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색채교육 워크숍 기획을 통한 학교공간의 외부·내부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임오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2022년 진행한 청주남성초등학교 후관동 외부색채와 2023년에 진행한 충주여자중학교 본관동과 후관동의 내부색채를 대상으로 사용자 특성을 고려하고 외부색채와 내부색채의 색채계획 대상에 따라 색채교육 워크숍을 기획하고 사용자 의견수렴을 통해 최종 색채디자인을 완성하여 준공하였다. 그 결과물을 소개하고 향후 본 사업에 참여하는 색채전문가에게 유용한 자료로 소개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청주남성초등학교 후관동 외부색채와 충주예성여자중학교 본관동과 후관동의 내부색채계획 연구 과정에서 색채전문가로서 사용자 참여디자인의 색채교육 워크숍을 기획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한 색채 계획안을 작성하였다. 색채계획안에 대한 디자인 리뷰를 반영한 최종계획안을 선정한 후 시공 시 디자인 감리를 하여 재현성을 확보하고, 준공 후 최종적으로 사용 후 평가(POE)를 실시하는 전체 사업을 추진하였다. 특히, 사용자 참여디자인의 색채교육 워크숍은 사용자의 특성과 색채대상이 외부색채인지 내부색채인지에 따라 맞춤형으로 기획하였다.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습 역량에 따라 다양한 색채 경험을 제공하였으며, 참여 시간의 효율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지를 단계별로 제작하여 진행하였다. (결과) 일련의 사업 추진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색채의 경우 학교의 일반적인 현황에서 학급의 증감에 대한 조사와 기투자실, 향후 예정된 환경개선 사업 등을 사전 준비 단계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색채계획 대상이 외부색채와 내부색채인 경우에 따라 주변 환경색채에 대한 조사는 외부색채계획의 경우 대상동과 주변환경과의 조화성을 위해 다른 교사동과 주변환경색채를 반드시 조사하여야 하나, 내부색채의 경우 주변환경색채 조사는 선택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색채교육 워크숍은 참여하는 사용자의 특성, 즉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습 역량을 고려하여 기획하여야 하며, 짧은 시간에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지 제작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가능한 많은 색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 채색 도구뿐만 아니라 컬러리스트 전문가용 색종이와 디지털 색채를 경험할 수 있는 스마트패드 스케치북앱을 활용하는 등 새로운 교육을 시도하였다. 셋째, 건축 내·외부 색채계획 프로세스에 따라 전체적인 현황조사, 색채컨셉과 방향 설정에 따른 색채선정, 건축공간의 주조색, 보조색 적용 부위에 따른 배색 일람표 작성과 함께 직접 대상 공간에 채색해보는 활동으로 색채교육 및 워크숍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결론) 건축색채 대상과 사용자 맞춤형 색채교육 워크숍 자료는 색채전문가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기술의 발달 등에 따라 지속적해서 새로운 색채교육 방법을 도입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exterior color planning of the rear building of Cheongju Namseng Elementary School conducted in 2022 and the interior color planning of the main and rear buildings of Chungju Girls Middle School conducted in 2023, use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color education workshop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color planning target of the exterior and interior, and the color design was finalized and constructed considering user opinion feedb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the results of color planning and provide useful data to color experts participating in further color planning projects in school spaces. (Method) In the color planning research process, a color education workshop of user participation design was planned, color plans were developed reflecting user opinions, the final color plan was selected considering the design review of the color plans, and design supervision was conduc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color plan to ensure reproducibility. Finally, Post Occupancy Evaluation(POE) were perform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Color education workshops on user participation design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nd whether the color target was an external or internal color. Various color experiences were provided according to the learning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various activity sheets were developed at each step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articipation time.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project proces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color planning for educational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increases or decreases in classes, already invested facilities, and futur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during the preliminary preparation process. In the case of exterior color plann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lor should be investigated for both the target and nearby buildings to secure color harmony. In the case of interior color planning, study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lor is optional. Second, color-based educational workshops should be planned considering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various activity sheet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completeness in a short process. To provide as many color experiences as possible to the workshop participants, color paper for professional colorists and new education tools, such as a smart pad sketchbook application to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digital coloring, should be used, as well as existing coloring tools. Third, according to the architectural interior and exterior color planning process, color education and workshops should be organized through an overall status study, color selection according to the color concept, the creation of a color scheme lis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area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colors of the space, and direct coloring activities in the target space.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architectural color target and user-customized color education workshop data can be used as materials for color experts, a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new education tools according to future technological developments.

