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캉유웨이(康有爲)의 공자 신성화 논리 - 『논어주(論語注)』를 중심으로 -

        임부연 ( Lim Boo-yeon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종교와 문화 Vol.0 No.32

        This article is aimed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and logic of Kang Youwei(康有爲, 1858~1927)`s deification (神聖化) of Confucius in Commentary on the Confucian Analects (『論語注』) on the basis of New Text Confucianism(今文經學). The former part disclosed Kang Youwei`s “great principles in subtle words” (微言大義) in Confucian Analects, namely Great Unity (大同), Spiritual Intelligence (神明), and Benevolence (仁). And then the latter part illuminated the main characters of Confucius` Way (道) and Virtue (德), and the agnostic aspects of Confucius as spiritual sage(神聖). First, Kang Youwei imagined the utopia of Great Unity (大同) as the world completely realizing the idea of freedom (自由) and equality (平等) introduced from modern West. Especially, the basis of Confucian idea that everything is essentially same (萬物一體), he insisted not only people`s equality (人民平等) but also all sentient being`s equality (衆生平等). Spiritual Intelligence was defined as the inner subjective ground breaking through all barriers between self and others, and making Great Unity possible. Finally, the Benevolence as the innate essence of everything and the public virtue of universal love (博愛), was redefined as the gradual salvation of all sentient beings. As a result, the Great Unity was naturally identified with the Great Benevolence (大仁). Second, Kang Youwei insisted that Confucius` Way, stressing the Human Way (人道) than Spiritual Way (神道), had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evolutionism. In the sphere of Human Way, the inner sage (內聖) had the priority over the outer king (外王). Confucius` Supreme Virtue (至德) was defined as metaphysical dimension beyond language and knowledge while the Six Canon (六經)`s words for education were regarded as branch or trace. Meanwhile, Confucius could become the whole humankind`s sage over the national border on the basis of universal language containing public law. Finally, Kang Youwei imagined Confucius a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affairs of the world without any attachment. Especially, Kang insisted that the awareness of one`s own fate should be necessary for the duty of Benevolence. From these characteristics, we can conclude that Kang Youwei defied Confucius as fundamentally agnostic spiritual sage (神聖) and universal religious leader (敎主) for all mankind beyond chinese national border. In this sense, he pursued the universalization of Confucius (孔子世界化) over the sinification of Confucius (孔子中國化) based on nationalism.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 진정한 배움의 의미 탐구 :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호들」을 중심으로

        임부연(Lim, Boo-Yeun),박수(Park, Su-Ye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4

        인간에게 배움은 생존을 위한 도구일 뿐 아니라 진정한 인간되기의 중요한 여정이다. 특히 학교를 통해 경험하는 배움의 내용과 방법은 개인의 일생을 넘어 국가와 사회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행위라는 점에서 수많은 교육담론의 의제가 되어 왔으나, 배움기호론에 기반한 논의는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기호를 배움의 핵심으로 보는 들뢰즈의 생성 철학적 의견에 비추어 학교교육에서 배움이 무엇인지를 비평적으로 탐구해 보고자하며, 특히 인간의 경험, 기억, 시간과 진리 찾기의 여정을 통해 배움의 의미를 기호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들뢰즈의「프루스트와 기호들」에 나타나는 배움기호의 유형에 의해 진정한 배움의 의미를 한차원 심화시켜 논의해 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들뢰즈의 배움이론에 비추어 볼 때 학교는 전 제된 진리를 재현하는 동일시 교육을 넘어서서 개인이 스스로 풍요로운 기호에 감응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주체의 내적역량을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 스스로가 풍부한 감응 능력과 사유하기를 통하여 진정한 배움 찾기와 인간되기의 여정에 들어설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학교교육에 대하여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of true meaning of ‘learning’ in school system based on Deleuze’s sign-learning theory which is suggested in the book of「Proust et les signes」. Deleuze criticizes the limitations and even dangers of learning in current school system, which more likely educates the learner not to think by simply repeat the correct answer and representation of sign. His learning philosophy suggests the school should provides the various ways of provoke true learning that help one engage in her own thinking. In Proust’s book, Deleuze analyzes four types of sign of learning, that are sign of social skill, sign of love, sign of sense and sign of art. In this way, he suggests the school needs to overcome to educate students the signs with poor meaning that are nothing but empty, but try to more involve the richness of sign that is truly help the students engage to recall her past of time and wailingly to search for the truth of meaning in the loosed time. This study finally tried to discuss how to school reconstruct curriculum to help learners to develop her sense of capacity by encountering with rich sign, and then naturally provokes her thinking that is only path way to reach the true learning.

