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웹 내비게이션 디자인 기능성 확장에 대한 연구

        임양미(Lim Yangmi),임양미(Lim Yangmi)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최근 기술과 디자인의 결합은 사슬고리처럼 연계되어 어떤 것이 디자인이고 기술인지 구분하기 힘들다. 이들의 결합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예고하고 기존의 독립된 역할과 기능을 전환 융합시킨다. 과거에 디자인의 가치는 사회의 생산 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현재의 디자인은 기술과 결합하면서 사회의 생산 구조를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또한 이들의 융합으로 나타난 상품 및 기능들은 미디어를 매개로 하여 상호협력을 통해 디자인과 기술의 융화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사용자와 제공자의 영역 구분이 모호한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디자인의 역할은 상당히 중요해졌으며 이에 새로운 기능 또는 상품이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 및 제공자(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과 테크놀로지의 결합이 빚어낸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을 고찰하고 차세대 내비게이션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95년 새롬통신 접속화면부터 2011년 소니사의 웹사이트 디자인의 내비게이션 사례를 들어보고자 한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시대별 흐름에 따라 요구되는 디자인 기능의 변화를 고찰하였고 디자인의 기능적 구조 분석을 통해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한 결과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웹 내비게이션 디자인 기능이 통일성 사용성 효율성으로 확장됨을 보았으며 앞으로의 디자인은 사용자 및 제공자(기업) 모두 사회 책임적인 자세로 디자인 방향을 추진해야 함을 모색하였다. Recently it's not easy to divide whether one is design or technology as design was connected with technology as chained links. The connection heralds a new paradigm integrates and switches the existing individual role and function. In the past the value of design didn't affect the production structure of society directly while the present design connected with technology functioned to link the structure. Also products and function created by the integration enhance increasingly harmony of technology and design with mutual cooperation through media. In the new ambiguous paradigm to divide domain into user and supplier the role of design is very important. Accordingly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user and supplier(company) have been enforced so that products and function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The study considers a new design paradigm created by connection with design and technology and aims to suggest next design direction. For these instances SaeRom Communication Service's access screen in 1995 and web site design navigation of SONY in 2011 were quoted. The study considered variation of design function required by the current trends through the instances and drew a conclusion of new design direction through structural analysis of design function. The result extracted by this study showed that web navigation design function expanded into unity usability and efficiency according to paradigm's variation and found to carry forward next design direction with the responsible attitudes of all of user and supplier(company) in society.

      • KCI등재

        리얼리티 아바타 초상화를 통한 가상 세계에서의 정체성 표현에 관한 고찰

        임양미(Lim Yang Mi)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가상세계과 현실세계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점을 자신의 정체성이 명확한 리얼리티(reality) 아바타 초상화의 역할을 통해 분석하고 본 연구에서 제작한 리얼리티 아바타 초상화를 이용한 채팅(chatting) 작품의 제작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특성을 갖고 있는 SNS에서 사용하는 아바타의 범죄적 행위를 제한하기 위해 아바타 초상화의 개념을 설정하였다. 초상화란 아름다움과 예술성 외에 존경, 흠숭(欽崇), 사랑 등을 나타낸다. 또한 과거의 초상화들을 통해 옛사람들의 생활상을 지금의 현대인들이 생생하게 볼 수 있다는 것은 경이로운 즐거움이며, 초상화만이 갖는 특징이다. 이러한 점을 활용하여 실시간 초상화 아바타를 통해 가상세계의 다른 아바타들과 소통이 되도록 구현한다면 현실세계의 사회적 통념 및 규범들을 가상세계에 이전시킬 수 있을 것 이다. 본 연구에서는 리얼리티 아바타 초상화를 통해 가상세계의 탈규범에 대항하는 자율성을 유도하고, 가상세계에서의 활동에서도 자기 성찰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예술적 방향을 제시한다. The study analysis the social problems through the role of the avatar portrait based on the virtual world and real world which used in SNS(social network service), and explains to expla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chat (chatting) with reality avatar portrait work. It analyzes the meaning and trend of expressing the self-identity through avatars over SNS. It also looks at the possibility to express the identity of portrait of avatars that is produced by utilizing the real-time image based on giving the reality of the real world. It established the concept of the portrait of avatar to limit the avatar’s criminal acts that transcend the real and virtual world. The portrait represents the beauty, artistry as well as respect, adoration and love, etc. In addition, the modern people vividly seeing the lifestyles of ancient people through the portraits of the past are the wonderful pleasure, and it 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portrait. If implementing to communicate with other avatars of virtual world through real-time portrait of avatar by utilizing these points, the conventional wisdom and norms of real world can be shifted to the virtual world. In this study, it induces the autonomy against the norms of virtual world through portrait of reality avatar and presents the artistic way that can have the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even in the activities in the virtual worl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 및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임양미(Lim, Yangmi),서재복(Seo, Jaebok),심준영(Shim, Joonyoung)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1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6 No.2

