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적 접근을 통한 유아과학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

        임부연 ( Boo Yeun Lim ),손은경 ( Eun Kyung Son ),김성숙 ( Sung Soug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1

        Science is the wide-ranging activity of knowledge in which one experiences physical changes and the order of the universe; which is not separated from elements of art - including senses, emotional sensibility, imagination, creativity, and aesthetic appreciation - but is integrated and fused with them. In this vein, children`s science activities will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connection with these artistic elements, and children`s responses to it will be studied. In order to the data included video, field notes, and interview with the classroom teacher.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children showed joy and playfulness in science activities more then they ever did, because the arts activities provided them with imagination, feeling, and aesthetic sense which more likely provoke children`s inner interests. This study also indicated that science activities through artistic approach are originally experienced together in human mind so they will be more likely be together when the teacher develop scienc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 KCI등재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임부연(Lim Boo Yeun),전경미(Jeon, Kyeong-mi),김성숙(Kim, Sung-so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예술과 예술교육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알 아봄으로써 예술교육의 본래적 가치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현직유아교사 11명을 반구조적 면담을 실시 하고, 이를 질적 연구 방법의 절차를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예술 및 예술적 경 험을 자주 접하지만 낯선 느낌을 가졌으며, 또한 예술 및 예술적 경험은 삶에 활기를 불어넣는 에너지 이며 유아의 마음과 가장 밀착된 감성체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예술교육에 대하여 유아교사들은 예 술과 예술교육에 대하여 달리 인식하고 있었고, 창의적 표현기법과 사회적 지식을 가르치기 위한 매개 로 이해하고 있었다. 셋째, 예술교육의 어려움과 극복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생각을 통해 유아예술교육 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교육애를 드러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교육에서 예술과 예술교육의 가치 가 폭넓게 해석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the arts and arts education. Their related experiences were examined in an attempt to reach a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 genuine meaning and value of arts education in these early childhood settings. 11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qualitative study that implemented in-depth interviews. Result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investigated considered the term “the arts” to be elusive and unfamiliar, though they were in contact with the arts in their daily routine life. The teachers mostly considered “the arts” a medium to teach creative expression and increase socialization. Finally the teachers’ interview about difficulties in arts education and its overcome expressed an educational love for arts education in their early childhood classroom.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art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Aoki의 교육과정이론에 기초한 아동미술교사의 역할

        임부연(Lim, Boo-Yeun),원미은(Won, Mi-Eu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2

        There are many perspectives to describe roles of a teacher and these perspectives also have many things to do with curriculum discourses. As it is, teachers for Children's Art Education are required more complex roles not only in teaching related with curriculum but also in living and loving artistic life. This study brought Aoki's curriculum theory which recognized as overcoming instrumental approach to curriculum, up to highlight on art teachers' role in teaching curriculum. Aoki's voice for both curriculum and roles of teachers are fresh, vital and aesthetic which ever described complicated teaching phenomena in heartbreaking poetic nuance. This study analyzed and extract role of art teachers from Aoki's theory, which are 1) dwelling in the zone of between, 2) inspiriting the curriculum, 3) interpreting and reflecting curriculum, 4) improvising curriculum, 5) and living and loving artistic life. Then this study reinterpreted those five ideas into roles of art teachers, particularly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finally suggest that role of teachers particularly related to teaching art for children should always be awake, live and love 'arts' as existence life. 미술이 주체로서 존재론적 향유에 초점을 둔다면 미술교사는 '가르침'의 의미와 '예술적 향유' 모두를 고민해야 하며, 동시에 '교육과정'적 담론과 무관할 수 없는 복잡한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 교육과정이 가졌던 다소 경직된 구조주의적 담론을 벗어나서, 교사와 교육의 비인간화 현상에 주목하고 생명적 존재로서 교사와 교사의 삶, 그리고 살아있는 교육을 지향한 Aoki의 교육과정이론에 기반하여 아동미술교사의 역할을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생명성의 관점에서 아동미술을 담당하는 교육적 존재(pedagogic being)로서의 교사의 역할을 사이공간에 존재하는 미술교사, 미술을 '듣고·보는' 교사, 미술에 생명을 불어넣는 교사, 미술의 세계를 즉흥연주하는 교사, 예술적 삶을 사는 교사 등 5가지로 추출하여 이를 아동미술과 관련된 맥락 안에서의 논의를 통해 아동미술교육에서 '예술'적 가치를 놓치지 않으면서 동시에 교육과정의 심미적, 철학적 본성에 충실한 미술교사의 역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 진정한 배움의 의미 탐구 :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호들」을 중심으로

