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학령기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일-가족 갈등 변화 유형화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임아리 ( Lim A Ri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가족복지학 Vol.67 No.4

        본 연구는 초기학령기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일-가족 갈등 변화 유형을 분석하고 도출된 일-가족 갈등 변화 유형에 대한 영향요인을 밝혀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성장혼합모델을 활용하여 일-가족 갈등의 변화유형을 분석하고, 변화유형의 영향요인 검증을 위해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한국아동패널의 8차년도(2015)부터 10차년도(2017)년도까지이며, 분석대상은 초기학령기 자녀를 두고 있으며, 기혼상태의 취업 여성 454명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가족 갈등의 변화 유형은 두 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일-가족 갈등 변화 수준에 따라 ‘감소집단’, ‘증가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일-가족 갈등 변화 유형에 대한 영향요인으로는 돌봄정책이용여부, 종사지위, 결혼만족도가 도출되었다. 돌봄정책을 이용한 경우 증가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으며, 종사지위는 임시일용직일 경우 상용직보다 감소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감소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기학령기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일-가족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of work-family conflict changes in the time flow among married women with early school ag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types of work-family conflict changes and to suggest social welfare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type of work-family conflict using the Growth Mixture Model and us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to verify the influence factors of change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454 married working women with early school age children using data from the eighth year (2015) to the tenth year (2017)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change in work-family conflict were classified into two potential groups, and they were divided into ‘reduced group’ and ‘increased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change. Second,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work-family conflict, it appears that the more usage of caring policies for early school-age children. In addition, married women who are engaged in temporary work are less likely to belong to the higher work-family conflict group than regular workers. Moreover,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more likely it was to belong to the ‘reduced group’ of work-family conflict.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policy intervention.

      • KCI등재

        코로나19와 미취학자녀를 둔 여성의 자녀돌봄에 관한 질적 연구

        임아리 ( Lim A Ri ),문혜린 ( Moon Hye Ri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가족복지학 Vol.6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달라진 미취한 자녀의 돌봄 상황을 확인하고, 달라진 돌봄 안에서 여성의 삶은 어떠한지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혼인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미취학 자녀의 주돌봄 제공자인 여성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2개의 상위범주와 5개의 중간범주, 12개의 하위범주, 25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의 실제적인 돌봄 경험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달라진 돌봄 상황에서 여성들의 삶의 모습 및 태도 등 다양한 측면에서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계속되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나아갈 미취학 자녀의 돌봄 방향성과 자녀돌봄을 여성들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care situation of preschool children that has changed due to COVID-19, and to explore what a woman’s life is like in the changed ca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6 women who are married and are the primary caregivers for preschool children.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selected as a research method for analyzing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2 upper categories, 5 intermediate categories, 13 subcategories, and 31 concept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hecked the actual caring experience of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in the COVID-19 situation.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various aspects of women’s lives and attitudes in the changed care situ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the direction of care for preschool children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women to take care of children in the ongoing COVID-19 situation.

      • KCI등재

        가족치료 사례로 탐색한 부자갈등에 관한 연구

        임아리 ( Ari Lim ),문혜린 ( Hyerin Moon ),박태영 ( Tai-young Park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족치료 사례를 통하여 부자갈등이 발생하게 된 요인들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실제 사례를 맥락적으로 이해하는데 유용한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주제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ATLAS.ti. 8.0를 활용하여 코딩과 패턴코딩을 도출하였고, 그 결과를 개념적으로 군집화된 네트워크(conceptually clustered network)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였다. 연구결과: 부자갈등의 발생 요인에는 부자의 불안정 애착, 부자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과 아버지의 아들에 대한 전이가 나타났다. 부자 모두 자신의 부모와 불안정한 애착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아버지와 아들은 서로 동일한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갈등을 심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는 원가족에서 모와 큰형의 갈등에서 느꼈던 형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현재 자신과 부자갈등을 겪고 있는 아들에게 전이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버지의 원가족내 모자갈등과 현재의 부자갈등과 동일한 패턴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부자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가족체계론적인 관점에서 제시하였다는 점과 부모와의 애착문제, 원가족과의 해결되지 못한 관계로 인한 전이, 부자간의 역기능적인 의사소통 방식으로 인하여 부자갈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related to family conflict and the family dynamics by analyzing a family therapy case of a client experiencing father-son conflict. Method: This research uses thematic analysis to analyze implicit and explicit ideas using counseling transcripts and counseling logs as primary data. Network was employed to effectively suggest the analysis results. Result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as the factors related to the client’s conflict with his father. First, the father who formed insecure attachment with his father has formed insecure attachment with his son [the client]; thus, the father and son lacked emotional connection. Second, the internal emotional problems derived from the insecure attachment between the father and son were externally manifested in their communic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ultigenerational transference of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had an effect on the father-son conflict. The mother-son conflict that appeared in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appeared in the same pattern as the father-son conflict in the client’s current family.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that it analyzed factors related to the father-son conflict based on family system approach.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attachment problem with parents, the transference due to unsolved problem with family of origin,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 between a father and a s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중단시점의 안산시 만 12세 청소년의 영구치 우식 발생 실태

        류재인 ( Jae-in Ryu ),정세환 ( Se-hwan Jung ),이새롬 ( Sae-rom Lee ),임아랑 ( A-rang Lim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21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45 No.2

        Objectives: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CWF) was suspended in Ansan city in 201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spect the status of caries in the permanent teeth of adolescents and suggest the index as the baseline for cohort study in the CWF suspended area. Methods: Oral examinations and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on adolescents aged 12 years. Of 1,479 individuals, 890 (60.2%) consented to the examinations. Frequency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ermanent dental caries by demographic, sociological, and health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pproval from IRB Kyung Hee University. Results: The findings reveal gaps in the prevalence of caries among the study sample according to demographic, sociological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Rates of untreated caries were higher among adolescents who stayed in the area for a lesser duration, had foreign parents, or had cariogenic drinks more often (p<0.05). Conclusions: A gap in untreated caries was observed based on demographic, sociological, and health behavioral factor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e need to monitor oral health following cessation of CWF, along with developing alternative programs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