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승주 ( Seung-ju Lim ),이해룡 ( Hae-lyong Lee ),박준석 ( Jun-seok Park ),김정도 ( Jeong-do Kim ) 한국센서학회 2016 센서학회지 Vol.25 No.6
The application of visual and auditory senses into virtual reality is easily taken for granted, but the sense of smell has been largely ignored. But many researches have shown that olfactory stimul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can increase the immersion and reality. In practical virtual reality, the use of scents is not always able to increase the immersion and reality. An ill-matched scent can decrease the reality. To solve this problem, we developed scent devices that can adjustable scents and scent intensity in order to display a well-matched scents in virtual reality. And we propose simple and practical way to program specific location to display scents and developed API function to control a developed scent device at virtual reality software.
임승주(Seung-Ju Lim),김아람(Ah-Ram Kim ),박강현(Kang-Hyun Park),양민아(Min Ah Yang),박지혁(Ji-Hyuk Par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4 재활치료과학 Vol.13 No.1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factors and risk of frail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South Korean adults.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10,072 individuals aged 65 or older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a cohort of community-dwelling older South Koreans. The following lifestyle factors were assessed: physical activity, nutrition management (NM), and leisure/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P). Frailty was measured using the frail scale and depressive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odds ratios. Results : All lifestyl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frail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study population. Regular exercise (≥3 times/wk, odds ratio [OR] = 0.59,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 0.52~0.91; OR = 0.66, 95% CI = 0.59~0.75), active NM (OR = 0.86, 95% CI = 0.80~0.91; OR = 0.81, 95% CI = 0.76~0.86), leisure AP (OR = 0.79, 95% CI = 0.74~0.84; OR = 0.71, 95% CI = 0.66~0.77) and social AP (OR = 0.92, 95% CI = 0.88~0.96; OR = 0.82, 95% CI = 0.78~0.87) were correlated with lower odds ratios of frailty and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 Adopting a healthier lifestyle characterized by regular exercise, balanced nutrition, and active engagement in various activities can effectively reduce the risk of frail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older population. Ultimately, this study emphasized the essential role of lifestyle choices in promoting the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of older adults.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의 요소가 허약 및 우울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7년에 수집된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0,072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라이프스타일의 요소는 신체활동, 영양 관리, 여가 및 사회활동 참여 변수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허약은 허약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고, 우울 증상은 노인우울 선별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노인의 허약 및 우울 위험도에 대한 라이프스타일의 오즈비(odds ratio, OR)를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 모든 라이프스타일의 요인은 허약 및 우울 위험도와 유의미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허약 및 우울의 OR은 주 3회 이상의 정기적인 운동(OR = 0.59,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 0.52~0.91; OR = 0.66, 95% CI = 0.59~0.75), 적극적인 영양 관리(OR = 0.86, 95% CI = 0.80~0.91; OR = 0.81, 95% CI = 0.76~0.86), 여가 참여(OR = 0.79, 95% CI = 0.74~0.84; OR = 0.71, 95% CI = 0.66~0.77), 사회 활동의 참여(OR = 0.92, 95% CI = 0.88~0.96; OR = 0.82, 95% CI = 0.78~0.87)를통해 낮춰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정기적인 운동, 균형 잡힌 영양 관리 및 다양한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특징으로 하는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이 노인의 허약 및 우울 위험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노인의 신체 건강 및 정신 건강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라이프스타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임승주(Lim, Seung-Ju),원경아(Won, Kyung-A),김대겸(Kim, Dae-Gyeom),김영(Kim, Young),박지혁(Park, Ji-Hyu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2
목적 :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상지기능과 이중과제 수행능력의 평가 및 훈련을 위해 개발중인 스마트 스태킹 콘을 시제품 단계까지 개발하여, 사용성을 파악하고 수정 및 보완점을 점검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ICT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스태킹 콘’의 시제품을 개발하였으며, 평가 및 훈련으로부터 생성되는 피험자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회로 및 소프트웨어 기능을 설계하였다. 또한, 피험자의 수행을 올바르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체화된 측정변수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일과제 평가모드’, ‘이중과제 평가모드’, ‘단일과제 훈련모드’, ‘이중과제 훈련모드’로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제품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과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사용성 평가 결과 개발된 시제품에 대해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다. 특히, ‘콘텐츠 적절성’ 영역은 적절 수준이 가장 높게 응답된 영역이자 부적절 수준이 가장 저조하게 나타난 영역으로 확인되었고, ‘전반적 만족도’ 영역은 매우 적절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임과 동시에 부적절 수준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으로, 기기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기를 수정하여 완성한 후 실제 환자군에게 적용해봄으로써, 기기의 임상적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prototypes of “smart stacking cones” by combining ICT to evaluate and trai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dual task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impairment, and to identify the complementary point to the completion of the device through a usability test. Methods : This prototype comprised of a hardware and software system that enabled the evaluation and training of patients and the management of data obtained from patients’ performance. Specific measurement variables were established so that patient performance could be measured correctly. Based on the measurement variables, a the prototype included a ‘single task evaluation modes’, ‘dual task evaluation mode’, ‘single task training mode’, and ‘dual task training modes’. Additionally, a usability test was conducted to assess clinical applicabi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prototype. Results :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 were generally found to be appropriate. The ‘content adequacy’ in the usability test was the area with the highest level of adequacy and the lowest level of inadequacy. Additionally, overall ‘satisfaction’ in the usability test was the area with the highest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levels. Hence, the overall satisfaction results were unstable. Conclusion :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he device by applying an upgraded smart stacking cone to an actual patient group.