      • KCI등재후보

        그림책 읽기의 심미적 접근: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를 중심으로

        임부연 ( Boo Yeun Lim ),박향원 ( Hyang Weon Par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1 No.1

        그림책의 풍부하고 다양한 표현양식들은 유아들을 예술적 세계로 안내하며 심미적 경험을 도와주는 중요한 교육적 요소들이다. 본 연구는 유아용 그림책이 가지는 풍부한 표현양식을 ‘심미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를 표층미와, 심층미, 숭고미와 인식론적 미, 그리고 원형미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교육학적 의미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그림책이 가지는 미적 요소들을 심화시켜 분석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은 실제 유아교실에서 그림책 읽기행위를 풍부하게 도와주어 유아문학이 가지는 독창적이고 다의적 장점을 극대화 하기위한 노력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특히 그림책을 직접 선택하고 활용하는 교사와 성인 독자로 하여금 그림책이 가지는 본질적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놓치지 않고 살펴볼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어린 독자인 유아들을 대상으로 미학교육의 실제를 가장 친근하고 편안하게 접근해 볼 수 있도록 도와주고, 그와 함께 ‘작가적 아동도서’의 다양한 문학적 시도를 미학적 관점에서 탐색함으로서 수준 높은 아동문학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Forms and Structures of Picture-book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structing ``educational meaning`` for young children. Through picture-books, children have joy, fantasy, and aesthetic experience that would not be otherwise. The work to analyze the forms of structures of picture book from an aesthetic view point indicates one of the educational efforts to make the abundant meaning of picture books to maximiz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wer of picture-books from an aesthetic viewpoint by analyzing various aesthetics elements which include a sense of form, inner state of beauty, a beauty of epistemology, sublime sense of beauty, and archetypical meaning of beauty. This study will be able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 their own sense of beauty so that they can help young children enjoy the rich and fascinating world of aesthetics through picture-books.

      • KCI등재

        내러티브에 기초한 통합적 조형활동 적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반응 연구

        임부연 ( Boo Yeun Lim ),이은교 ( Eun Gyo Lee ),오정희 ( Jung Hee Oh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이야기를 통해 세계를 만나고 통합된 전체로서 세계를 경험하는 유아들의 특성에 근거하여, 내러티브에 기초한 통합적 조형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6개 주제의 조형활동을 개발하여 7주 동안 만 4세반 유아에게 시범 적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비디오 녹화, 면담, 연구자 일지 등을 주요 자료로 수집하여 유아들의 반응과 그 의미를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야기 속에 몰입되는 아이들, 조형 재료와 놀이하는 아이들,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하는 아이들, 미적 충만감을 경험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내러티브에 기초한 통합적 조형활동은 유아들로 하여금 미적으로 충만한 만족의 상태에 이르게 하였으며 이를 즐기고 향유하는 과정에서 존재의 성장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기 조형활동의 새로운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hildren`s reactions appearing in process of applying the integral activities by using narratives, which i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meeting the world through stories and experiencing it by an integrated whole. For this purpose, first we developed art activities on six theme and applied them to children at the age of 4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for seven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video recording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field notes, that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methods on children`s reactions and meaning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it showed children immersing in the story, playing with various materials, thinking and expressing creatively and experiencing aesthetic satisfying feeling. In conclusion, the integral art activities based on narratives make children cultivate their sense of beauty and promote the growth of the existence.