      • KCI등재

        오피스 창호의 適定 및 最少 透過率 선정에 관한 연구

        임오연,김병수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the optimal and minimum transmittance for visual comfort in office buildings. This study progressed as follows. The first, we selected 5 films with various transmittance based on the current film makers whose films being used on the windows of office building nowadays and the case study of construction. And then we choose 6 kinds of transmittance as evaluation object including plain glass. The second, we made a mock-up models having different transmittance on the southern windows with model of real scale office building. The third, we selected 17 pairs of adjectives for the evaluation of visual comfort on interior or exterior conditions with transmittance factor. The fourth, subjective evaluation experiment was done using selected evaluation adjectives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we extracted two factor, [cleanㆍvarious] and [amenityㆍappropriateness] image, from the 16 evaluation items. 2) As a result of the multi regression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windows is the high effective physical item to two factor, [cleanㆍvarious] and [amenityㆍappropriateness], in simultaneous. 3) As a result of the average score analysis of evaluation item by transmittance, the first factor, [cleanㆍvarious], get a more points as the transmittance is increased. And the second factor, [amenityㆍappropriateness], get a most high score at 50% transmittance and decreased with higher transmittance than 50%. 4) Finally, the optimal transmittance range is concluded in 40%~60% and the minimum transmittance appropriate for the office building is 30%~60%.

      • KCI우수등재

        아파트 외장 배색의 조화에 관한 연구

        임오연,이진숙 대한건축학회 199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15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effect on the color scheme for color harmony in apartment houses exteriors. Color simulation by a color image processor were used to evaluate the various color scheme. The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al evaluation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by HAYASI I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 The patterns of color scheme greatly affected the images of 'various', 'characteristic', of which geometrically, obliquely division in facade and supergraphics in side wall are estimated well. The harmonies of color scheme mainly related to the images of 'reposed$quot;, 'clear', 'successional', 'harmonious', 'chic'.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practical grade for color planning

