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축공사의 공정관리를 위한 타워크레인 양중 효율성 분석

        배정현,김기혁,이동훈,Bae, Jeong-Hyeon,Kim, Ki-Hyuk,Lee, Donghoon 한국건설안전학회 2019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Vol.2 No.2

        현재 빌딩 건설 프로젝트의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양중 장비보다 생산성이 높은 타워크레인 사용이 지속적인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무거운 물건을 운반하는 장비는 임대료가 비싸고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양중 작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현장에서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타워크레인을 조사한 후 타워크레인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들에 대한 점검 목록을 작성했다. 그 후 현장 방문을 통해 타워 크레인 점검표를 종합적인 데이터 가치로 도출했다.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are getting higher and larger. Therefore, the use of Tower Crane, which is more productive than any other lifting plan shows a trend of continuous increases. However as equipment for transporting heavy goods, are is too expensive for the monthly rent and used inefficiently for construction. site so it is analyzed that it has problems of reducing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lifting work. Inefficient situations are arising like poor communications between operator and worker, occurrence of blind spots, securing the shortest distance of fire during movement after lifting plan, influences of weather, location of materials, movement radius of tower crane by each locations and ever-changing working environmen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first made a list of tower cranes that are inefficiently used at the site, and then we made a checklist. After that, through field visits, we derived checklist for Tower Crane to comprehensive data value.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 효과성에 미치는 경로 분석: 원격수업 역량과 민주적 학교 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정현,이솔비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eacher effectivenes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PLCs)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satisfaction with 5,189 teacher responses from 179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in 2021 after COVID-19. This study have investigated methods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SEM). First, as PLCs developed, it was found that competence of teachers’ distance learning and the democratic school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in both the teacher efficacy model and the teacher satisfaction model. Second, as PLCs developed, the more positive th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satisfaction were.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competence of teachers’ distance learning and democratic school culture showed different patterns in both models. The suggestions that lead to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al power of unit schools, efforts are needed to establish a democratic school culture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Second,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such as distance learning competency should be improved with PLCs. Finally, efforts are need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more systematically analyze and improve Teachers’ Distance Learning Competency. 이 연구는 2021년 경기지역 179개교 5,189명의 교사 응답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의 상황 속에서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의 원격수업역량과 민주적 학교 문화를 매개로 하여 교사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교사 효능감과 교직 만족도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경기학교교육실태조사 종단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서 구조방정식(SEM) 기법을 적용한 결과, 다음의 3가지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교사 효능감 모형과 교직 만족도 모형 모두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활발히 할수록 교사의 원격수업 역량이 높아지고 민주적 학교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활발히 할수록 교사 효능감과 교직 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 효능감 모형과 교직 만족도 모형에서 교사의 원격수업역량과 민주적 학교문화의 매개효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어지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 학교의 교육력 제고를 위해서 교사 간 협력을 기반으로 한 민주적인 학교문화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원격수업역량과 같은 교사 전문성 향상은 교사학습공동체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크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원격수업 역량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국내 1인 가구의 음주 행태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배정현,장서희,조은아,추정서,엄선화,이아영,장사랑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2022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연구배경] 2022년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2021년 주민등록세대 중 1인 가구는 946만 가구로 처음으로 전체 가구 의 40%를 넘어섰다. 이제 1인 가구는 우리 사회의 소수의 가구형태가 아니다. 우리사회의 1인 가구가 이처 럼 증가하게 된 주요 이유에는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비혼과 만혼의 증가,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지연, 이혼/별거 등의 가족해체, 고령화 사회에 따른 독거노인 증가 등이 있다.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보다 연평균 소득이 전반적으로 낮지만 지출이 큰 편이며, 가족 등 주변인의 돌봄이나 지지가 부족하고, 혼자 보내는 시 간이 많은 편이다.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와 다른 생활양식을 공유하고 이는 건강행태에 영향을 줄 것이다. 