      • KCI등재

        유아교육과정 문해력 탐구: 2019 개정 누리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임부연(Boo-Yeun Lim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2022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2 No.2

        유아‧놀이중심을 추구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은 현장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그 철학적 배경과 주요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교육과정 문해력이 요청되고 있다. 교사는 단순히 교육과정을 읽고 실행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의 복잡한 의미체계를 철학적, 비판적으로 해석하여 실행하는 교사전문성 차원에서의 문해력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배경 철학과 핵심내용을 텍스트 해석학에 기반하여 탐구해 봄으로써, 유아교육과정의 문해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이를 위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고시문과 해설서, 놀이이해자료, 놀이실행자료와 더불어 누리과정 포털 사이트인 i-누리 탑재자료를 포함한 현장자료, 학술자료, 연구자 기록물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텍스트해석학과 교육과정 문해력을 탐구한 학술자료로부터 추출한 용어를 재구성하여 생성한분석의 틀을 활용하였다. 먼저 2019 개정 누리과정 철학적 배경을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휴머니즘’으로제안하고, 두 핵심 철학이 현장자료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심화 해설하였다. 또한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문해력이 필요한 핵심 용어를 ‘발달과 경험’과 ‘놀이와 배움’ 그리고 ‘통합교육과정’으로 초점화하여철학적 배경과 교차적 관점에서 분석, 설명하였다. 특히 텍스트 해석학에서 강조하는 숨은 의미와 ‘말하여지지 않은 언표’와 ‘소외된 정신’ 등을 연구자의 성찰과 비평정신과 함께 교육과정 문해력을 위한 탐구에활용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이 현장에서 잘 구현되기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 문해력에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철학과 고시문의 핵심문항들을 서로 융합적 관계로 바라보는 조망능력과 텍스트 읽기-쓰기-비평-재구성의 순환적 역량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explor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literacy, which has changed many aspects in practice of the fiel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Nuri curriculum which has been based on young children and play, now needs more strong teacher professionalism, including curriculum literacy, because of its impact on big change on fields. This study has developed a frame of analysis for data which include Nuri curriculum text, teacher guidebook, manuel, various data from the i-nuri platform, teacher journal etc.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hermeneutic cycle for text analysis. This study also made the frame of analysis by adding several critical elements extracted from the articles and books regarding on curriculum literacy. A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wo types of educational philosophy of Nuri Curriculum which are namely, the post-structural discourse and post-humanism. Then, this study has also provided deep explanation about the critical concepts on the text of Nuri Curriculum. Those critical concepts are ‘development and experience’, ‘play and learning’ and ‘integration curriculum’. In the process of explan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ext of Nuri Curriculum, the researcher’s reflections and pedagogical mind which has never presented have taken a role to hermeneutic analysis of those data as text into deepen the curriculum literacy. This study finally suggested the philosophy of Nuri Curriculum is more critical then any other thoughts, which provide big picture of the curriculum and interweaving perspectives of each pice of concept on the text of curriculum.

      • KCI등재

        Aoki의 교육과정이론에 기초한 아동미술교사의 역할

        임부연(Lim, Boo-Yeun),원미은(Won, Mi-Eu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2

        There are many perspectives to describe roles of a teacher and these perspectives also have many things to do with curriculum discourses. As it is, teachers for Children's Art Education are required more complex roles not only in teaching related with curriculum but also in living and loving artistic life. This study brought Aoki's curriculum theory which recognized as overcoming instrumental approach to curriculum, up to highlight on art teachers' role in teaching curriculum. Aoki's voice for both curriculum and roles of teachers are fresh, vital and aesthetic which ever described complicated teaching phenomena in heartbreaking poetic nuance.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 role of art teachers from Aoki's theory, which are 1) dwelling in the zone of between, 2) inspiriting the curriculum, 3) interpreting and reflecting curriculum, 4) improvising curriculum, 5) and living and loving artistic life. Then this study reinterpreted those five ideas into roles of art teachers, particularly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finally suggest that role of teachers particularly related to teaching art for children should always be awake, live and love 'arts' as existence life. 미술이 주체로서 존재론적 향유에 초점을 둔다면 미술교사는 '가르침'의 의미와 '예술적 향유' 모두를 고민해야 하며, 동시에 '교육과정'적 담론과 무관할 수 없는 복잡한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 교육과정이 가졌던 다소 경직된 구조주의적 담론을 벗어나서, 교사와 교육의 비인간화 현상에 주목하고 생명적 존재로서 교사와 교사의 삶, 그리고 살아있는 교육을 지향한 Aoki의 교육과정이론에 기반하여 아동미술교사의 역할을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생명성의 관점에서 아동미술을 담당하는 교육적 존재(pedagogic being)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사이공간에 존재하는 미술교사, 미술을 '듣고·보는' 교사, 미술에 생명을 불어넣는 교사, 미술의 세계를 즉흥연주하는 교사, 예술적 삶을 사는 교사 등 5가지로 추출하여 이를 아동미술과 관련된 맥락 안에서의 논의를 통해 아동미술교육에서 '예술'적 가치를 놓치지 않으면서 동시에 교육과정의 심미적, 철학적 본성에 충실한 미술교사의 역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프레이리(Freire)의 ‘대화’ 관점에서 본 유아미술활동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연구