      • KCI등재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 현황조사 및 분석에 관한 연구

        임오연,김정신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연구배경 및 목적) BF인증은 2008년에 생겼으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신축하는 청사, 문화시설 등의 공공건물 및 공중이용시설 중에서 정하는 시설의 경우에는 의무적으로 인증을 받아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연구시설중 대전광역시 초등학교중 특수학급이 1층에 설치되어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BF인증 기준에 대한 현황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여 현황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1) BF인증기관별 인증 기준에 대한 자료 조사를 실시하여 인증기준에 따른 시설 기준 항목 및 기준표 작성를 작성한다. 2) 대전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대상으로 홈페이지를 조사하여 특수학급에 설치현황에 대한 조사분석을 실시한다. 3) 직접 현장에서 현황조사를 실시할 조사대상 초등학교를 선정한다. 4) 현장방문을 실시하여 접근공간에 대한 현황조사를 실시한다. 5)초등학교의 BF인증 현황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다. (결과) 기 작성된 평가기준표를 가지고 현장조사시 시설항목별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설치-미흡-미설치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정리한 분석결과는 표 9와 같다. 접근로의 경우 5번 평가항목의 틈새단차는 조사대상 22곳이 전부 설치로 매우 높은 평가를 나타내고 있었다. 다만 2번 평가항목인 보도의 기울기 1/18이하에 미흡인 곳이 7곳 이상으로 조사대상 22곳의 31%에 해당하는 값으로 평가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주출입구의 경우 주출입구 연결 접근로의 높이차가 2cm이하인가라는 1번 평가항목과 경사로의 휴식참이 0.75m이내 설치되어 있는가의 4번 항목, 마감재질의 미끄럼정도를 평가하는 12번 항목, 이 3번 항목의 경우 거의 모두 설치되어 있다고 평가되고 있었다. 그리고 6번 항목의 경사로 기울기 1/12이하에 대한 평가는 7곳으로 31%에 해당하는 곳이 미흡으로 평가되고 있었으며, 8번 항목인 주출입구 손잡이의 끝부분 0.3m이상 연장한 수평손잡이 설치여부나, 11번 항목의 양끝부분 및 굴절부분의 점자표지판 부착여부의 경우에는 설치한 곳이 단 3곳으로 나타났으며, 미설치한 학교가 19곳으로 86%로 높게 나타났다. 계단 승강기의 평가항목은 1번, 2번, 3번, 5번, 7번, 8번 평가항목에서 22곳 모두 설치하였다. 다만 4번항목인 손잡이 끝부분의 0.3m이상 연장한 수평손잡이의 경우 11곳이 미설치로 50%의 학교가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도의 경우에도 1번, 2번, 4번의 항목에서는 100% 설치로 나타났으며, 다만 3번의 바닥마감재질에 대한 항목에서만 6곳(27%)이 미설치로 나타났다. 화장실의 경우 대부분의 항목에서 모두 잘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5번 항목인 점자표지판의 출입구 옆 벽면 설치에 대한 부분은 6곳(27%)가 미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접근로 시설항목의 경우 접근로 보도의 유효폭 1.2m이상 확보가 필요하며, 접근로와 주출입구 모두에서 기울기 1/18이하의 확보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출입구와 계단의 손잡이 시작과 끝 양끝 부분에 0.3m연장하여 설치하는 것이 확보되지 않고 있었다. 그리고 주출입구의 손잡이 양끝이나 굴절부분의 점자표지판 부착, 화장실의 출입구 옆 벽면의 1.5m높이의 남녀구분용 점자표지판이 미설치인 곳이 많이 나타났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BF certifi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2008 and is compulsory for public buildings and facilities such as government buildings and cultural facilities that are built by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analyze the BF certification standards for schools in Daejeon City, where special classes are installed on the first floor. (Metho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5 steps. 1)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ertification standards for BF certification bodies, as well as facility standard items and the standard tables, according to the certification standards. 2) The homepages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Daejeon area were examined, and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stallation situation in special classes. 3)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for surveying. 4) On-site visits were performed to conduct surveys on accessible spaces. 5) The BF certification status of elementary school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ults) In the field survey, each facility item was evaluated with the previously prepared evaluation criteria. The evaluation was divided into installation - insufficient - non - installation,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9. In the case of the access road, the clearance step of the 5th evaluation item showed a very high evaluation by installing all 22 of the surveyed objects. However, there were more than 7 places that were less than 1/18 of the slope of the sidewalk, which is the second evaluation item, and the evaluation was very low because it corresponds to 31% of the 22 surveyed subjects. In the case of the main entrance, it is evaluated that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main entrance and the access road is less than 2cm, item 4 is regarding whether the rest of the ramp is installed within 0.75m, while item 12 evaluates the slip of the finished material. It was estimated that almost all of the items were installed. The evaluation of the inclination slope of less than 1/12 of item 6 was evaluated as 7 places and the place of 31% was insufficient. Regarding the 8th item, the entrance of the main entrance, in case of attaching braille signs to both ends of the item 11 and the refractive part of the item 11, there were only 3 places where the braille signs were attached, and the number of uninstalled schools was as high as 86, which is 19 places. The evaluation items of the stair elevators were installed in 22 places in the evaluation items 1, 2, 3, 5, 7, and 8. However, in the case of horizontal handles extended more than 0.3m from the end of the handle, which is Item 4, 11 of them were not installed and 50% of schools did not have them. In the case of the corridor, 1, 2, and 4 items were 100% installed, but 6 items (27%) were not installed in 3 items of floor finish material. Most of the restrooms were well installed, but 6 of them (27%) did not install the wall brackets for the braille signs on the 5th item. (Conclusions) In case of the access road facility item,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effective width of 1.2m or more in the access road coverage, and it is found that securing less than 1/18 of the slope is insufficient in both the approach road and the main entrance. It was not secured and was extended 0.3m at both ends of the start and end of the handles of the main entrance and stairs. There were many braille signs on both sides of the handle of the main doorway, a braille sign on the inflection part, and a 1.5m height braille sign on the wall next to the doorway of the toilet.

