngmun who made a relationship with Dae-Tong were famed people at the same time. Besides, Wiang-sect was the most popular Buddhist thought representing the Zen sect in the 9th century of the Tang Dynasty. However, it has been little research on him so far. The article is supposed to consider three aspects to examine the life and thoughts of Dae-Tong. Firstly, It closely examines Dae-Tong’s birthplace and some regions he was actively engaged after he became a Buddhist monk. Tonghwa-bu, for instance, was placed at the northwestern frontier of Silla which is estimated as Ch’wisŏng-gun now. In addition, the current direction of Daneom-sa temple in which he dwelled is assumed in Chulwon. Secondly, It focuses on an ideological feature of Wiang-sect that Dae-Tong learned in the Tang Dynasty. Among one of the unique practices of Wiang-sect, he accepted Patriarchal Seon especially and followed that kind of practice. Lastly, It is remarkable his dwelling in Wolgwangsa Temple and his relationship with King Kyŏngmun. Dwelling in Wolgwangsa Temple placed at the northern mouth of Gyeripnyeong(鷄立嶺), he put his energy into educating the local people. King Kyŏngmun also gave preference to his endeavor to strengthen royal control of local regions. From the research, it is looking forward to developing both more research on how Patriarchal Seon of Southern School Seon flowed in the 9th century and the periodic meaning. 이 글은 신라 하대에 활동한 선승인 원랑선사 대통(816~883)의 생애와 사상을 살펴본 것이다. 대통은 신라 변방의 지방민이자 한미한 가문 출신이었지만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당나라에서 최신 선사상을 수용하여 명망을 얻었다. 대통이 교류하였던 낭혜 무염과 경문왕은 당대의 명사였으며, 그가 수행한 위앙종은 9세기 중반 당나라의 선종계를 대표하는 사상이었다. 그렇지만 대통에 관해서는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대통의 생애와 사상에 관한 핵심적인 사안을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대통의 생애는 크게 입당과 귀국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대통의 출신지와 함께 그가 출가한 이후 활동했던 지역에 대한 분석이다. 대통의 출신지인 통화부는 신라의 서북방 국경인 취성군이며, 그가 출가한 이후 활동한 단엄사는 지금의 철원 방면으로 추정할 수 있다. 둘째로, 대통이 당나라에서 배웠던 위앙종의 사상적 특징과 관련한 내용이다. 위앙종의 수행 방법 가운데 대통은 특히 조사선을 수용하여 이를 실천하였다. 귀국 이후의 활동 가운데 두드러지는 것은 월광사 주석과 함께 경문왕과의 관계이다. 계립령 북부 입구에 있는 월광사에 주석한 대통은 주변 지역의 교화에 힘을 쏟았다. 지방사회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는 경문왕은 이러한 대통의 활동을 우대하였다. 대통에 관한 연구를 통해 9세기 신라 남종선의 조사선 수용 흐름과 함께 월광사가 가지는 시대적 의미 또한 살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아랍․페르시아와 신라의 교류 - 무슬림 집단의 신라 내 거주 가능성에 대한 문헌적 검토 -

        임평섭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22 新羅文化 Vol.60 No.-

        이 글은 이슬람권 문헌자료에 기록된 신라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여 신라와 아랍․페르시아의 교류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특히 신라의 풍습, 문화를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쿠쉬나메』와 이슬람 세계에 유입된 신라산 물품을 기록하고 있는 『도로 및 왕국 총람』에 주목하였다.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신라에 대한 지리, 물산, 문화에 대한 정보가 부정확하고, 신라를 바다 너머에 있는 이상적인 세계로 묘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서역 물품이 유입된 신라와 일본에서 이슬람 세계에 대한 기록이 드물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는 아랍․페르시아인과 신라인이 당나라 내지(內地)의 번방(藩房)에 머무르며 특산품 구매를 목적으로 접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제한적인 정보만이 교환되었기 때문이다. 무슬림 상인의 신라 내왕(來往)을 뒷받침하는 주요 근거인 『삼국유사』의 처용설화를 보더라도 그를 무슬림이라고 해석할 만한 결정적인 근거가 없다. 따라서 현재 남아 있는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아랍․페르시아인이 신라에 방문하여 직접 교류를 시도했다거나, 당나라의 혼란을 피해 신라로 도피했다는 해석은 분명하게 밝히기 어렵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진흥왕대 신라의 영토 확장과 외교 전략

