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팔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임미정,최규석,Lim, Mi-Jeong,Choi, Gyoo-Seok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The baby boomers born between 1955 and 1974, recently called the new age, form a huge population group and show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traditional older generations. With the retirement of those who make up 33% of the nation's population in earnest,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policy changes are required. The new middle age generation, also called the opal generation, want to spend their old age productively and autonomously, which h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have some economic ability, such as enjoying overseas travel in old age. As preparation for old age is insufficient, policy attention is required for the younger generation as a new generation.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definition of the opal generation, their consumption lifestyle, attitudes, social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and lifestyle such as health efforts are investigated, and job creation, social re-education, and local It is intended to present practical measures for preparing for old age,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facilities and social consideration for a leisurely cultural life.

      • KCI등재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소장 위당문고 자료의 성격과 가치 (1) : 『여유당집(與猶堂集)』과 『담헌서(湛軒書)』를 중심으로

        임미정(LIM, Mi-J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5 No.-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의 위당문고는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 1893∼1950) 선생의 구장본으로 구성된 문고이다. 위당문고에는 위당의 국학 연구 활동과 관련된 문헌들을 비롯하여 위당 주변 인물들의 유일본 문집이 포함되어 있는데, 아직까지 위당문고의 존재와 목록은 학계에 소개되지 못했다. 본고는 위당문고 소장 주요 자료를 다각도로 조명하는 목적에서, 위당의 신조선사 출판 활동과 관계있는 문헌들이 위당문고에 남아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주요 자료를 소개한 것이다. 대상 문헌은 위당문고의 <여유당집(與猶堂集)>・<마과회통(麻科會通)>・<담헌서(湛軒書)>・<여암유고(旅菴遺稿)>로, 이 책들의 서지와 성격, 신조선사본과의 관계를 살폈고, 특히 『여유당집』과 『담헌서』의 가치를 중점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여유당집> 1책(결질)은 ‘고본(稿本)’ 혹은 ‘가장본(家藏本)’이라고 불리는 다산 저작의 특징을 보여주는 책이다. 특히 위당문고본은 가장본 계열이면서 시집에 해당하는 부분이어서, 다산 시의 시구 확정과 교감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 자료가 될 수 있다. 위당문고본에 해당하는 시집을 현전 이본과 대비한 결과, 위당문고 <여유당집>은 선행본이자 신조선사에서 간행된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의 직접적인 저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당문고 『담헌서』는 완질로 전하는 필사본으로, 담헌 저작을 망라한 신조선사본 『담헌서』의 간행 직전에 만들어진 책이다. 위당문고 <담헌서>에는 연필로 오자를 수정한 흔적과 빨간색 펜으로 쓴 분권 표시가 남아있는데, 이는 모두 신조선사본 <담헌서>와 관계가 있다. 위당문고 <담헌서>는 위당이 참여했던 담헌 저작의 편집 방향을 보여주는 책이자 후대본 계열의 완질 필사본으로, 담헌 연구는 물론 전서본(全書本) <담헌서>의 교감이나 정본 구축에 있어서도 우선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자료이다. 위당이 구상한 조선 후기 학술사의 구도는 신조선사 간행본에 나타나 있고, 신조선사 간행본의 성립 과정에는 위당문고 소장 필사본들이 활용되었다. 위당의 학술 활동에 대한 정밀한 탐색, 언급된 문집들의 선본 확정을 위해서는 위당문고의 본 필사본 자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Yonsei University’s Widangmungo(爲堂文庫) is the library set up by the donation of Sir Widang(爲堂) Jeong In-bo (鄭寅普, 1893∼1950). It includes literature on Widangs’ research activities for Gukhak(國學) and collections of works written by people around Widang. In particular, the works issued by Widang in Sinjoseonsa(新朝鮮社) are all kept in Widangmungo.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introduce four kinds of books here, <Yeoyudangjip(與猶堂集)>, <Magwahoetong(麻科會通)>, <Damheonseo(湛軒書)>, and 『Yeoamyugo(旅菴遺稿)』,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these books compared to the ones issued by Sinjoseonsa. The composition of academic history in the late Chosun period, conceived by Widang, is shown in the books of Sinjoseonsa. However, in establishing the Sinjoseonsa books, they used the books kept in Widangmungo. This allows us to assume the direction of the compilation of the Sinjoseonsa books. In the future, if we intend to conduct a meticulous exploration of Widangs’ academic activities or determine the seonbon(善本) of <Yeoyudangjip>, <Magwahoetong>, <Damheonseo>, or <Yeoamyugo>, we may have to focus on the manuscripts kept in Widangmungo.

