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서비스러닝 운영 비교: 한국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민정 ( Min Jung Lim ),박수경 ( Su Kyoung Park,)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의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서비스러닝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바람직한 서비스러닝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4개 대학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서비스러닝 실제 운영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서비스러닝은 제도적으로 운영시간이 짧고 참여자 및 체계가 불분명하며 평가가 체계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서비스러닝 운영에 대한 목표와 과정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기본적인 규정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서비스러닝의 교육적 의미와 현장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rvice learning program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America in order to identify a direction for Korean teacher education. Four service learning courses of two Korean and two American universities were selected and cross-compar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rvice learning courses of the Korean universities had limited schedules and lacked administrative systems of recruitment, placement, and assessment. For a solution, this study proposed systematic planning for goals and steps in service learning and regulation enforcement of basic operation. In addition, educational valu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service learning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도덕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임민정(Lim, Min-Ju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3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은 유아교육 현장의 문제 상황을 상상해보며 윤리적 판단과 실천을 동기화할 수 있는 도덕적 상상력의 함양을 요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도덕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결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개발절차에 따라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이론적 준거를 설정하고, 예비유아교사 및 교사양성과정의 교사교육자들의 요구조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전문가 자문을 거쳐 수정, 보완되었고, 프로그램의 모형에 따른 회기별 세부 교육활동이 최종 개발되었다. 개발된 도덕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16명을 대상으로 8주, 15회기 동안 실행되었으며, 도덕판단력과 공감능력에 대한 사전ㆍ사후검사와 저널 등에 기초한 질적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적용 결과를 살펴보았다. 사전ㆍ사후검사 결과 도덕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의 도덕판단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본 프로그램을 통해 도덕 감수성의 향상과 일상의 삶 안에서 공감과 배려의 변화를 경험하였고, 윤리적인 책무감을 지닌 유아교사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equires the cultivation of moral imagination capable of synchronizing ethical judgment and practice, by imagining problematic situ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a teacher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designed to enhance the moral imaginat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o do so, the study employed the ADDIE (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Evaluation) procedure and proposed a program based on the theories of moral imagination and the need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drawn from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preliminary program was revised by expert consultation and developed into the final model of the Moral Imagination Program, which consisted of subsequent contents and activities organized into 15 sessions. To apply the Moral Imagination Program into teacher education,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eight weeks with 16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a university course. The program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pre- and post-tests on moral judgement and empathy. In addition, journal writings and course materials were collected for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 change during program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showed that the Moral Imagin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ral judgement. A further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mproved their moral sensibility and engaged in empathy-focused interactions in their daily actions. Also, the program was positively conceived as a learning opportunity for becoming ethically responsiv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보육교사에 대한 신문기사와 TV뉴스의 담론분석

        임민정(Lim, Min-Jung),우민지(Woo, Min-Ji),백지혜(Baek, Jee-Hea)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3

        최근 우리사회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확대되면서 영유아 및 가정을 위한 보육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와 관련하여 신문기사와 TV뉴스에서 보도된 담론을 살펴보고, Gee의 담론분석 방법을 통해 텍스트의 언어 작용과 보육교사 담론이 구성하는 이념과 실제를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문기사와 TV뉴스의 보육교사에 대한 담론은 ‘보육교사’, ‘보육서비스’, ‘아동학대’의 유형으로 도출되었고, 보육교사에 대한 우리사회의 논점을 반영하는 거대담화로 간주되었다. 또한 보육교사 담론으로 분류된 70편의 보도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들은 지도관리가 필요한 규제의 대상으로 승인되어 영아보육에 대한 전문성을 배제 받고 있었다. 보육교사 담론에서는 보육교사의 열악한 근무환경과 처우에 대한 개선 요구가 높았으나 노동자로서의 권리 보장과 교사로서의 책무 간에 이중 잣대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신문기사와 TV뉴스의 담론에서 보육교사는 양육자 정체성을 지니고 모성을 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교사-양육자로서 중첩된 전문성을 요구받으며 이중으로 소외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The provis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for children and families has received growing attention in Korean society, as women laborers are necessarily required in sustaining the economy. This study examined how childcare teachers have been represented in the Korean news by utilizing discourse analysis on newspaper articles and television news. Gee’s approach was adopted as a tool of inquiry into the details of language used in the texts and into what the discourses intend to accomplish in the world by the way in which they have used the aforementioned language. This analysis identified three major big “C” conversations focused on “childcare teachers, childcare services, and child abuse.” The detailed analysis on language used in the texts revealed disciplined, marginalized, and self-sacrificial discourses on childcare teachers, being conceptualized as subcontracted mothers. A double standard was set at work between laborer wellbeing and teacher accountability in the discourses regarding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for childcare teachers. These discourses may contribute to the childcare teachers’ ambiguous professionalism complicated by teaching and caring, consequently imposing a normalized assumption that their professional alienation is taken for granted.