과도한 경쟁사회에서 혼자 생활해야 할 경우,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대응기제인 사회적 자원이 부족하여 흡연이나 음주 등 건강위험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최근 이슈가 되는 혼술 열풍이 홈술(집에서 마시 는 술)로 이어져 다양한 음주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 1인 가구 증가, 음주에 대한 사회문화 변화 등 최근의 변화를 고려해볼 때 1인 가구의 음주 행태 연구는 건강증진 정책의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서 중요한 역할 을 할 것이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음주 행태에 대한 국내 문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고, 기존 연구의 설계 를 포괄적으로 요약하여 연구 유형 및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필요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2022년 5월까지 출판되어 웹기반으로 접근이 가능한 국내 학술지 논문 10편이다. 분 석 대상 논문의 선정을 위하여 국내 주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DBPIA, RISS, KISS, eArticle, Scholar)를 활용 하였다. 선정기준은 연구대상에 국내 1인 가구를 포함하고 있고, 1인 가구의 음주행태를 분석한 양적연구이 다. 최초 278편의 논문에서 전문 검토 과정을 거친 후 최종 10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선정된 논문의 일반 적 특성(연도, 연구대상, 연구목적, 연구방법), 음주 행태, 음주 영향 요인 등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전체 10편의 논문을 중복으로 분류한 결과 모두 2018년 이후 출간된 논문이었다. 1인 가구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체의 절반을 차지했고,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음주행태를 비교한 연구는 나머지 절반이었다. 대상자 규모는 291명~228,558명이었고, 1인 가구만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1인 가구 규모는 291명~34,032명 으로 편차가 컸다. 검토한 연구들은 전반적으로 대규모 연구들이 많았는데 이는 활용한 자료원과 관련이 높다. 2편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연구가 전국 단위의 대규모 2차 자료를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국민건강영양조사(3편), 지역사회건강조사(3편), 한국복지패널(1편), 한국의료패널(1편), 연구자 설문자료(2편) 였다. 또한 허재헌(2018) 연구를 제외한 대부분 연구는 단면연구였으며 패널연구라도 1차년도만 분석하였다. 또한 4편의 연구는 대규모 전국 단위 자료여도 1인 가구 연구에 충분한 표본을 확보하기 위해 2년~4년 조 사 자료를 통합하여 단일연구처럼 활용했다. 주요 연구방법은 χ2검정, T 검정, F 검정, 회귀분석(로지스틱, 다수준 등) 등이었다. 1인 가구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대부분 1인 가구의 음주행태 결정요인을 파악하 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했지만, 1인-다인 가구를 함께 분석한 연구들은 음주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1인 가구 여부를 살펴보았다. (2) 1인 가구의 음주행태 전체 검토 논문을 중복으로 분류한 결과, 연구에서 사용된 음주행태는 15개 유형으로 다양했다. 고위험음주 (40%)와 문제음주(40%), 폭음(30%), 월간음주(30%), 음주빈도(20%)였고 비음주, 음주, 과음, 연간 음주 페해, 음주운전 경험, 음주량, 음주기대, 평소 음주 패턴, 최근 6개월 음주량 변화, 잦은 음주는 각 1편에서 활용 되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고위험 음주는 3개년 동안 계속 연구되었고, 문제음주는‘19년과‘21년에 연구 되었으며,‘18년은 음주폐해 관련 연구,‘21년에는 혼술과 관련하여 평소 음주 패턴을 살펴본 특징이 있다. 1인 가구의 음주행태 연구의 수는 많지 않지만 다양한 음주행태를 살펴보았으며, 동일한 음주행태라도 조 작적 정의가 다르기도 했다. 문제음주의 경우 4편 중 3편의 논문에서 AUDIT-K 척도를 이용하고 있었고, 나 머지 1편은 음주로 인한 일상의 어려운 경험 여부를 묻는 정도였다. 또한 같은 AUDIT-K 척도를 사용하더 라도 문제음주에 대한 기준점이 연구마다 달랐다. 또한 조작적 정의는 같지만 음주행태 용어를 다르게 사 용하는 경우도 있었다(폭음, 과음). 다양한 음주행태를 살펴보는 것은 1인 가구의 음주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지만 동일한 음주행태라도 연구마다 조작적 정의가 다르거나, 동일 척도라도 기준점이 다른 점, 조작적 정의는 같아도 용어를 달리한 점 등은 1인 가구의 음주행태를 이해하는데 혼선을 줄 수 있을 것이 다. 따라서 추후 절주 전문가의 논의나 연구를 통해 음주행태에 대한 명확한 용어 사용과 용어 재정의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3) 1인 가구의 음주행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 1인 가구의 음주행태 영향 요인 파악 연구는 전체의 70%(7편)를 차지했다. 해당 연구들은 회귀분석(다중, 다 변량/다수준 로지스틱 포함)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 특성, 건강행태, 정신건강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음주에 영향을 준 유의한 영향요인(p<.0.05)으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연령, 거주지역, 학력, 경 제활동, 경제상태), 건강행태(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스트레스)였고, 폭음에 유의한 영향요인(p<0.05)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연령, 학력, 혼인, 경제활동, 경제상태), 건강행태(주관적 건강상태, 흡연, 활동제한), 정신 건강(스트레스, 우울감)였고, 월간 음주에 유의한 영향 요인(p<0.05)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혼인, 경제상 태, 종교), 건강행태(주관적 건강상태)였고, 정신건강영역에서는 없었다. 고위험음주에 유의한 영향요인 (p<0.05)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연령, 학력, 혼인, 경제활동, 경제상태), 건강행태(주관적 건강상태, 흡연, 활동 제한), 정신건강(스트레스)였고, 월간 음주에 유의한 영향 요인(p<0.05)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혼인, 경 제상태, 종교), 건강행태(주관적 건강상태)였고, 정신건강영역에서는 없었다. 문제음주의 경우 유의한 영향요 인(p<0.05)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거주지역, 학력, 혼인상태, 경제상태, 종교), 건강행태(주관적 건강상태, 흡연, 만성질환, BMI, 고혈압 진단, 당뇨 진단), 정신건강(행복감, 스트레스, 우울감)였고 문제음주 에 유의한 영향요인(p<0.05)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경제상태), 건강행태(만성질환, 활동제 한), 정신건강(우울감)이었다. 정리하면, 1인 가구의 음주행태 영향 요인 파악 연구(7개)에서 5개 이상 연구 (중복)에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학력,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였다. 일부 연구의 경우 분석 대상자 자체를 성별이나 연령대에 따른 음주행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도 했다. (4) 결론 1인 가구 음주행태 연구 중 1인 가구만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50%(5편)였고 나머지 절반은 1인 가구와 다 인 가구를 포함한 연구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음주행태는 15개 유형으로 다양했고, 같은 음주행태라도 조 작적 정의나 기준점 등이 상이하기도 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1인 가구 음주행태 연구에 대한 해석에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연구와 전문가 논의를 통해 음주행태에 대한 용어에 대한 체계적 용어 정의가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1인 가구의 음주행태에 대한 주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와 주관적 건 강상태 등임을 확인했다. 향후 1인 가구 증가, 혼술 문화의 확산 등을 고려할 때 1인 가구의 음주행태 연구 는 정교한 연구 설계가 요구되며,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참고자료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ECG 신호에서 단위패턴간 유사도분석을 이용한 부정맥 분류 알고리즘

