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상증자 공시 전 정보거래에 관한 연구

        임병권(Byungkwon Lim),윤평식(Pyung Sig Yoon) 한국증권학회 2017 한국증권학회지 Vol.46 No.1

        자본시장에서 정보거래자의 정보원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기존연구에서 특정 정보를 사전에 취득하여 그들의 투자의사결정에 활용한다는 결과가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기업이 유상증자를 행하는 경우 주간사를 선정하게 되므로, 유상증자 실시에 대한 정보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특정투자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상증자 공시일 이전의 투자자별 거래행태를 분석하여, 해당 정보를 토대로 거래가 이루어졌는지 검증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상증자 공시일 이전에 기관과 외국인 및 개인투자자 모두에서 비정상적인 거래량이 발생한다. 둘째, 유상증자 공시일 이전의 매도 거래불균형은 기관투자자에게만 나타날 뿐 외국인과 개인투자자에게는 유의적인 거래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셋째, 기관투자자는 유상증자 공시일 이전에 순매도를 행하며 외국인 투자자도 기관투자자와 유사한 거래행태를 보인다. 특히, 금융투자회사는 공시일 이전에 순매도를 행하지만 공시일 이후에는 유의한 거래행태가 발생하지 않아 정보거래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외국인 투자자는 유상증자 공시일 이전에 순매도 거래를 행하지만 과거의 거래행태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사전 정보취득에 의한 거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기관투자자는 다양한 분석에서 일관된 결과가 나타나 유상증자 실시에 대한 정보를 사전 취득하여 투자의사결정에 활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인수주선 및 투자업무 영역 간 방화벽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으며, 금융투자회사의 인수주선 업무 중에 발생 가능한 이해관계자로의 정보 유출을 차단할 제도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informed trading by investors around the announcement of seasoned equity offerings (SEOs). When firms issue their shares, certain parties such as underwriters can review the information provided for the SEOs before it is publicly released. We find that all investors (institutional investors, foreign investors, and individual investors) show abnormally high trading volume prior to the announcement of SEOs. However, only institutional investors show selling trade imbalances compared to past trading patterns. Futhermore, we find that there is a trading behavior of institutional investors toward net selling before the announcement of SEOs.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our understanding that institutional investors obtain the information prior to the announcement of SEOs.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parency of capital markets, improvements in regulation to monitor how information may be illegally shared is required.

      • KCI우수등재

        지배주주 지분율이 의결권 가치에 미치는 영향

        임병권(Byungkwon Lim),윤평식(Pyung Sig Yoon),최향미(Hyangmi Choi) 한국경영학회 2019 經營學硏究 Vol.48 No.6

        Extant studies have explored the sources of voting premium from the perspectives of either the private benefits of control or the probability of control contes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ich perspective is supported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and voting premium with longitudinal data in Korea during 2004 to 2016. We further analyz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and outside blockholders’ ownership on voting premium.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and voting premium have an inverted U shape relationship, suggesting voting premium increases up to a certain point of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after which it decreases. Second, outside blockholders do not mitigate the relationship, implying that outside blockholders do not yet participate in control contests vigorously to the extent of affecting the impact of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on voting premium. This study suggests that voting premium arises with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and the probability of control contest over the management.

      • KCI등재

        애널리스트의 정보력과 투자자별 거래행태

        임병권(Byungkwon Lim),윤평식(Pyung Sig Yoon),박순홍(Soonhong Park) 한국증권학회 2016 한국증권학회지 Vol.45 No.5