        임평섭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4

        In the reign of King Jinheung of Silla, King Jinheung actively pushed ahead with enlarging territorial expansion. Based on Several Sunhaeng(巡行), He also tried to reinforce the power to control domains which were newly acquired. In the process, King Jinheung stressed his strong authority and supremacy compared to the ruling group of Silla before him.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re need to be other prerequisites such as great military strength, dignity as an emperor, abundant supplies, new thoughts and so on. At a time, some adjacent kingdoms checked aggressive movements of Silla, and Silla also took action into their state.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we could understand external relations of Silla. At first, Silla was supposed to accept advanced culture from China. Simultaneously, Silla attempted to ameliorate hostile relations with Japan(倭) for keeping off threats from the rear. These actions, taken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could be closely associated with his strategic aims to expand territory and stably control acquired domains. 진흥왕 대는 신라의 대외 교섭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시기이다. 이러한 사실이 신라사에서 갖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진흥왕대 외교와 관련해서는 전략적인 측면보다 책봉호나 선진 문물 수용이라는 타율적이고 소극적인 목적에서 접근해왔다. 이러한 연구 동향은 진흥왕 이전 신라의 제한적인 외교 상황이라는 배경을 전제로 접근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나 백제의 세련된 외교 전략에 뒤쳐진 ‘후발주자’로 신라를 바라보는 관점이 이 시기에도 그대로 적용된 것이었다. 이와 함께 이 시기 신라의 외교 활동과 관련한 사료 대부분이 문물 수용 내지 ‘조공’과 관련한 사안만 전하고 있어 구체적인 내용까지 살피기 어렵다는 한계도 작용했으리라 보인다. 그러나 신라는 이미 진흥왕 이전에 다수의 사신 파견 경험이 있었고, 중국의 선진 문물 수용을 통해 이것이 대・내외적으로 가지는 의미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다. 이를 고려한다면 진흥왕대 활발하게 추진된 대외 교섭도 전략적인 측면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진흥왕대 급속하게 이루어진 영토 확장에 대한 인접국의 견제를 외교적인 수단으로 풀어내고자 했던 신라의 상황과 연관 지을 수 있다.

      • KCI등재

        진흥왕 집권 후반기 사방(四方) 의식의 표방과 불교의례 - 사방의 구심점으로서 ‘신라 만들기’ -

        임평섭 부산경남사학회 2020 역사와 경계 Vol.115 No.-

        This paper is supposed to focus on historical situations from 560 to the time when King Jinheung passed away. In the research, I tried to examine the meaning of revising the era name, interpreting the content of King Jinheung’s Sunsubi(巡狩碑) in practical term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intends to newly analyze Buddhist rituals supported by King Jinheung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n interrelation of Silla and a governmental order. The core concept of the research is just “Awareness about the four directions”. It might be associated with political measures following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King Jinheuing. He took some administrative actions, such as dispatching the generals of the four directions and the local administers, to organize newly acquired domains and reinforced the controlling power on finance and supplies. These measures could visualize the national stabilization indicated as a moral behavior of the King to every people living in all regions of the Silla. However, An outburst territorial expansion made not only domestic strife but discontentment as well. Besides, a confusing circumstance of neighboring countries requested the Silla to device new political actions to appease an air of anxiety. In the situation, the best option the Silla chose was, thus, Buddhist rituals and self-practice of King Jinheung. These two actions taken after a territorial expansion were ultimately intended to make the Silla stabilize and established it as the center of the four directions. 본고는 진흥왕 집권 후반기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영토 확장이 마무리되는 560년대부터 진흥왕 사망까지의 시기를 다루었다. 기존에는 568년에 입석된 순수비의 내용을 기초로 정치사상에 대한 분석 내지 불교 관련 행적에 주목하여 진흥왕 집권 후반기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는 주로 신라가 영토 확장 이후 직면한 상황에 대한 후속 조치 보다 진흥왕 개인의 업적이나 왕권강화라는 결과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진흥왕 집권 후반기는 사방 의식이 통치행위로 구현된 시기였다. 본고는 이 사방 의식이 영토 확장에 이은 후속 조치의 일환으로 주목하였다. 진흥왕은 확장된 영역을 전략적으로 편제하기 위해 주와 정을 설치하는 군사 조치와 더불어 사방군주와 지방관의 파견이라는 행정 조치를 취하였다. 이와 함께 각지에서 수취한 물자에 대한 재정 통제를 강화하였다. 이를 통해 신라 전역과 인민에게 진흥왕의 덕업으로 대변되는 통치질서가 안정적으로 구축되었음을 보여줄 수 있었다. 그러나 급격한 영토 확장으로 인한 내부 갈등과 대외정세의 급변은 통치질서의 이완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진흥왕 집권 후반기에는 새로운 통치행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강조된 것이 불교의례의 설행과 진흥왕의 실천행이었다. 결국 영토 확장 이후 진흥왕이 표방했던 사방 의식과 불교의례는 신라 전역과 인민을 망라하는 사방의 구심점으로서의 신라 만들기였다.

      • KCI등재

        통일 후 남북한 군사통합을 위한 정책 제언: 조직문화 분석을 통한 조직융합관리(PMI)를 중심으로

        임평섭,이재호 한국국방연구원 2013 국방정책연구 Vol.29 No.2

        The conflict between in Korean peninsula still continues under Kim Jong-Un`s rule by maintaining policies based on ``Songun Politics``, which influences North Korean forces` aggressive tendency. It implies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Korean military integration policy which minimizes conflict and disorder by considering North Korean forces` cultural factor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organization culture and psychologic transition of military members in North Korean forces in situation of unification and to propose the principle and policy of military integration with interdisciplinary study based on PMI(Post-Merger Integration) and Schein`s organization culture theory, which can contribute to reducing conflict and cost before and after the Korean military 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