        한국사회는 국제결혼의 증가와 더불어 본격적으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 경로와 자아탄력성 및 결혼만족도의 개별적·순차적 매개과정을 통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 경로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228명을 대상으로 측정한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은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은 자아탄력성 또는 결혼만족도의 개별적 매개과정을 통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간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은 자아탄력성과 결혼만족도의 순차적 매개과정을 통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간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자아탄력성과 결혼만족도는 사회적 자본과 문화적응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지역사회기관에서 자아탄력성과 결혼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운영을 활성화하며, 한국인 배우자와 부모를 대상으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지원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riage immigrant women’s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ve stress, as well as the dual mediating roles of ego-resiliency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data of this study was taken from 228 marriage immigrant wome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revealed that the direct effect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social capital on acculturative stress was not significant. Second, marriage immigrant women’s ego-resiliency individually mediated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ir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ve stress. Third, marriage immigrant women’s marital satisfaction individually mediated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ir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ve stress. Furthermore, marriage immigrant women’s ego-resiliency and marital satisfaction played a sequential mediating role in linking process between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ve stress. Therefore, marriage immigrant women’s ego-resiliency and marital satisfact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ve stress.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necessities of programs to increase immigrant women’s ego-resiliency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of educational programs for spouses and parents in-law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and family support, which ultimately leads to facilitating immigrant women’s cultural adaption.

      • KCI등재후보

        입체영상의 점진적 공간감 유도 연출을 위한 3차원 공간 연출 표현 분석

        임양미(Lim, Yang Mi)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2010년 전후를 기준하여 입체영상은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스포츠, 뮤직비디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어 급속한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입체영상은 관객이 영상속의 한 가운데 있는 것과 같은 공간감을 느끼게 해주는 기술로 스크린 밖으로 물체가 돌출(negative parallax)되게 연출하거나 또는 물체를 스크린 뒤로 멀리 배치시켜 깊이감(positive parallax) 느끼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이러한 돌출 및 깊이 표현을 강하게 사용하면 관객에게 신비로움을 줄 수 있으나, 과도한 피로감도 같이 주게 되기 때문에 끝까지 입체영화의 재미를 만끽할 수가 없다. 본 논문은 자연스러운 입체감 표현을 위한 음의 시차(돌출) 및 양의 시차(깊이)에 대한 장면연출에 있어, 단안시요인(경험적 요인)을 단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히스테레시스 현상이 나타남을 분석하였다. 먼저, 양안시 요인과 단안시 요인을 설명하고, 다음으로 3차원 공간에서 단안시 요인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입체영상 ‘스파이더맨’, ‘아바타’, ‘트론’ 영화의 샷분석을 하였고, 공간감이 점진적으로 커져갈 경우 인간시각체계가 공간감을 무리없이 처리할 수 있음을 도출하였다. 향후, 본 연구는 입체영상의 공간 지속성(continuity) 연출 기법에 대해 발전시킬 예정이다. There has been a fast development of stereoscopic 3D technology which has been used for movies, animation, computer games, sports, music videos, and so on since 2010. stereoscopic 3D technology, that can make people feel like they are standing in the middle of the scene, directs some objects to look like they come out from the screen(negative parallax) or make people feel like the objects stay in the background of the screen(positive parallax). These kinds of techniques(negative parallax, positive parallax) make people feel fantastic. On the other hand they can easily feel tired, so the audiences’ enjoyment continues to diminish to the end of the stereoscopic 3D movie. The paper undertakes an analysis of appearance of hysteresis phenomenon from scenes direction about the negative parallax and positive the parallax for a more natural stereoscopic 3D expression, by using step-by-step monocular vision factors. First, we explain monocular and binocular factors, and then analyze how monocular factor express in three-dimensional space. The shots of "Spider-Man", "Avatar", "Tron" were analyzed based on monocular factor in three-dimensional space. In case of gradually enlarged sense of space, we deducted that the human visual system can handle without difficulty spaciousness. In the future, we will develop directive technique for spatial continuity of stereoscopic 3D.