        임부연(Lim, Boo-Yeun),박수(Park, Su-Ye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4

        인간에게 배움은 생존을 위한 도구일 뿐 아니라 진정한 인간되기의 중요한 여정이다. 특히 학교를 통해 경험하는 배움의 내용과 방법은 개인의 일생을 넘어 국가와 사회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행위라는 점에서 수많은 교육담론의 의제가 되어 왔으나, 배움기호론에 기반한 논의는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기호를 배움의 핵심으로 보는 들뢰즈의 생성 철학적 의견에 비추어 학교교육에서 배움이 무엇인지를 비평적으로 탐구해 보고자하며, 특히 인간의 경험, 기억, 시간과 진리 찾기의 여정을 통해 배움의 의미를 기호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들뢰즈의「프루스트와 기호들」에 나타나는 배움기호의 유형에 의해 진정한 배움의 의미를 한차원 심화시켜 논의해 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들뢰즈의 배움이론에 비추어 볼 때 학교는 전 제된 진리를 재현하는 동일시 교육을 넘어서서 개인이 스스로 풍요로운 기호에 감응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주체의 내적역량을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개인 스스로가 풍부한 감응 능력과 사유하기를 통하여 진정한 배움 찾기와 인간되기의 여정에 들어설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학교교육에 대하여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of true meaning of ‘learning’ in school system based on Deleuze’s sign-learning theory which is suggested in the book of「Proust et les signes」. Deleuze criticizes the limitations and even dangers of learning in current school system, which more likely educates the learner not to think by simply repeat the correct answer and representation of sign. His learning philosophy suggests the school should provides the various ways of provoke true learning that help one engage in her own thinking. In Proust’s book, Deleuze analyzes four types of sign of learning, that are sign of social skill, sign of love, sign of sense and sign of art. In this way, he suggests the school needs to overcome to educate students the signs with poor meaning that are nothing but empty, but try to more involve the richness of sign that is truly help the students engage to recall her past of time and wailingly to search for the truth of meaning in the loosed time. This study finally tried to discuss how to school reconstruct curriculum to help learners to develop her sense of capacity by encountering with rich sign, and then naturally provokes her thinking that is only path way to reach the true learning.

      • KCI등재

        예술통합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임부연(Lim Boo-Yeun),손은경(Son Eun-Kyung),오정희(Oh J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5

        예술과 과학은 화해하기 어려운 상반된 세계가 아닌 서로 간섭하고 빌려오는 상호보완적 세계임을 강조하는 이론들에 근거하여 유아교실에서 예술과 과학을 통합하는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과정의 4가지 과학적 주제에 따른 실험활동을 음악과 미술, 문학과 동작 등의 예술과 통합하여 총 8주 16회기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를 만 5세 25명의 실험집단과 25명의 통제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간의 영역별 창의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8주간의 처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영역별 창의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디오촬영 및 관찰일지, 담임교사 면담 및 유아들의 작품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아들은 풍부한 상상력을 기반으로 독특하고 창의적인 사고의 표현이 증가됨을 보여주었다. 이를 토대로 유아교실에서 보다 즐겁고 유의미한 과학활동의 운영을 위하여 다양한 예술장르가 매개된 통합활동의 가능성과 긍정적 활용을 제안하였다. Based on various theories that arts must be effective for scientific thinking, this study attempted to effectiveness of science activities with arts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s creative thinking. Extracted from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our overarching scientific topics were selected and then a program in 16 times of activities for 8weeks applied to 5-year-old children which of each is 25 i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25 in comparative group.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pre-creative test.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post-creative test. In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also showed that children demonstrated interesting and a variety of scientific thinking which are expanded, imaginative, and aesthetic, involving the unique scientific thinking that are excercise in daily lif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effectiveness of arts-science integrated program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 KCI등재