      • KCI등재

        중고통합운영학교 조성을 위한 사전기획의 공간재구조화와 특화공간디자인 -건양중학교와 건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임오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1998년 통합운영학교 제도가 마련된 이래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학교급별로 유연하게 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는 이점을 바탕으로 최근 통합학교 신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양중학교와 건양고등학교 전체 교사동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공간조성사업의 사전기획을 통해 공간재구조화를 제안하고 특화공간디자인을 계획하여 향후 통합운영학교로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전기획 업무수행지침을 토대로 공간재구조화와 특화공간디자인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공간재구조화란 건양중학교와 건양고등학교의 전체 교사동 교실 전면 재배치를 의미하며, 먼저 학교현황조사를 실시하고, 교육기획의 사용자(교사) 참여를 통해 의견수렴 후 구체적인 공간재구조화안을 제안하고, 사용자 협의회를 통해 최종 공간재구조화를 결정하였다. 최종 공간재구조화에서 특화공간을 선정한 후 공간기획의 사용자(학생) 참여를 통해 공간조성방향 및 컨셉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공간아이디어를 구상하는 수업을 통해 의견을 수렴한 후 기본계획안을 작성하며, 최종 기본계획안은 사용자협의회를 통해 결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황은 학교의 일반현황, 교육현황, 시설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교육기획의 사용자 참여를 통해 미래교수학습 및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공간통합운영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이동동선을 고려하여 각 학년별 학급교실, 홈베이스, 교무센터를 동일한 층에 배치되도록 수평조닝을 하였고, 각 교사동을 잇는 증축부에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함께 사용이 가능한 공간을 배치하여 공간재구조화(안)를 완성하였다. 넷째, 다정다감 도서관을 특화공간으로 선정하고 공간기획의 사용자 참여를 실시하여 기본계획안을 작성하였다. (결론) 본 논문은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가 발생하는 농촌지역의 기존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통합운영학교 가능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grated Operation School System in 1998, integrated schools have been increasing based on the advantage of the flexible creation of school spaces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decline of the school-age popul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d spatial restructuring and planned specialized space design through pre-planning of a spatial creation project for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argeting all teaching buildings at Konyang Middle School and Konyang High School. The study aimed to create a foundation for future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Method) Based on pre-planning guidelines, spatial restructuring and specialized space design were performed separately. Spatial restructuring refers to the total rearrangement of all classrooms in the teaching buildings of Konyang Middle School and Konyang High School. First, the present status of the schools was investigated: opinions of teachers were collected regarding educational planning, a specific spatial restructuring plan was proposed, and the final spatial restructuring plan was decided in a user council. After selecting a specialized space in the final spatial restructuring, the direction and concept of spatial creation were determined through user (students) participation in space planning. User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classes to devise specific spatial creation ideas, a basic plan was determined, and a final basic plan was decided through a user council. (Results) First, the present status of the school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in three categories: general status, educational status, and facility status. Second,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the possibility of spatially integrated operation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identified through user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lanning. Third, horizontal zoning was designed considering the movement of students; therefore, classrooms, home bases, and academic centers for each grade were placed on the same floor, and spatial restructuring was made such that commonly usable spaces b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placed in the extended connecting building between each teaching building. Fourth, the library (learning center) was selected as a specialized space and a basic plan was created through user participation in space planning.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for further research to determine how integrated school operations apply to exist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rural areas where there is a rapid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 KCI등재