        임부연(Lim, Boo Yeun),최수빈(Choi, Soo Bin),최윤경(Choi, Yoon Kye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2

        본 연구는 유아미술활동에서 나타나는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을 프레이리(Freire)의 ‘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하였다. 유아미술활동에서 교사와 유아의 대화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유아미술활동에 대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기간은 2018년 8월부터 10월까지 3개월간 이루어졌으며, 연구기관 및 참여자는 p시에 소재한 사립유치원 두 곳의 만 5세반 교사 2인이었다. 연구자료는 각 기관마다 8회씩 총 16회의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되었고, 이를 분석한 연구자일지를 분석 자료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은 ‘교사-유아의 대화에서 발현되는 만남: 진정한 마주보기’, ‘주체들의 만남에서 오는 진정한 배움: 의식화’로 제시되었다. 논의점으로 첫째, 교사와 유아의 대화가 진정한 만남으로 이루어질 때 유아는 활동을 즐기며 주체자로서 유아미술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의 경험과 상상력이 활동 속에서 발현되었으며 이는 교사와 유아의 대화를 통해서 가능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변혁 의지가 교사와 유아의 진정한 대화로 이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 tried to look at teacher-child interaction displayed in infant art activities, focusing on Freire s dialogue . We investigated how conversations in art activities look, and how they affect art activities. The research period was conducted for three months from August to October 2018, and the research institute and the participants were two private teachers at the tim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total of 16 attendance observations and 8 in-depth interviews per teacher, and various materials used in artistic activities as researcher were selected as research analysis material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child was presented as encounter expressed in the teacher-infant conversation: a true spread , comes from the subject s encounter and true learning: consciousness . First of all, at the point of discussion, children, who have a true conversa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child, participated in the art activity as the subject of a fun classroom. Secondly, I was able to see that the experience and imagination of children in art activities were expressed in the activities, and this was possible through the dialogue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Finally, I was able to know that the teacher s willingness to change is capable of realizing a true dialogue between the teacher and the child.

      • KCI등재

        예술통합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임부연(Lim Boo-Yeun),손은경(Son Eun-Kyung),오정희(Oh J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5

        예술과 과학은 화해하기 어려운 상반된 세계가 아닌 서로 간섭하고 빌려오는 상호보완적 세계임을 강조하는 이론들에 근거하여 유아교실에서 예술과 과학을 통합하는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과정의 4가지 과학적 주제에 따른 실험활동을 음악과 미술, 문학과 동작 등의 예술과 통합하여 총 8주 16회기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를 만 5세 25명의 실험집단과 25명의 통제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간의 영역별 창의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8주간의 처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영역별 창의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디오촬영 및 관찰일지, 담임교사 면담 및 유아들의 작품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들은 풍부한 상상력을 기반으로 독특하고 창의적인 사고의 표현이 증가됨을 보여주었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실에서 보다 즐겁고 유의미한 과학활동의 운영을 위하여 다양한 예술장르가 매개된 통합활동의 가능성과 긍정적 활용을 제안하였다. Based on various theories that arts must be effective for scientific thinking, this study attempted to effectiveness of science activities with arts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Extracted from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our overarching scientific topics were selected and then a program in 16 times of activities for 8weeks applied to 5-year-old children which of each is 25 i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25 in comparative group.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pre-creative test.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post-creative test. In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also showed that children demonstrated interesting and a variety of scientific thinking which are expanded, imaginative, and aesthetic, involving the unique scientific thinking that are excercise in daily lif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ness of arts-science integrated program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 KCI등재

        상상과 은유를 매개로 유아교사의 발화 탐구

        임부연(Lim Boo-Yeun),김성숙(Kim Seong-Soug),오정희(Oh J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9