        본 연구는 신규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발간된 모든 애널리스트 보고서를 이용하여 해당 보고서의 정보력을 검증함과 동시에 주관사 및 비주관사 간의 정보력 차이를 비교·분석한다. 또한 이해상충으로 인한 보고서 발표 이전의 정보유출 가능성에 대해서도 분석을 실시한다. 기존연구가 부분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제한적인 애널리스트 정보력을 측정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모든 애널리스트 보고서를 분석함으로써 정성적인 정보 또한 고려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 및 거래량으로 측정한 애널리스트 보고서 발표일의 정보력은 유의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애널리스트 활동 수준과 정보력은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여 신규상장기업에 있어서 국내 애널리스트는 정보제공자 보다는 정보중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주관사 소속 애널리스트의 정보우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정보력은 비주관사 애널리스트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이해상충으로 정보력이 미흡한 보고서를 발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주관사 여부와 무관하게 애널리스트 보고서 발표일에 개인, 기관, 그리고 외국인 투자자가 유의한 거래반응을 보인다. 하지만 보고서 발표 이전일의 개인, 기관, 외국인 투자자 거래반응은 비주관사 애널리스트에 대해서만 유의한 거래반응을 보인다. 특히 기관투자자는 보고서 발표 이전일에 개인 및 외국인 투자자보다 유의하게 많은 거래를 하지만, 보고서 발표일도 동시에 높은 거래반응을 보여 사전적으로 취득한 정보를 근거로 한 거래는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애널리스트 보고서 발표이전의 정보유출 행위가 나타난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확인할 수 없다. 전체적으로 미국과 달리 신규상장기업에 있어서 국내 애널리스트는 정보제공자대신 정보중계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관사 애널리스트가 직면한 이해상충으로 인하여 정보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veness of analysts using all reports published in IPOs and compares the informativeness between underwriter analysts and unaffiliated analysts. Also, we test the information leakage (Tipping) before the public release of analysts` repor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analyst reports have price informativeness.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the analysts coverage and the price informativeness is significantly negative. Second, we find that the price informativeness of underwriter analysts is less than unaffiliated analysts due to conflicts of interest. Finally, we find that individual, domestic institutional and foreign institutional investors`abnormal tradings on release date are significantly large for both underwriter and unaffiliated analysts. However, all investors`abnormal tradings before release date arises only in the case of unaffiliated analysts reports. Especially, domestic institutional investors response to not only the release date of analysts reports but before public release. Therefore, we can not identify direct evidence of the tipping. In conclusion, we find that financial analysts in IPOs play a key role as information intermediaries rather than information producers. Furthermore, we identify that the informativeness of underwriter analysts are less than unaffiliated analysts due to conflicts of interest.

      • KCI등재

        주택 경매시장과 매매시장 간 상호관계

        임병권 ( Lim Byungkwon ),김병국 ( Kim Byeng-kuk ),김천규 ( Kim Chun-kyu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3 不動産學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간에 대해 전국 16개 권역을 대상으로 주택 경매시장과 매매시장의 상호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동일한 시점(당해연도)의 경우 전년 대비 주택 경매건수가 감소하거나 낙찰률이 증가하면 주택매매변동률은 상승하였다. 반면, 과거 시점(전년도)의 경우 경매시장 관련 지표가 주택 매매시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동일한 시점에 대한 주택 경매시장과 매매시장 간의 상호 관련성은 감정가격이 저렴한 주택에서 강건한 결과를 보였으며, 지역적으로 구분하는 경우 특히 수도권에서 명확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종합하며, 주택시장에 있어 경매시장이 매매시장을 선행한다고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두 시장은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해 볼 수 있다. 전국을 대상으로 주택 경매시장이 매매시장을 선행하는지 여부를 고찰한 본 연구는 학술적 그리고 실무적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housing auction market has an effect on the sales market Using 16 nationwide regions over 15 years from 2006 to 2020, we find that a decrease in the number of auction houses and an increase in successful bid rat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housing sales market in the same period. On the other hand, all the lagged factors related to the housing auction market have less impact on the housing sales market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ousing auction market and the sales market is robust in the low level of appraisal house prices and particular in metropolitan areas. Overall, our finding indicates that the housing auction market would not precede the sales market, suggesting that the housing auction market and sales market mutually influence each other.

      • KCI등재

        신규분석 기업에 대한 애널리스트의 정보적 가치에 관한 연구

        임병권 ( Byungkwon Lim ),박재환 ( Jaehwan Park ) 한국금융공학회 2017 금융공학연구 Vol.16 No.1

        애널리스트는 기업의 사적정보를 생산하는데 한계점이 있을 수 있지만 시장 및 산업과 관련한 정보우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애널리스트가 신규로 분석한 기업을 대상으로 시장 최초로 분석한 기업(신규분석 표본)과 분석이 재개된 기업(분석재개 표본)으로 구분하여 시장과 산업 전반에 대한 애널리스트의 정보력을 검증하고 관련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이전 대비 애널리스트의 분석이후에 신규분석과 분석재개 표본 모두에서 기업고유 수익률 요인은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반면, 시장수익률 요인은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산업수익률 요인은 유의미한 증가를 보인다. 둘째, 주가동시성을 이용한 분석결과는 두 표본 그룹에서 상이한 결과를 보인다. 신규분석 표본은 분석 이후에 주가동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지만, 분석재개 표본은 분석이전과 이후에 유의미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두 표본 모두에서 애널리스트의 분석 이후에 산업베타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여 기업의 주식수익률은 산업수익률과의 관련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애널리스트는 기업의 사적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하는데 한계점이 있을 수 있지만, 산업전반에 대한 그들의 사적정보를 투자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자본시장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We examine the informativeness of financial analysts who are known as professionals in capital markets. Faced with regulation such as FD(Fair Disclosure), they would not produce firm-specific information but they could provide investor with industry or market information. Using analyst`s initiation of coverage data, we divide first-coverage firms(initiating coverage reports) and re-coverage firms(existing prior analyst reports) and then we investigate whether analysts provide industry or market-level information or not.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we do not find that the firm-specific information component lasts after initiation coverage by financial analysts. But market information component decreases and industry information component increases after initiation coverage. Second, we find that price synchronicity increases only first-coverage firms. Bu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re-coverage firms. In contrast, industry beta increases significantly both of them after coverage initi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financial analyst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especially industry-level and they can play a positive key role in the capital markets.