        대학병원 HI 심벌마크의 디자인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임오연,김정신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Background and Purpose) Establishing a Hospital Identity (HI) is necessary for the service image of a university hospital; it reflects the type of hospital environment and patient-oriented medical services. HI is widely used in various documents, brochures and promotional materials, and has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power of the hospital’s image and its ability to attract clients. In this paper, we identify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color trends of HI logos in domestic university hospitals, and present this a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an HI as the image of the hospital medical service. (Method) The research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1)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for the basic components of the HI (Hospital Identity). 2) Hospital identities for domestic general hospitals were surveyed and categorized via an internet search. 3) Hospital identities were categorized using a formative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then an analysis of color characteristics. 4) Finally, basic guidelines were presented that can be used to develop HI for hospitals. (Result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HI logos showed that, in terms of letter use, 14(38.9%) hospital identities used English initials, with 31(86.1%) of the total 36 hospitals using the English language for their HI. In terms of symbol use, 11 cases (30.6%) used a cross, and 11 cases (30.6%) used a circle in their designs. The formative combination of letter+symbol was used in 11 cases (30.6%); a letter+design combination was used in seven cases (19.4%), and a letter+symbol+design combination was used in six cases (16.7%). In total, 27 cases (75%) included letters in the combined form, and four cases (11.1%) used only letters, with a total of 31 cases (86.1%) using letters. In terms of color characteristics, a total of 90 color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number of colors used, 15 cases (41.7%) used two and 10 cases (27.8%) used three colors. In the color trend analysis, 40 colors (46.6%) out of 90 were from the B, PB, or BG series. It was concluded that cold color series are the most compatible with hospital image colors. Mid/low value colors (3, 4, 5 or 6 levels) and high chroma colors (9 or 10 levels) were investigated in depth. (Conclusions) Image differentiation strategies using HI logos in university hospitals are indispensable to the customer-oriented medical service paradigm that is typical of the medical market in recent years. Currently, HI and university hospital logos are being analyzed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new visions in HI. Hospital identity development will reflect future medical service improvements, with designs being improved to contribute to global market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 directions in HI development. (연구배경 및 목적) 병원환경 및 환자중심의 의료서비스의 변화에 따라 대학병원의 서비스 이미지에 맞는 HI(Hospital Identity) 구축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HI(Hospital Identity)의 경우 각종 문서, 팜플릿, 홍보자료에 폭넓게 사용하고 있어 이미지 파워나 고객유치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학병원의 HI(Hospital Identity)를 대상으로 심벌마크에 대한 조형적인 특성과 색채경향을 파악하여 병원의 의료서비스 이미지 구축을 위한 HI 개발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1)HI에 대한 기본 구성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2)인터넷 자료 검색을 통해 국내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하여 리스트를 조사한 후 동일 재단에서 운영되는 경우 HI가 동일함으로 분석 검토하여 유형별로 정리하였다. 3)이들 HI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유형별로 정리한 후, 사용색채특성을 분석하였다. 4)최종적으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병원의 HI 개발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결과) HI 심벌마크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문자의 경우 영문 이니셜을 사용하는 곳이 14곳으로 38.9%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HI에 영문을 사용하는 병원은 총 36개 병원중 31곳으로 86.1%를 차지하고 있다. 사물구상의 경우 십자가를 사용하는 경우가 11곳으로 30.6%, 디자인구상에서는 원을 사용하는 경우가 11개로 30.6%로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HI 심벌마크의 조형적 조합특성은 문자+사물구상 2개가 조합된 형태가 11개로 30.6%, 문자와 디자인 구상 2개 조합이 7곳 19.4%, 문자와 사물구상, 디자인구상 3개 조합이 6곳으로 16.7%를 나타나고 있어, 전체적으로 조합형식에 문자를 포함하는 경우가 27곳 75%이며, 문자만 사용하고 있는 곳도 4곳 11.1%로 합하면 31곳 86.1%를 차지하고 있다. 심벌마크의 색채는 조사대상 36개의 병원에서 총 90개의 색채를 조사되었으며, 사용 색채 수는 2가지를 사용하는 병원이 15곳으로 41.7%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3가지가 10곳 27.8%로 나타났다. 사용색채경향은 색상의 경우 B, PB, BG계열의 한색계열이 사용색채 총 90개중 40개로 46.6%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병원의 이미지색채로 한색계열이 가장 부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명도의 경우에는 3,4,5,6의 저중명도, 채도의 경우에는 9, 10의 고채도의 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HI의 심벌마크의 색채사용 경향은 한색(B, PB, BG)계열의 저중명도/고채도의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최근 의료시장의 고객중심의 의료서비스시대로의 패러다임에 걸맞는 노력으로 대학병원의 HI의 심벌마크를 도입한 이미지 차별화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현재 대학병원의 HI, 심벌마크의 현황파악을 하여 새로운 비젼에 적합한 HI개발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미래 의료개혁에 따른 의료서비스를 반영한 HI개발은 글로벌화되고 있는 의료환경에 맞춘 마케팅전략을 위해 반드시 디자인이 개선되어야하며, 본 논문의 결과는 HI 개발 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서천군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설정에 관한 연구