채용공고 분석을 통한 작업치료사 구직 시장에 대한 연구
임승주(Lim Seung-Ju),양민아(Yang Min-A),한대성(Han Dae-Sung),박지혁(Park Ji-Hyu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2
목적 :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8년까지의 작업치료사 채용공고를 분석하여 작업치료사 구직 시장을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사 국가시험 응시 및 합격 현황과 작업치료 포털사이트(오티브레인)에 게시된총 15,869건의 작업치료사 채용 공고를 수집하여 지역, 고용형태, 급여수준, 채용시기, 채용분야를 기준으로 작업치료사 구직 시장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도별 작업치료사 전체 채용공고 건수는 국가시험 합격인원보다 평균 544건 높게 나타났으며, 서울과 경기지역에 채용공고가 집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용형태의 경우 연도별 정규직 채용비율이감소추세를 보였으나, 비정규직 채용비율은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급여수준은 연봉 2,000만원 이상 2,500 만원 이하의 수준이 가장 높았고, 채용분야는 성인 및 노인분야 공고가 아동분야 공고보다 약 4.6배이상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구직시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job market for occupational therapists by analyzing recruitment advertisement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2011 to 2018. Methods : A total of 15,869 job placement notices posted on the portal site(http://otbrain.com/)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job market for occupational therapists based on their regions, employment types, salary levels, employment times, and recruitment fields.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annual recruitment advertisement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as 544 which was higher than the number of people who passed the national exam. According to the region, recruitments were concentrated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the employment rate of permanent workers was on the decline but that of temporary workers showed an increasing trend. The salary level was the highest with the annual salary ranging from 20 million won to 25 million won or less, and the recruitment fields were found to have about 4.6 times more offerings in the adult and senior fields than in the pediatric fields. Conclusion : These study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identifying the job market for occupational therapists.
PEDOT 기상중합 원단을 이용한 멀티 레이어 압력 센서 개발
임승주 ( Seung Ju Lim ),배종혁 ( Jong Hyuk Bae ),장성진 ( Jee Young Lim ),임지영 ( Keun Hae Park ),박근혜 ( Seong Jin Jang ),고재훈 ( Jae Hoon Ko ) 한국센서학회 2018 센서학회지 Vol.27 No.3
Smart textile industries have been precipitously developed and extended to electronic textiles and wearable devices in recent years. In particular, owing to an increasingly aging society, the elderly healthcare field has been highlighted in the smart device industries, and pressure sensors can be utilized in various elderly healthcare products such as flooring, mattress, and vital-sign measuring devices. Furthermore, elderly healthcare products need to be more lightweight and flexible. To fulfill those needs, textile-based pressure sensors is considered to be an attractive solution. In this research, to apply a textile to the second layer using a pressure sensing device, a novel type of conductive textile was fabricated using vapor phase polymerization of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Vapor phase polymerization is suitable for preparing the conductive textile because the reaction can be controlled simply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does not need high-temperature processing. The morphology of the obtained PEDOT-conductive textile was observed through th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Moreover, the resistance was measured using an ohmmeter and was confirmed to be adjustable to various resistance range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he oxidant solution and polymerization conditions. A 3-layer 81-point multi-pressure sensor was fabricated using the PEDOT-conductive textile prepared herein. A 3D-viewer program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sensitivity and multi-pressure recognition of the textile-based multi-pressure sensor. Finally,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PEDOT-conductive textiles could be utilized by pressure sensors.