        배정현,임승주,김정주,박성대,김정도,Bae, Jung-Hyoun,Lim, Seung-Ju,Kim, Jeong-Ju,Park, Sung-Dae,Kim, Jeong-Do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9 No.1

        조기심실수축과 조기심방수축을 검출하기 위한 대부분의 알고리즘은 정확한 QRS complex, P파 및 T파의 측정을 필요로 한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복잡한 매개변수와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조기심실수축과 조기심방수축을 검출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대부분의 정상 ECG 파형 뿐만 아니라 개인적 특징과 개인적 차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비정상 파형에도 적용할 수 있는 넓은 적용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ECG 파형을 각각의 단위 패턴으로 분리한 후, 정상 R-R 간격을 가지는 단위패턴만을 사용하여 기준단위패턴을 만든다. 그 후에, 기준단위 패턴과 각각의 단위패턴 사이에 패턴매칭을 위한 유사도 분석을 사용하여 조기심실수축과 조기심방수축을 검출한다. Most methods for detecting PVC and APC require the measurement of accurate QRS complex, P wave and T wave. In this study, we propose new algorithm for detecting PVC and APC without using complex parameter and algorithms. Proposed algorithm have wide applicability to abnormal waveform by personal distinction and difference as well as all sorts of normal waveform on ECG. To achieve this, we separate ECG signal into each unit patterns and made a standard unit pattern by just using unit patterns which have normal R-R internal. After that, we detect PVC and APC by using similarity analysis for pattern matching between standard unit pattern and each unit patterns.