      • KCI등재

        부동산 취득 및 처분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병권(Byungkwon Lim),김천규(Chun-Kyu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는 부동산 취득 및 처분에 따른 공시효과와 장기성과에 대해 분석하고, 부동산 취득 및 처분금액과 주요 목적별(경영활동, 재무활동, 기타)로 차별적인 장기성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득표본은 공시일에 유의적인 주가반응이 없지만, 처분표본은 공시일에 (+)양의 주가성과를 보여 부동산 처분에 따른 공시효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난다. 둘째, 부동산 취득 및 처분공시 이후 장기성과는 음(-)으로 나타나며, 취득 및 처분 목적별로 구분한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를 보인다. 셋째, 부동산 취득의 경우 취득금액과 장기성과는 유의적인 음(-)으로 나타나지만, 부동산 처분표본의 경우에는 경영활동에 국한하여 처분금액이 증가할수록 기업가치는 상승한다. 전체적으로 기업의 부동산 취득 및 처분 이후에 공통적으로 장기성과는 하락한다. 따라서 부동산 취득에 따른 장기성과 하락은 대리인 이론으로 설명 가능하다. 또한, 부동산 처분 이후의 주가하락은 기업의 재무적 곤경을 시장에 알리는 신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장기성과가 악화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both the announcement effect of corporate real estate acquisitions and sales and long-term stock performance. Also, we analyze long-term stock returns on the basis of the amount and the purpose (business activities, financial activities, etc.) of real estate acquisitions and sal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we fi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announcement effect on the real estate acquisitions. However, the announcement day of real estate sales shows significantly positive abnormal stock returns. Second, we find that both the real estate acquisitions and sales show negative long-term stock performance. We also find the same results from the case where we classify our sample on the basis of the amount and the purpose of real estate acquisitions and sales. Third, the amount of real estate acquisitions is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long-term stock returns, whereas the relation between firm value and the amount of real estate sales is positive only under the business activities. Overall, long-term stock performance decreases after the announcement day of the real estate acquisitions and sales. This results can be explained by agency theory. Also, we conclude that a decline in stock performance after the real estate sales explain an information signal on financial distress.

      • KCI우수등재

        주식수익률의 동조화와 투자자별 거래행태

        임병권(Byungkwon Lim),박순홍(Soonhong Park) 한국경영학회 2017 經營學硏究 Vol.46 No.3

        Stock retruns comove with index compositions after major market index inclusions. Barberis et al.(2005) suggest that comovement after inclusion in a major index is unrelated with fundamentals. They explain this phenomenon from friction or sentiment-based point of views. However, previous studies only focus on the friction-based view and comovement can be partially explained by the friction-based view based on the information diffusion hypothesi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comovement after the KOSPI 200 index inclusions accounts for sentiment-based views. We also examine which type of investors’ trading behavior leads to the comovement.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with the lowest comovement group, the highest comovement group shows the largest changes of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investors’ trading behaviors. Second, we identify that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investors’ trading behaviors show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comovement inclusion in the KOSPI 200 index. Overall, the comovement caused by changes in the KOSPI 200 index is related with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investor’s trading behavior. Therefore, we find that comovement in the KOSPI 200 index changes supports the sentiment-based views such as category and habitat hypotheses.