      • KCI등재

        20세기 초에 편찬된 한국 한시 선집의 여러 양상

        임미정 ( Lim Mijung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3 No.-

        이 연구는 20세기 초에 만들어진 한국 한시 선집의 현황과 실상을 파악하는 목적에서, 조사 가능한 자료들을 살피고 각 시선집의 구성과 내용을 소개한 것이다. 먼저 34종의 한국 한시 선집 목록을 만들었고, 이 자료들의 출간 배경, 편찬 방향과 내용을 검토하여, 이 시기 한국 한시 선집이 보여주는 몇 가지 방향성에 대해 논해보았다. 20세기 초 한국 한시 선집의 대표적 성과는 『海東詩選』(1917)과 『大東詩選』(1918)류의 역대 한국 한시를 총정리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幷世集』(1910), 『朝鮮近代名家詩抄』(1926)와 같은 19세기 작가를 중심으로 엮은 선집도 등장하여 근대 작가의 시를 정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한편 여성의 한시만을 수록한 선집도 단독으로 간행되었고, 특정 지역 출신 인물의 시만을 소개한 시선집 등도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여전히 기존의 시선집을 토대로 재편집한다든지, 근대 작가를 포함하지 않은 18세기까지의 한시만을 대상으로 한 시선집도 제작되면서 여러 모습의 시선집이 혼재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20세기 초에 간행된 한국 한시 선집들은 제대로 조명받지 못했을 뿐 아니라, 주로 한시 작가 연구의 보조 자료로 활용된 면이 있다. 이 글에서는 한시 향유층의 확대와 근대식 출판 환경의 성장에 기댄 한국 한시 선집의 간행 실상에 주목하여 한국 한시를 정리했던 일련의 작업들을 있는 그대로 소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observes Sino-Korean poetry anthologies of Korea create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nd introduces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each anthology. A list was made of over thirty kinds of Sino-Korean poetry anthologies of Korea and discussions were conducted of various directionalities shown in the Sino-Korean poetry anthologies of Korea during this time period. Sino-Korean poetry anthologies of Korea from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re mainly books that organize Sino-Korean poetry of successive generations focusing on writers of the nineteenth century. Also, sole publications were made of anthologies that only contained Sino-Korean poetry of female writers and verse reference books along with poetry anthologies that introduced only poetry of people from specific areas also appeared. However, even during this period, existing poetry anthologies were reorganized and poetry anthologies were made including only writers from until the eighteenth century, showing that there were blends of various forms. Sino-Korean poetry anthologies of Korea publishe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ave mainly been used as supplementary material for research on Sino-Korean poetry writers of the nineteenth century. This article focuses on expansions of Sino-Korean readers and the publication realities and actual aspects of Sino-Korean poetry anthologies of Korea that base themselves upon modern publication environments to introduce Sino-Korean poetry in the forms of when they were last organized.

      • KCI등재

        유아 숲놀이성이 인성 및 또래 유능성 미치는 영향

        임미정(Lim, Mijung),박한숙(Park, Hansook),김소향(Kim, So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6

        본 연구는 유아 숲놀이성이 인성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유아의 인성 능력과 또래 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숲놀이성이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14곳과 어린이집 27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만 3세∼5세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2017년 12월 2주∼2017년 12월 4주까지 총 41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2018년 1월 1주∼2018년 1월 4주까지 총 403부(98%) 회수 되었다. 유아의 숲놀이성, 인성, 또래 유능성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일원분산분석,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숲놀이성은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변인 중에서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이 인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 숲놀이성은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변인 중에서 사회적 자발성과 인지적 자발성이 인성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 숲놀이성이 성장기 유아들에게 중요한 활동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인성과 또래 유능성 향상을 개발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ffects of the playfulness on character and peer competency among preschoolers aged between 3 and 5.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of the forest playfulness, character and peer competency of the preschoolers, the variables were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As to the correlation of the subvariables, the subvariabl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s well.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forest playfulness of the preschoolers on character, their forest playfulness exerted a 47% influence on charact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forest playfulness of the preschoolers on peer competency, their forest playfulness exerted a 54% influence on peer competency. The forest playfulness of the preschoolers also was effective at improving character and peer competency. Therefore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forest playfulness can widely be utiliz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one of activities that are important for preschoolers in the growth period.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이본(異本) 연구(硏究)