      • KCI우수등재

        캡슐내시경을 위한 암호화된 다중모드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수신기에 관한 연구

        배정현,선우명훈 대한전자공학회 2020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7 No.6

        In this paper, we study asymmetr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a method using multimode for an encrypted low-power capsule endoscope digital baseband transceiver. The existing capsule endoscope digital baseband ha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use of a single frame transmission rate despite the imbalance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refore, we propose a low power capsule endoscope transceiver capable of operating up to 10 fp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apsule endoscope. For the ultra-low power digital baseband, the BCH decoder adopts an early termination technique to reduce 40.59% latency and 43.40% power consumption. The proposed digital baseband shows a total of 10.07uW (@ 0.9V, 10MHz) power consumption. The proposed multimode digital baseband was implemented with Verilog-HDL and synthesized with Samsung 65nm CMOS library. 본 논문에서는 암호화된 저전력 캡슐내시경 디지털 베이스밴드 송수신기를 위해 송수신의 비대칭성과 다중모드를 이용한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기존 캡슐내시경 디지털 베이스밴드는 송수신의 불균형에도 불구하고, 단일 프레임 전송 속도 사용으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있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캡슐내시경 위치에 따라 10 fps 까지 동작 가능한 저전력 캡슐내시경 송수신기를 제안한다. 초저전력 디지털 베이스밴드를 위해 BCH 복호기는 조기 종료 기법을 적용하여 40.59%의 지연 시간과 43.40% 전력 소모를 감소하였다. 제안하는 디지털 베이스밴드는 총 10.07uW (@ 0.9V, 10MHz)의 전력 소모를 보인다. 제안하는 다중모드 디지털 베이스밴드는 Verilog-HDL로 구현하였고, Samsung 65nm CMOS 공정으로 합성하였다.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Grip and Pinch Strength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배정현,강시,서경묵,김돈규,신현이,신혜은 대한재활의학회 2015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39 No.5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p and pinch strength and independe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stroke patients.Methods Medical records of 577 stroke patients from January 2010 to February 2013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grip and pinch strength of both hemiplegic and non-hemiplegic hands and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score were collected.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A (onset duration: ≤3 months), group B (onset duration: >3 months and <2 years), and group C (onset duration: ≥2 years). The correlation between grip and pinch strength and the K-MBI score was analyzed.Results In group A (95 patients), the K-MBI score was significantly (p<0.05) correlated with the grip and pinch strength of both hands in patients with right hemiplegia. Significant (p<0.05) correlation between the K-MBI score and the grip and pinch strength of the hemiplegic hand was shown in patients with left hemiplegia. In group B (69 patients) and group C (73 patients), the K-MBI score was significantly (p<0.05) correlated with the grip and pinch strength of the hemiplegic hand.Conclusion Stroke patients in subacute stage mainly perform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using their dominant hand. However, independence in ADL was associated with the strength of the affected dominant hand. For stroke patients in chronic and late chronic stages, their hand power of the affected hand was associated with independence in ADL regardless whether the dominant hand was affected.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p and pinch strength and independe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stroke patients.Methods Medical records of 577 stroke patients from January 2010 to February 2013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grip and pinch strength of both hemiplegic and non-hemiplegic hands and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score were collected.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A (onset duration: ≤3 months), group B (onset duration: >3 months and <2 years), and group C (onset duration: ≥2 years). The correlation between grip and pinch strength and the K-MBI score was analyzed.Results In group A (95 patients), the K-MBI score was significantly (p<0.05) correlated with the grip and pinch strength of both hands in patients with right hemiplegia. Significant (p<0.05) correlation between the K-MBI score and the grip and pinch strength of the hemiplegic hand was shown in patients with left hemiplegia. In group B (69 patients) and group C (73 patients), the K-MBI score was significantly (p<0.05) correlated with the grip and pinch strength of the hemiplegic hand.Conclusion Stroke patients in subacute stage mainly perform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using their dominant hand. However, independence in ADL was associated with the strength of the affected dominant hand. For stroke patients in chronic and late chronic stages, their hand power of the affected hand was associated with independence in ADL regardless whether the dominant hand was affected.