      • KCI등재

        영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국외 연구 동향

        임민정(Lim, Min-Ju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2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 전문성과 관련한 국외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 및 보육 분야 전문성 연구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전문성 제고 및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9편의 국외 학술지 논문을 선정하고,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따른 연구 동향 및 주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연구주제를 분석한 결과 전문성에 대한 개념화를 논의한 연구와 전문성 관련 인식과 평가를 살펴본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며, 전 연구주제에서 질적 연구방법의 선호도와 활용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전문성 개념화, 전문성 인식과 평가, 전문가적 역할 수행, 전문성 신장 주제에 따른 주요 연구내용을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시사점 및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professionalis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order to gain an overarching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foreign studies on ECEC professionalism. To do this, 69 peer-reviewed,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were systematically selected and analyzed by research topics, methods, and major conten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any ECEC studies have inquired into what professionalism is, how it is perceived by ECEC workforces and stakeholders, and what variables and conditions are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competenc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ave been highly adopted in ECEC professionalism research. The study reviewed major contents from the literatures according to conceptualization, perception and assessment, professional practic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Based on the analysi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professionalism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KCI등재

        포스트모던 텍스트로서의 질적 연구: 세 가지 이론을 통한 해체적 읽기

        임민정 ( Min Jung L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질적 연구자가 바라보는 현상은 고정화된 실재가 아니라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품고 있는 상호텍스트로 이해된다. 본 논문은 Derrida의 해체 개념을 토대로 질적 연구의 해석에서 여러 가지 이론에 의해 새롭게 구성되는 의미를 살펴보고, 유아교육질적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Foucault, Bakhtin, Deleuze 이론의 주요 개념들을 설명하고, 이민가정의 학교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결과의 일부를 세 가지 이론과 관련지어 해석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세 가지 이론을 적용한 해체적 읽기는 다양한 차원에서 변형되고 구성되는 질적 연구의 상호텍스트성을 드러내고, 연구자의 주관성에 대한 적극적인 탐색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연구 맥락의 정치적 성격을 인식하고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사이의 윤리적 대화로서 질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말해준다. 이와 함께 리좀적 사유를 반영하는 다양한 연구방법론 전략을 모색하고, 이론 및 철학문헌에 대한 탐독을 통해 복합적인 차원의 해석 능력을 제고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From a postmodern perspective, the phenomenon in qualitative inquiry is the intertext it generates, which potentially produces endless interpretations, not a fixed essential entity. Drawn from Derrida.s deconstruction, this article explores how different theories can produce heterogeneous meanings in interpreting qualitative research data. For this purpose, three postmodern theories of Foucault, Bakhtin, and Deleuze were briefly presented, then applied to interpretive analysis on the qualitative study of immigrant parents. school participation. Such deconstructive reading illuminated the intertext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that was constructed, transformed, and particularized through the three theoretical lenses. In this process of deconstructive reading, researcher subjectivity and politics of research context should be the subject of close inquiry that can lead to ethical dialogues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 participants. Deconstruction can also develop a sense of flexibility in methodological application which may represent the Deluezian concept of rhizome. To put deconstruction in practice, I recommend students and researchers read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literature which serve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qualitative research interpretation.

      • KCI등재

        놀이에 나타난 또래 간 놀이 상호작용 행동 및 반응 양상 탐구

        임민정 ( Lim Min Jung ),문소영 ( Mun So 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연구 Vol.44 No.4

        본 연구는 놀이에 나타난 또래 간 놀이 상호작용 행동 및 반응 양상을 탐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23년 5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여름 방학을 제외한 6개월간 G유치원 5세 우정반 24명을 대상으로 놀이를 비참여 관찰하였다. 놀이 상호작용 행동과 놀이 반응을 양적, 질적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놀이에 나타난 또래 간 놀이 상호작용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놀이 상호작용행동은 설명, 제안, 지시 · 명령, 질문, 시범 범주가 높은 순위로 관찰되었고 대부분 또래에 의해 수용되었다. 또래 간 놀이 상호작용 경험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설명을 통해 함께 하는 놀이 이해시키기, 질문을 통해 놀이를 구체화 시키고 문제 해결하기, 생각 표현을 통해 차이를 조율하고 놀이 변형하기로 분석되었다. 놀이 상호작용 행동에 내재한 의미로는 공감으로 놀이 지속하기, 리더로서 놀이 이끌기, 놀이에 함께 하고 싶은 마음 표현하기와 거부하기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놀이 속 상호작용자의 개념을 교사가 아닌 또래로 바라보며 탐색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유아의 관점으로 경험한 놀이 속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교사의 놀이 상호작용 방향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eer play interaction behaviors and response patterns in children’s play. Non-participant observations of play were conducted involving 24 five-year-old children in the “Friendship” class at G Kindergarten from May 1, 2023, to November 30, 2023, excluding the summer vacation perio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observed play interaction behaviors and respon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frequent the play interaction behaviors were explanation, suggestion, command/ordering, questioning, and modeling, with most of these behaviors being accepted by peers. Analysis of the meaning of peer play interaction experiences indicated that explanation was used to help peers understand and participate in the play, questioning was employed to clarify and resolve issues within the play, and expression of thoughts was utilized to negotiate differences and modify the play. The inherent meanings of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cluded sustaining play through empathy, guiding and directing the play as a leader, and expressing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the play as well as the act of rejecting particip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concept of play interaction agents not as teachers, but as peers. Th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that can be used to inform teachers about the direction of their own play interactions, based on the children’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 KCI등재