        유아교육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의미와 실제 연구

        임부연 ( Boo Yeun Lim ),류미향 ( Mi Hyang Ryu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1

        While many scholars are increasingly giving much attention toward the `narrative modes of thought` rather than the `logico-scientific modes of thought` that was emphasized in the modern education, some of them are trying to incorporate narratives with curriculum. Early childhood is the period that encompasses the abilities to meaningfully narrate the surrounding world, which is valued in the narrativ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narrative curriculum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evelop narrative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classrooms, and to imply the developed curriculum in a classroom to find out any problems as well as possibilities of the narrative curriculum. Stories(narratives) about topics chosen from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were created by transforming the properties of conceptual knowledge to the one of narrative knowledge. When these stories were told to 5-year old children in a kindergarten classroom, children`s reactions were appealing: they freely communicated each other about their ideas and experiences, extended their understandings through their discussion, and created a learning community. The teacher had positive evaluation about the narrative curriculum in terms of the possibilities and meanings of the curriculum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s, based on her observation of the children`s active involvement and their `flow` experiences. Finally, this study presented tips and practical strategies to develop and imply the narrativ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 KCI등재

        유아가 경험하는 교실 공간의 의미

        임부연(Lim, Boo-Yeun),양혜련(Yang, Hye-Ryeun),송진영(Song, Ji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실 공간에 대한 유아의 경험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 현상학적 연구로서, 유아 교실 공간에서의 유아들의 활동에 대한 비참여 관찰과 유아 면담 그리고 교사 면담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첫째, 교실공간은 유아들로 하여금 교실 공간에 적합한 몸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고 둘째, 교실 공간은 유아들에게 있어 기억의 저장소 역할을 하고 있었으며 셋째, 교실공간은 유아가 스스로 교실의 주체임을 확인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실 공간은 유아들에게 무엇이든지 될 수 있는 무한한 변형 가능성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유아교실 공간이 단순한 물리적 영역을 넘어서 다층적인 성격을 지닌 공간으로서 의미를 생성해내는 구체적인 삶의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교실 공간 내에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주체의 하나로 유아를 재인식함으로써 교실 공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의 전환이 요청되며, 다양한 미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교실 공간의 심미적 특성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s a phenomenological study, it aimed to understand the empirical meanings of classroom space in infant educational facilities; The researcher observed children’s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classroom space,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m and th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lassroom space performed roles in making children’s bodies appropriate for them. Second, the classroom space played roles in saving children’s memories. Third, the classroom space played roles in making children recognize themselves as the owner of the space. Fourth, the classroom space provided infinite possibilities of transforming infants into anything.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space with multiple characteristics beyond simple, physical areas, classrooms in infant educational facilities is related to specific situations of life to create meanings. Moreover, this study demanded teachers to change their awareness towards infant classrooms and proposed the necessity of consideration of aesthetic properties of infant classrooms including a variety of aesthetic elements, by re-understanding infants as subjects who live their lives in the classroom space.

      • KCI등재

        상상과 은유를 매개로 유아교사의 발화 탐구

        임부연(Lim Boo-Yeun),김성숙(Kim Seong-Soug),오정희(Oh Jung-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9

        유아교실은 교사와 유아가 상상과 은유를 매개로 만들어진 풍부한 언어세계 그 자체이다. 교사는 상상과 은유를 통해 유아와 가까이 호흡하면서 즐겁고 활기찬 교실을 만들어 간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교사의 발화를 중심으로 상상과 은유를 매개로 한 언어의 특성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해석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교육적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세반 3학급의 유아 61명을 대상으로 총 30회기 동안 비참여관찰과 교사면담, 연구자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주제분석에 따라 주의 깊게 읽고 범주화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풍부한 상상과 은유가 있는 교사의 발화는 성인과 다른 독특한 방식으로 세계와 호흡하는 유아의 정신세계를 잘 이해하고 존중해 주는 동시에 효과적인 교수전략으로서 교사에 의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The worlds of language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re always fresh and exciting, reflecting power of imagination and metaphor from young children. Th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are responsible for children's linguistic ability of using imagination and metaphor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m in rich ways.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and meaning of imagination and metaphor used in oral speech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teachers' talk. Thre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different sites. It takes about 10 weeks to collect data involving direc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the researcher's journal. This study found that th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variously utilized the function of imagination and metaphor in their speech in order to keep the classroom order, making it softer and more joyful. The teachers were also like to use language involved imagination and metaphor in order to interact with the children in closer manner. Despite teachers' efforts to using imaginative power in their talk, they still had doubts and tensions to use the imaginative function of language, particularly the metaphor, because of their strong belief that knowledge of fact and logic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imaginative thinking during early childhood period. This study discussed the essential meaning and power of imagination and metaphor in early childhood, so the teachers with young children should be more attentive and active to use them.