        유아교실은 교사와 유아가 상상과 은유를 매개로 만들어진 풍부한 언어세계 그 자체이다. 교사는 상상과 은유를 통해 유아와 가까이 호흡하면서 즐겁고 활기찬 교실을 만들어 간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사의 발화를 중심으로 상상과 은유를 매개로 한 언어의 특성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해석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교육적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세반 3학급의 유아 61명을 대상으로 총 30회기 동안 비참여관찰과 교사면담, 연구자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주제분석에 따라 주의 깊게 읽고 범주화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풍부한 상상과 은유가 있는 교사의 발화는 성인과 다른 독특한 방식으로 세계와 호흡하는 유아의 정신세계를 잘 이해하고 존중해 주는 동시에 효과적인 교수전략으로서 교사에 의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The worlds of languag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re always fresh and exciting, reflecting power of imagination and metaphor from young children.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are responsible for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of using imagination and metaphor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m in rich ways.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and meaning of imagination and metaphor used in oral speech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teachers' talk.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different sites. It takes about 10 weeks to collect data involving direc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the researcher's journal. This study found that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variously utilized the function of imagination and metaphor in their speech in order to keep the classroom order, making it softer and more joyful. The teachers were also like to use language involved imagination and metaphor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 children in closer manner. Despite teachers' efforts to using imaginative power in their talk, they still had doubts and tensions to use the imaginative function of language, particularly the metaphor, because of their strong belief that knowledge of fact and logic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imaginative thinking during early childhood period. This study discussed the essential meaning and power of imagination and metaphor in early childhood, so the teachers with young children should be more attentive and active to use them.

      • KCI등재

        유아교실의 조형활동에서 심미적 매체에 대한 의미 탐색

        임부연 ( Boo Yeun Lim ),신예람 ( Ye Ram Shin ),정진성 ( Jin Sung J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1

        This study is designed to make children experience aesthetical art materials in plastic art activities in classroom so as to investigate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materials have. With regard to existing studies which prove that materials can play significant roles for children who have difficulties in verbal expression to meet the world and realize their ideas, it is important to provide aesthetical materials to children in classroom.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8 5-year-ol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S`` in city ``B`` to find out how they gather, add and deal with aesthetical materials in daily work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children. The meaning of aesthetical materials children experience in plastic art activities in classroom is 1)to make a new vision for daily life, 2)to extend their senses, 3)to materialize body-objets, 4)to specialize ordinary things and 5)to invite to imaginary world. Aesthetical materials allow children to make a ``better experience`` that make emotional wave. This ``better experience`` is similar to Dewey`s ``an experience`` that is an force which make their present meaningful.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 look at plastic art materials in a new way and cultivate an aesthetical appreciation. Hopefully it helps teachers more actively utilize plastic art materials in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본 연구는 유아교실의 조형활동에서 유아들에게 심미적 매체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심미적 매체가 어떤 교육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실에서 매체는 언어적 표현이 어려운 유아들에게 세계를 만나고 자신들의 표상을 구현하는데 중요한 매개가 된다는 기존의 연구를 고려해볼 때 교실에서 유아들에게 심미적 매체의 제공이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B시 S어린이집 만 5세 38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루일과를 통해 유아들이 조형활동에서 경험하는 심미적 매체를 어떻게 모으고, 더해가며, 다루어지는지 참여관찰 및 교사와 유아를 대상으로 비형식적면담을 실시하여 그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실의 조형활동에서의 심미적 매체에 대한 의미는 첫째, 일상에서 발견하는 매체, 둘째, 아이들의 감각을 열어주는 매체, 셋째, 신체-오브제를 구현하는 매체, 넷째, 다채롭게 변주되는 매체, 다섯째, 상상의 세계로 초대하는 조형매체로 나타났다. 아이들은 조형활동에서 심미적 매체를 통해 감성이 움직이는 ‘더 좋은 경험’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더 좋은 경험’은 듀이가 말하는‘하나의 경험(an experience)으로써 자신들의 현제를 의미화 시키는 공명하는 힘이 되고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사들이 새로운 시각으로 교실의 조형매체를 바라보며 심미적 안목을 길러야함을 제안하고자 하였는데 이를 통해 현장에서 교사들이 조형매체를 통한 교육적 활동을 더욱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