        임오연 ( Yim Ohyon ),김정신 ( Kim Jungsh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서천군의 경관계획의 미래상에 준하여 지역차별성을 통한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시환경색채를 체계화하고 차별성 있는 색채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서천군의 경관계획은 충청남도 서천군 전역(면적358.04㎢)의 2개읍, 11개면을 대상으로 수립되었다. 그 중에서도 색채는 특정경관계획으로써 경관계획의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기초로 하여 수변관리권역, 생태보전권역, 청청자연권역, 생활중심권역의 4개경관권역으로 설정하고, 각 경관권역별 특징에 맞는 색채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무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단독주택, 공동주택, 상업건축, 공업건축, 공공건축의 용도별 색채와 가로시설물, 기반시설물, 옥외광고물 등 공공시설물을 대상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결과) 서천군의 자연환경색채는 YR, B, BG, GY의 다양한 색상의 고-중-저명도, 저-중-고채도의 색채범위를 갖고 있으며, 인공환경색채는 YR, RB, B, BG의 색상계열에 고-중-저명도, 중-저채도의 색채범위를 갖고 있다. 공공시설물의 색채는 YR, R, BG, B의 색상계열에 고-중-저명도, 저-중-고채도의 색채범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경관색채 현황 조사분석을 하여 서천군 대표색 12색을 선정하였다. 서천군 경관권역별 수변관리권역은 서해안과 금강을 접하고 있어 맑은 이미지로 명도가 높은 light톤의 색채범위를, 생태보존권역은 녹색문화이미지를 보유하고 청정자연권역은 산지와 농경문화를 포함하여 내츄럴한 이미지로 중-저명도와 Soft톤의 색채범위를, 생활중심권역은 시가화 예상지역으로 명도가 높은 Bright톤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건축물 용도별 색채가이드라인은 각각의 용도에 부합하는 기본목표와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의 색채범위를 제시하였다. 공공시설물의 경우에는 각각의 역할에 따라 가로시설물의 경우에는 기조색, 강조색, 기반시설물의 경우에는 주조색, 보조색, 강조색, 옥외광고물의 경우에는 바탕색, 글자색으로 분류하여 색채범위를 제시하였다. (결론)서천군 경관색채가이드라인은 수변관리권역, 생태보존권역, 청정지역권역, 생활중심권역 4개의 경관권역별, 단독주택, 공동주택, 상업건축물, 공업건축물, 공공건축물의 5가지 건축물용도별, 가로시설물, 기반시설물, 옥외광고물 3개의 공공시설물별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색채가이드라인은 서천군의 경관색채계획시 일관된 기준으로 적용되어 도시전체의 이미지를 통합하고, 지역별, 요소별 기능에 적합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제시로 도시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organize colors so as to represent an urban environment and establish distinctive color guidelines to secure regional differentiation in accordance with the future landscape plan of Seocheon-gun. (Method) The landscape plan of Seocheon-gun was established for two eups and 11 myeons i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358.04㎢). Among them, colors were used to represent a specific landscape plan, based on the basic landscape plan guidelines. The waterfront management area, the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the Cheongcheong natural area, and the life-centered area were set as the four landscape areas, and colors match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ndscape area were determined. In addition, color guidelines were presented for detached dwellings, apartment houses, commercial buildings, industrial buildings, and public buildings, street facilities, infrastructure, and outdoor advertisements for use in practice. (Results) The Natural Environment Color of Seocheon-gun used a range of colors that were high-medium-low in brightness and low-medium-high in saturation of various YR, B, BG, and GY colors , whereas Artificial Environmental Colors used high-medium-low brightness and medium-low saturation from the YR, RB, B, BG color series. Public facilities used a color range high-medium-low in brightness and low-medium-high in saturation from the YR, R, BG, and B color series. Twelve representative colors of Seocheon-gun were then selected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current landscape color status. The waterfront management area for each landscape area in Seocheon-gun faces the west coast and the Geum-gang river, so light tones high in brightness with a clear image were used. In the case of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roles, the color range categorized them into key tone colors, accent colors for street facilities, main colors, auxiliary colors, and accent colors for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background colors and text colors for outdoor advertisements. (Conclusion) The landscape color guidelines for the Seocheon-gun landscape presented accurately the four landscape areas (i.e., the waterfront area,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clean area area, life-centered area); five types of buildings (i.e., detached houses, apartment houses, commercial buildings, industrial buildings, public buildings); and three types of street facilities (i.e., street facilities, infrastructure facilities, outdoor advertisements). The color guideline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a standard when planning the landscape colors of Seocheon-gun, so as to integrate the image of the whole city, and they will be used as data to enhance the city image by introducing specific guidelines representing functions by region and el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