      •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 및 장애의 연구동향

        배정현,김정완,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9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6

        삼킴은 인간이 삶을 유지하는데 있어 필수적이며 영양분을 섭취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삶 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뇌졸중 환자의 경우 삼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 있으며 뇌졸 중은 삼킴장애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연구된 뇌졸중 환자 의 삼킴 기능과 장애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임상과 연구영 역에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국내 논문 총 92편을 대상으로 연구 유형과 연구 영역으로 나 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유형과 연구 영역에서는 중재연구와 삼킴장애 치료 영역을 가장 많 이 살펴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가도구 관련 연구와 언어 관련 영역의 연구가 아직까지 제 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파악된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 및 장애의 국내 논 문 동향을 통해 향후 임상과 연구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만주지역 대한국민회 회장 具春先 연구

        배정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7

        구춘선은 1919년 3ㆍ1운동을 전후하여 만주지역의 항일운동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다. 그는 북간도지역의 대표적인 독립운동단체인 대한국민회 회장으로서 북간도 지역의 항일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끈 인물이었다. 1860년 함경북도 온성에서 태어난 그는 1878년부터 북간도로 이주하기 직전까지 궁궐의 수문장으로 활동하였다. 대한제국의 군인이었던 구춘선은 1899년에 가족들과 함께 북간도 연길로 이주하였다. 캐나다 장로교 선교사인 Robert Grierson에 의해 기독교를 받아들인 후 1906년에 용정시교회를 설립하고, 1913년에는 합마당교회의 설립을 돕는다. 이처럼 구춘선은 북간도 용정 지역에서 초기 기독교 교회의 설립에 앞장섰으며, 북간도에서 기독교가 전파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기독교는 구춘선의 민족의식 형성과 더불어서 그의 민족운동ㆍ독립운동에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1900년대 후반의 북간도지역은 이주 한인들의 수가 늘어감에 따라, 그들을 보호하고 교육시키고 민족의 역량을 다질 조직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1909년에 간민교육회가 조직되었는데 구춘선은 이 단체의 설립에 참여하였다. 또한 1911년에는 이동휘가 세운 길동기독학당의 간사로 재직하면서 교육활동에도 관여했다. 1913년에 설립된 합법적인 최초의 한인자치단체인 간민회의 발기인 중 한 사람이었으며 분회장을 맡기도 하였다. 이렇게 구춘선은 북간도지역에서 민족지도자로 입지를 다져가며 그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1919년 3월 1일에 서울에서 만세시위가 시작되고, 이어서 북간도 용정에서 3ㆍ13 만세시위가 거행된다. 구춘선은 북간도지역의 민족지도자들과 함께 용정에서의 3ㆍ1운동을 계획하였으며, 한인들을 이끌고 시위운동을 주도했다. 그는 뒤이어 조직된 조선독립기성회의 회장을 맡으면서 북간도지역의 3ㆍ1 만세시위를 이끌어 간, 중심인물이자 지도자였다. 구춘선은 1919년 4월, 조선독립기성회를 계승한 대한국민회의 회장이 되었다. 대한국민회는 북로군정서와 더불어 북간도지역을 대표하는 독립운동단체였다. 구춘선은 대한국민회 회장으로서 중국정부에 청원서, 경고서 등을 보내 대중국 교섭을 전개해 나가며 교섭활동에 탁월한 역량을 발휘했다. 구춘선은 북간도에서 독립운동을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국정부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그렇기 때문에 공동의 적인 일제에 대항하여 중국과 한인이 힘을 합쳐야 함을 강조했다. 또한 그는 고유문을 통해 북간도지역의 여러 독립운동단체들이 하나로 통일해서 보다 효과적인 독립운동을 수행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구춘선의 북간도지역 독립운동단체의 통일을 위한 노력으로 1920년 10월에 북간도의 군소단체를 병합한 총판부가 조직되었다. 그는 총판부의 총판으로 취임하였다. 청산리전투 이후 일제의 공격을 피해 러시아로 넘어간 구춘선은 1921년 6월의 자유시참변으로 다시 만주로 돌아온다. 만주로 돌아온 그는 공산주의 기반의 독립운동단체인 고려공산당에 가입한다. 그 후 1921년 12월에 독립운동단체인 총합부를 조직하고 총합부장으로 활동한다. 이처럼 북간도로 건너가 민족운동ㆍ독립운동에 매진하였던 구춘선은 북간도 왕청현으로 돌아와서 교회를 중심으로 종교활동을 하며 남은 생애를 보낸다. 그리고 1944년에 왕청현에서 생을 마감한다. Gu Chun-Seon is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represents the anti- Japanese movement of manchuria around the 1919 3ㆍ1 Independence Movement. As president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 representativ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in North Gando, he was a figure who led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North Gando. Gu Chun-Seon was born in Onseong, Hamgyeongbukdo in 1860. He worked as chief gatekeeper at palace before moving to North Gando from 1878. He moved to Yianji, North Gando with his families in 1899 although he was a solider for the Korean Empire. After moving there, he accepted Christianity by Robert Grierson, missiona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Canada. He established a Yongjeongsi church in 1906 and helped with establishing Hapmadang Church in 1913. As shown above, he led in establishing an early Christian church in Yongjeong, North Gando and played a big role in spreading Christianity in North Gando. Christianity also exerted a big influence on his national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formation of his national consciousness. In late 1900s, the people in North Gando felt the necessity of an organization which would protect and educate them and show national competence as more and more Koreans were immigrating. As a result, Ganmin(people in North Gando) Educational Organization was formed in 1909 and he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this organization. In 1911, he engaged in educational activities when he worked as assistant administrator of Gil-Dong Christian Village School erected by Lee Dong-Hui. In 1913, Ganminhoe, the first legal Koreans' Self-Governing Unit was established. Gu Chun-Seon was one of the promoters of Ganminhoe and also undertook the position of head of branch. As seen above, he consolidated his position as national leader in North Gando and expanded his influence. Independence demonstration began in Seoul on Mar. 1, 1919, followed by 3ㆍ13 movement in Yongjeong, North Gando. He planed 3ㆍ1 movement in Yongjeong with the nationalist leaders of North Gando and led demonstration movement with immigrated Koreans. He took the position of president of the Korean Independence Preparatory Association organized after then and simultaneously led the 3ㆍ1 movement in North Gando. On April 1919, he became the president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that succeeded the Korean Independence Preparatory Association. Korean National Association was the representativ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in North Gando together with Bukrogunjeongseo(armored unit for independence movement). As president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he sent a petition, warning, etc to the Chinese Government for carrying on negotiations with China and exerted an excellent ability in such negotiating activities. He determined that performing independence movement in North Gando required cooperation from the Chinese Government. This is why he stressed that both Chinese people and Koreans should join forces to resis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because Japan was the common enemy of them. He also maintained in Proprium that many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in North Gando should unite together to perform more effective independence movement. In such an effort to unite th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in North Gando, General Management Division (called as Chongpanbu) that combined many small organizations in North Gando in Oct. 1920 was organized. He was appointed as head of the Chongpanbu. After Battle of Qingshanli, he moved to Russia to avoid the Japanese attack and returned to Manchuria when Free City Disaster happened in June, 1921. Then he joined Goryeo Communist Party, a communism based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In Dec, 1921, he organized Integrated Division(called as Chonghapbu), an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and worked as the head of the Chonghapbu. Although he committed himself to national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North Gando, he returned t...