지역사회 노인의 그룹기반 우울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체계적 고찰
임승주(Lim Seung-Ju),박지혁(Park Ji-Hyuk)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19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그룹기반 우울 중재 프로그램 연구를 분석하여 지역사회 노인에게 효과적인 우울 중재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PubMed, EMBASE, CINAHL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였으며, 주요검색 용어로는 older* OR elder* , community AND group , depress* , intervention OR program 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6편의 연구에서 10개의 우울 중재 프로그램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선정된 6편 연구는 모두 무작위 통제 실험연구로 근거수준 I에 해당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높았으며, 우울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는 모두 short GDS가 사용되었다. 중재는 4개로 구분되며 운동프로그램, 사회적 중재와 인지적 중재, 웃음 치료 순으로 많이 시행되었다. 각각의 회기별 시간과 중재 기간은 다양하였고, 프로그램의 장기적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검사가 실시된 연구가 많은 것으로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그룹기반의 우울 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는 작업치료 현장에서 효과적인 우울 중재가 이루어지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roup-ba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for developing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We searched PubMed, EMBASE, and CINAHL for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8. The key words used in the search were“older* OR elder*”, “community AND group”, “depress*” and “intervention OR program”. From a total of 6 papers, the data of 10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were extracted. Results: All papers reported level I evidence, indicating that the overall evidence level was high. The subjects included more women than men, and the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was used for measuring depression.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exercise programs, social interventions, cognitive interventions, and laughter therapy. The time and duration of each session varied, and many studies conducted post-tests to verify the long-term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Conclusion: Through this systematic review,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group-ba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by occupational therapists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for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고령자의 식생활 및 식품 소비 행태에 대한 독거 효과 분석
임승주(Seung-Ju Lim),안병일(Byeong-Il Ahn)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22 한국농식품정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8
이 논문은 독거 고령자와 유사한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을 가진 비독거 고령자를 매칭하여 식생활 및 식품 소비 행태에 대한 독거 효과를 검증하였다. 즉, 식사 규칙성, 식생활, 식품 안전성, 식품 소비 역량 영역에서 고령자가 혼자 생활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독거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독거 여부가 식생활 및 식품 소비 행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할 때 선택 편향과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PSM)을 활용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6~2021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고, 분석 대상은 성인 가구원 조사 응답자 중에서 만 60세 이상 고령자(독거: 671명, 비독거: 2,912명)로 선정하였다. 성향점수매칭(PSM) 분석 결과, 독거 고령자는 비독거 고령자에 비해 식사 규칙성이 낮은 수준이고 일주일간 아침식사를 거른 횟수가 2배가량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 고령자가 비독거 고령자보다 식생활 만족도와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가 비교적 낮은 수준이고, 안전한 식품에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도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독거 고령자가 비독거 고령자보다 음식 구매에 대한 경제적 여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독거 고령자가 식품 소비에 취약한 계층이고 충분한 식품을 섭취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ECG 신호에서 단위패턴간 유사도분석을 이용한 부정맥 분류 알고리즘
배정현,임승주,김정주,박성대,김정도,Bae, Jung-Hyoun,Lim, Seung-Ju,Kim, Jeong-Ju,Park, Sung-Dae,Kim, Jeong-Do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9 No.1
조기심실수축과 조기심방수축을 검출하기 위한 대부분의 알고리즘은 정확한 QRS complex, P파 및 T파의 측정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복잡한 매개변수와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조기심실수축과 조기심방수축을 검출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대부분의 정상 ECG 파형 뿐만 아니라 개인적 특징과 개인적 차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 파형에도 적용할 수 있는 넓은 적용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ECG 파형을 각각의 단위 패턴으로 분리한 후, 정상 R-R 간격을 가지는 단위패턴만을 사용하여 기준단위패턴을 만든다. 그 후에, 기준단위 패턴과 각각의 단위패턴 사이에 패턴매칭을 위한 유사도 분석을 사용하여 조기심실수축과 조기심방수축을 검출한다. Most methods for detecting PVC and APC require the measurement of accurate QRS complex, P wave and T wave. In this study, we propose new algorithm for detecting PVC and APC without using complex parameter and algorithms. Proposed algorithm have wide applicability to abnormal waveform by personal distinction and difference as well as all sorts of normal waveform on ECG. To achieve this, we separate ECG signal into each unit patterns and made a standard unit pattern by just using unit patterns which have normal R-R internal. After that, we detect PVC and APC by using similarity analysis for pattern matching between standard unit pattern and each unit patter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