      • KCI등재

        경영자의 마켓타이밍 능력과 자사주 취득

        임병권(Byungkwon Lim),박순홍(Soonhong Park) 한국증권학회 2018 한국증권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는 실제의 자사주 취득내역 자료를 이용하여 자사주 취득단가와 시장가격과의 비교를 통해 경영자의 마켓타이밍 능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경영자의 마켓타이밍 능력이 어떠한 요인으로 설명 가능한지를 분석하고, 취득단가와 장기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자사주 취득이 마켓타이밍 가설을 지지하는지 검증하였다. 기존연구가 공시일 이후의 장기성과를 토대로 경영자의 마켓타이밍을 검증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기업의 실제적인 자사주 취득단가를 이용하여 직접적인 경영자의 마켓타이밍 능력을 검증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자사주 취득단가는 취득 결정일(공시일) 이전 및 취득 완료일 이후의 시장가격보다 낮으며, 자사주 취득가능 기간(공시일부터 3개월 이내)에도 시장가격보다 할인된 가격에 자사주를 매입하였다. 특히, 취득 소요기간이 장기이거나 취득횟수가 많을수록 더 낮은 가격에 자사주를 취득하였다. 둘째, 기관투자자나 외국인투자자와 같은 정보거래자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더 비싼 가격에 자사주를 매수하였다. 따라서 정보거래자 지분이 높을수록 기업의 주가에는 사적정보가 신속히 반영됨으로써 경영자의 마켓타이밍 능력은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기업이 자사주를 저가에 매수할수록 장기성과가 더 높게 나타나 자사주 취득가능 기간의 매입행태와 장기성과는 일련의 관련성이 존재하였다. 전체적으로 자사주 취득에 있어 경영자는 마켓타이밍 능력이 존재하며, 정보거래자 지분이 증가할수록 저평가가 완화되어 경영자의 마켓타이밍 능력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사주를 할인된 가격에 매수할수록 장기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사주 취득에 있어서도 경영자의 마켓타이밍 가설이 지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Using actual repurchases price data, we examine whether firms repurchase their own shares at a discounted price. We also investigate whether the motivation of share repurchases supports the market timing hypothesis. We find that firms repurchase shares at a significantly lower price than the average market price. Especially, firms that repurchase more frequently and take a longer period time to acquire the whole repurchasing shares tend to obtain much lower prices. In addition, the ownership structure such as the stakes of informed traders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al investors) affects the managers’timing ability. Large stakes held by informed investors a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 repurchases price. This suggests that informed traders provide private information of firm value and reduce managers’ timing ability. Furthermore, we docu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price paid in the repurchase and the long-term performance. We find that if firms repurchase shares at a more discounted price, their abnormal returns are more posit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anagers time the market when they repurchase their own shares. Collectively, we find the supporting evidence that managers have market timing ability in Korea.

      • KCI등재

        기업 내부자의 군집거래와 주가성과

        임병권(Byungkwon Lim),박순홍(Soonhong Park) 한국증권학회 2018 한국증권학회지 Vol.47 No.6

        본 연구는 내부자 군집거래(매수 및 매도)와 비(非)-군집거래의 주가성과를 비교함으로써 군집거래와 주가성과의 관련성을 검증한다. 또한, 내부자 유형별(최대주주, 주요주주, 임원)로 구분하여 각각의 계층에서 개별적으로 행해진 군집거래와 향후 주가성과가 차별성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자의 비(非)-군집거래와 비교할 때 매수군집거래 이후에 단기 및 장기성과는 더 높게 나타나며, 매도군집거래 이후에는 단기 및 장기성과가 보다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일반적인 내부자거래(비(非)-군집거래)와 내부자 군집거래는 차별적인 결과를 보인다. 둘째, 내부자의 매수 및 매도군집거래에 있어 최대주주 계층을 포함하는 경우에 유의적으로 더 높은(낮은) 주가성과를 실현한다. 셋째, 내부자 유형별로 구분하는 경우에 주요주주나 임원계층과 차별적으로 최대주주 계층의 매수(매도)군집거래 이후에 단기 및 장기성과는 유의적으로 높게(낮게)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내부자 군집거래는 비(非)-군집거래보다 유의적으로 높은(낮은) 주가성과를 보인다. 따라서 비(非)-군집거래보다 내부자가 군집하여 거래하는 경우에 보다 정보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군집거래와 단·장기 주가성과의 관련성은 최대주주 계층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다. 즉, 내부자 계층별로 보유한 사적정보 수준은 각각 상이하며 최대주주 계층의 군집거래는 기업의 사적정보를 보다 강건하게 포함하고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ock return performance of clustered insider trading (insider herding). We analyze the short-term and long-run stock price performance of insider herding and investigate relative informational advantages among firm insider levels. Ou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clustered insider purchases (sales) lead to higher (lower) abnormal stock returns both in the short-term and in the long-term period. Second, we find that insider herding which includes the largest shareholder group shows different stock return performance. Lastly, we find insider herding at each insider hierarchy level shows consistent and robust results only at the largest shareholder group. Overall, compared to non-insider herding, insider herding results in abnormal returns both in the short and in long-term periods. This suggests that insider herding contains robust private information on firm value. Especially, we find the clear relation between insider herding and stock performance at the largest shareholder group. Our result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firm insiders have different private information and largest shareholders have superior information among insider hierarchy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