      • KCI등재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이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 연구: 경기교육종단연구(GEPS)를 중심으로

        배정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School-based PLCs) on students’ non-cognitive skills,.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PLCs as a factor in determining effective schools by revealing the paths of effectiveness in the processes of schooling. This study conduct statistical analysis of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MSEM) were performed using data from the 4th and 6th years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It confirmed the effect of School-based PLCs influencing non-cognitive skills, and established the pa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on-cognitive skills, - students' self-esteem, school satisfaction and discriminatory experience - showed a positive influence. First, as School-based PLCs develope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satisfaction and enthusiasm that their students' perceived. Second, this advanced School-based PLCs improve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chool-based PLCs were playing a role in determining effective schools that contributed to students’ non-cognitive skills, while improving school culture. Finally, School-based PLCs was effective in the non-cognitive skills of students, which was found to increase self-esteem and school satisfaction and to alleviate the discrimination.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approach PLCs as practical activities in schools to improve the school education through reorganization of school culture beyond the status of alternative training to enhance teacher expertise. 본 연구는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의 발달 정도에 따라서 교사와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6차년도의 117개 중학교의 3학년 학생 4,516명과 교사 1,186명을 대상으로 다층구조방정식(M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할수록 순차적으로 교사들의 교직만족도와 학생들이 인지한 교사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한 학교일수록 학생들은 교사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의 교직 만족도를 제고시키고 교사 열의를 높임으로써 긍정적인 학교문화를 창출하여 학생과 교사와의 관계 개선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할수록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만족도는 높이고 교사로부터 받는 차별 경험은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교 단위의 교사학습공동체가 발달할수록 학생의 비인지적 성취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학습공동체는 단순히 교사 전문성 제고의 대안적인 연수로 인정받는 것을 넘어서 학교문화를 개선하여 교육력을 제고할 수 있는 실천적인 활동으로 접근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