      • KCI등재

        부모의 방임 및 학대, 교사에 대한 친밀감과 또래애착이 초등학생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양미(Lim, Yang Mi) 한국생활과학회 2014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child neglect·abuse by parents, childrens intimacy with teachers and peer attachment influenced boys and girls psycho-social maladjustment(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2,264 elementary school students(boys: 1,180, girls: 1,084) in upper grades participating in the Korea Child Youth Panel Survey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regardless of childrens sex, as child abuse levels by parents are higher, so childrens aggression levels are higher. Also, childrens intimacy with teachers and peer attachment moderated the effects of child neglect·abuse by parents on both boys and girls aggression. But the patters of moderating effects were differed in childrens sex. Secondly, child neglect·abuse by parents didnt influence boys and girls social withdrawal and boys peer attachment moderated the effects of child neglect by parents on boys social withdrawal. Finally, child abuse by parents strongly influenced boys depression, but child neglect by parents strongly influenced girls depression. Also, there were no moderating effects of childrens intimacy with teachers and peer attachment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 abuse·neglect by parents, and boys and girls depression.

      • KCI등재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 강압적 양육행동, 초등학교 자녀의 미디어기기 의존 및 집행기능 곤란 간의 구조적 관계

        임양미(Lim, Yangmi) 한국학부모학회 2020 학부모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자신과 상대방의 강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자녀의 집행기능 곤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강압적 양육행동과 자녀의 미디어기기 의존의 다중 매개역할을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연구(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10차 조사에 참여한 520쌍의 맞벌이 부모와 초등학교 3학년 자녀로, 수집된 자료에 대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델과 팬텀변수를 활용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은 자신과 상대방의 강압적 양육행동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은 어머니의 강압적 양육행동과 자녀의 미디어기기 의존의 독립적·순차적 매개과정을 통해 집행기능 곤란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매개과정은 부모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자녀의 집행기능 발달과 올바른 미디어기기 사용에 대한 부모교육 실시와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속적인 정책적 노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effects of parents’ work·family conflicts on their and partners’ coercive parenting, as well as the multiple mediating roles of coercive parenting and children’s media device dependency in linking parents’ work·family conflicts with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is study used data from 520 dual-earner parents and their 3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parents’ work·family conflicts positively influenced their and partners’ coercive parenting. Second, parents’ work·family conflicts exerted indirect effects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rough the independent and serial mediating processes of mothers’ coercive parenting and children’s media device dependency,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processes by parents’ sex.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parent education to improv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use media device appropriately and of continuous policy efforts for dual-earner parents’ work-family balance.

      • KCI우수등재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중학생의 협동역량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 및 그릿의 매개효과

        임양미(Yangmi Lim)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1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direct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cooperative compete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and grit on this process.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e individual and sequential mediating processes of peer relationships and grit in the association between positive parenting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operative competen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551 middle school first graders (boys: 1,383, girls: 1,168)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Preliminary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with AMOS 25.0 program was conducted to examine a multiple mediation model the current study suggested. Results: First, the direct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cooperative competence was not significant. Second, positive parenting exerted an indirect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cooperative competence through peer relationships and grit. Specifically, peer relationships and grit individu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ositive parenting and cooperative competence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Furthermore, peer relationships and grit played a sequential mediating role in linking positive parenting with cooperative competence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as parents showed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adolescents formed positive peer relationships, which sequentially leads to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grit and cooperative competence.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at parents have an influence on adolescents’ cooperative competence by facilitating high-quality peer relationships and grit development through the elements of positive parenting such as warmth,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학교활동 참여와 부모효능감 및 중학생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간 종단적 상호 영향 분석

        임양미(Lim, Yangmi)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학교활동 참여, 부모효능감 및 중학생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종단적 상호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 조사에 참여한 중학생(남학생: 585명, 여학생: 607명, 평균 연령: 12.96 ± .34) 및 외국인 어머니(각각 1,192명)의 4∼6차년도(중1∼중3) 자료에 대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어머니의 학교활동 참여, 부모효능감,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안정적 경향을 보였다. 둘째, 외국인 어머니의 학교활동 참여와 부모효능감 간의 관계에 있어, 이전 시점의 외국인 어머니의 학교활동 참여가 다음 시점의 부모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만 의미 있게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국인 어머니의 학교활동 참여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 있어, 이전 시점의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이 다음 시점의 외국인 어머니의 학교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만 의미 있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외국인 어머니의 양육요인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호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을 도모하고 부모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어머니의 학교활동 참여를 증진하는 방안과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학교 측의 다각적인 지원책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s school involvement, parenting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 children. I used three-wave longitudinal data-measured at the first grade, the second grade, and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of 1,192 adolescents and foreign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urvey conducted by NYPI.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the levels of foreign mothers school involvement, parenting self-efficacy,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ended to be stable over time. Further, the positive effect of foreign mothers’ school involvement on parenting self-efficacy was only significant, but not vice versa. Thirdly,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foreig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were all significant. Additionally, the positive effect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on foreign mothers’ school involvement was only significant, but not vice versa. By identifying the transactional relationships among foreign mothers’ school involvement, parenting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 children,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activate foreign mothers’ school involvement and the need for schools to offer continuous guidance and counseling in order to promote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increase parenting self-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