      • KCI등재

        내러티브에 기초한 통합적 조형활동 적용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반응 연구

        임부연 ( Boo Yeun Lim ),이은교 ( Eun Gyo Lee ),오정희 ( Jung Hee Oh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이야기를 통해 세계를 만나고 통합된 전체로서 세계를 경험하는 유아들의 특성에 근거하여, 내러티브에 기초한 통합적 조형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6개 주제의 조형활동을 개발하여 7주 동안 만 4세반 유아에게 시범 적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비디오 녹화, 면담, 연구자 일지 등을 주요 자료로 수집하여 유아들의 반응과 그 의미를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야기 속에 몰입되는 아이들, 조형 재료와 놀이하는 아이들,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하는 아이들, 미적 충만감을 경험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내러티브에 기초한 통합적 조형활동은 유아들로 하여금 미적으로 충만한 만족의 상태에 이르게 하였으며 이를 즐기고 향유하는 과정에서 존재의 성장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기 조형활동의 새로운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hildren`s reactions appearing in process of applying the integral activities by using narratives, which i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meeting the world through stories and experiencing it by an integrated whole. For this purpose, first we developed art activities on six theme and applied them to children at the age of 4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for seven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video recording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field notes, that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methods on children`s reactions and meanings.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at it showed children immersing in the story, playing with various materials, thinking and expressing creatively and experiencing aesthetic satisfying feeling. In conclusion, the integral art activities based on narratives make children cultivate their sense of beauty and promote the growth of the existence.

      • KCI등재

        유아놀이에서 나타나는 언어유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임부연(Lim Boo Yeun),오정희(Oh Jung 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유아의 놀이에서 보여 지는 언어는 성인에 비해 모자라거나 미완성이 아닌 그 자체로 독창성을 가지고 향유되는 유희의 세계로써 유아의 의식을 이해하는 본질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언어의 특징과 유희성을 현상학적 시선으로 바라보고 수집된 자료를 해석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교육적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A유치원 만 5세반에서 총 30회기 동안 비참여관찰과 교사면담, 연구자일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의 주제 분석에 따라 주의 깊게 읽고 범주화화 되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놀이 속에서 언어를 변형하거나 재구성함으로써 서로 공유하고 소통하는 독창성과 또한 자신이 알고 있는 앎의 세계를 언어를 통해 충분히 활용하고 게임처럼 즐기는 지적 유희성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Young children's world of language is filled with fresh and joyful sign. Play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ontext to reveal children's joyful language. Children deconstruct and reconstruct meanings of language by using their imaginative and metaphoric consciousness. This study used phenomenological skills to observe 30 children's distinctive ability of using joyful language during free play time in 5 year-old class at a kindergarten located in P city area. The data collected through 30 times observations, observation notes, in-depth interviews with classroom teachers, and researchers's field notes. The result shows that young children are very confident to use and produce language in their play time as they are very intelligent to enjoy and create rules of play. The children knew what the rule of sign in social system is, but were also able to deconstruct and reconstruct those signs by using imagination and metaphor which are the most powerful symbol of consciousness in early childhood period. They were also intelligent to create their own language, which also provided adults to enjoy, infer and awe their own joyful language. This study discuss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more careful to listen and respect children's own language which is not a sign of 'deficiency' but confidence of joyful and intelligent consc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