        문화변용에 따른 이민자 학부모들의 자녀교육 참여 양상

        임민정 ( Min Jung L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No.2

        This study presented the cases of three Korean mothers in the United States and examined how their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 their children`s schooling were mediated by individual agency and acculturation. As part of an ethnographic study on Korean immigrant families` school involvem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observations, and school-documents during one academic year. Findings suggested that the three Korean mothers constructed distinct ways of parent involvement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s of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cultural broker, team worker, and outsider. Each type of involvement reflected how the mothers engaged in complex negotiations across cultural contexts in order to provide meaningful education for the future of their children. Their different levels of acculturat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parent involvement, affecting the mothers` access to institutional resources and support. The mothers created unique coping strategies by drawing on their personal agency and cultural participation in the home and host societies.

      • KCI등재후보

        Korean Mothers' Folk Theory about American Education

        Min-Jung Lim(임민정)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어머니들이 지닌 자녀의 미국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민속이론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 어머니 두 명의 나래티브 자료가 3차에 걸친 현상학적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어머니들은 성공을 위해 교육을 중시하는 문화적 믿음에 부합한 견해를 나타내었고, 미국교육이 영어 숙달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여 자녀의 장래를 최적화할 것으로 여기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미국교육에서 자녀가 지닌 소수민으로서의 불이익을 인식하였으나, 자녀들의 영어 역량을 높이려는 마음에서 전략적인 가정 부모참여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소수민 가정의 부모참여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cover a folk theory grounded in th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Korean mothers on their children’s American education. The narratives of two Korean mothers were collected through three-phased phenomenological interviews. The findings revealed that Korean mot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at resonated with their cultural belief in education leading to success. They viewed American education as a means to master the English language and thereby to optimize their children’s futures. While the mothers recognized the disadvantages inherent in their children’s minority status within the American educational system, their desire for English competency helped them seek out strategic involvement practices at home. Implications for minority parent involvement are discussed.

      • KCI등재

        Theorizing Minority Children's Social Adjustmen at Mainstream Preschools: Bakhtinian Dialogism

        임민정 ( Lim Min-jung ),오주은 ( Oh Joo-e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introduced the Bakhtinian notion of dialogism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studying minority children`s social engagement at preschool. By suggesting an alternative theoretical lens, this study challenged the mainstream view on the socialization of minority children whose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had been predominantly assumed as social incompetence. We first identified key concepts in the Bakhtinian notion of dialogism applicable for researching minority children as active agents who were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of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lassroom culture. Secondly, we demonstrated how such concepts could be applied in an ethnographic study of two Korean children`s social lives at U.S. preschools. Finally,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oretical frameworks and suggestions for teachers and researchers.

      • KCI등재

        비판적 반성 중심의 다문화 교사교육을 통한 유아교사의 관점 변화

        임민정 ( Min Jung Lim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학사학위과정 다문화교육 수업에서 비판적 반성을 유발하는 학습경험을 제공하고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점과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 연구 강좌에서 수집된 문서자료와 강의종료 이후 7인의 주요 참여자들과의 각 2회에 걸쳐 수행된 후향 면담 전사본이 질적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대부분이 수업 초기 집단주의 문화 정체성을 보였고, 다문화 교육의 개념을 상호 어울림을 강조하는 대인관계 접근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수업이 진행되면서 교사들은 당연시했던 편견을 인식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새로운 개념 형성과 교사 책무성을 자각하는 실천적 반성을 나타냈으며, 관점 전환에 영향을 미친 학습조건으로 의사소통 및 비판적 반성의 제공, 실행공동체 형성, 행동 실천의 어려움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및 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를 증진시킬 수 있는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udents’ changes in perspective in a multicultural education seminar course in a bachelor’s degree program that attempts to transform learning through critical reflection. Data was drawn from a qualitative analysis of course documents and two rounds of retrospective interviews with seven focal interviewees after the semester end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sessed collectivist cultural identities and understood multicultural education as an approach to human relationship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s the semester went on, the teachers showed changes in their points of view on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included recognizing their taken-for-granted prejudices, reconceptualizing the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ngaging in practical reflection on teacher accountability. Influential conditions for transforming learning include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dialogue and critical reflection and developing the community of practice among classmates. The major barrier against transformation was difficulty in putting critical perspectives into practice. Based on these findings, critical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re discussed with regard to preparing perspective and in-service train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become critical practitioners in ref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