        임미정(Lim, Mijung)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2 No.-

        이 논문은 교산(蛟山) 허균(許筠)의 문집(文集)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의 이본(異本)을 살펴보고, 각 이본의 특징과 이본 상호 간의 관계를 정리하여 선본(善本)을 탐색한 것이다. 『성소부부고』의 이본 문제는 이미 선행 연구에서 검토된 바 있다. 다만 지금까지 선본으로 알려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실물 확인 결과, 두 필사본의 합본(合本)인 데다가 두 필사본의 저본 마저 다른 상황이어서 본고는 『성소부부고』의 이본 문제를 처음부터 재검토하게 되었다. 현전하는 『성소부부고』 이본들의 내용과 형태를 자세히 살펴보고 이본의 계 열 정리를 시도한 결과, 허균이 기획하고 편찬했던 『성소부부고』의 원래 모습은 여러 계열 중 ‘국중본A’ 계열로 추정된다. 다만 ‘국중본A’ 계열은 모두 결본(缺本)이어서, 단일본 한 종만을 선본으로 확정할 수 없다. 동일 계열의 이본을 교합・교감하는 정본(定本) 편찬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성소부부고』에 소재한 문헌을 인용할 경우에는 현 이본 상황을 인지하여 본문에서 소개한 여러 이본들을 찾아보면서 인용 문헌의 정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Ebon (same contents but slightly different version) of 『Seongsobubugo』, a collection of literature on Gyosan Heo Gyun, and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b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bon to seek the Seonbon (a rare and good book). The issue of the Ebon of 『Seongsobubugo』 has already been reviewed in earlier studies. However, the book kept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at has been regarded as the Seonbon to this time is the combined version of two books, and the genuine book of each copied version was different. Therefore, this article is a review of the issue of the Ebon of 『Seongsobubugo』 from the beginning.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ontents and types of existing Ebons and attempting to rearrange the lines of the Ebons, the original appearance of 『Seongsobubugo』devised and compiled by Heo Gyun is presumed to be the ‘Gukjungbon A’ line from a number of lines. However, the ‘Gukjungbon A’ line is all missed books that only a type of single book would not be finalized as the Seonbon. The compilation work on a genuine book to collate and combine the same line of Ebon has to happen first, and researchers of Heo Gyun must perceive the Ebon situation of 『Seongsobubugo』 to find a number of Ebons introduced in the context to upgrade the accuracy of the quoted bibliographies.

      • KCI등재

        『학산초담(鶴山樵談)』 재고찰 : 이본의 계열과 선본 문제에 대하여

        임미정(LIM, Mi-Ju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6 No.-

        허균(許筠, 1569~1618)이 1593년에 집필한 『학산초담』은 조선 중기 시단(詩壇)의 동향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시화(詩話) 자료이다. 이 『학산초담』은 허균의 저작으로 일찍이 알려졌고, 책의 내용과 성격에 대한 분석도 이미 제출되었다. 그러나 보다 많은 시화 자료가 발굴된 현시점에서 『학산초담』의 성격과 위상은 재론될 필요가 있으며, 텍스트 분석에 앞선 문헌 검토도 요청된다. 이 글은 현전하는 『학산초담』의 여러 이본들을 재확인하면서 계열 정리를 시도하고, 이를 통해 각 이본의 위치와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산초담』은 오랜 기간 허균이 편집했던 원본(原本) 계열의 이본만이 존재하다가, 김려(金鑢, 1766~1821)가 『학산초담』의 오자를 수정하고 주석을 붙여 『한고관외사(寒臯觀外史)』에 수록하면서, 원본과는 다른 편집본이 등장하게 되었다. 김려의 편집본을 포함한 후대본 계열은 모두 3종이다. 하버드대 소장 『한고관외사』에 수록된 『학산초담』을 장서각 소장 『한고관외사』 가 그대로 필사하였고, 이 장서각본을 토대로 영남대학교 소장 『패림(稗林)』에 있는 『학산초담』 이 만들어졌다. 3종 이본을 대비한 결과, 하버드대 소장 『한고관외사』가 선행본이자 완성도 높은 선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김려의 작업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원본 계열의 이본도 살펴보았다. 원본 계열의 이본은 성균관대 소장 『청구패설(靑丘稗說)』에 수록된 『학산초담』, 장서각 소장 『청강소설(淸江小說)』에 묶인 『학산초담』과 규장각에 소장된 『학산초담초(鶴山樵談抄)』 3종을 확인하였다. 이 3종의 이본을 대비하여, 『청강소설』합본이 가장 완성도가 높은 이본이자 원본에 가까운 모습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앞으로의 『학산초담』 연구는 원본 계열의 이본 중에서 장서각 소장 『청강소설』에 수록된 『학산초담』을 기준으로 하되, 김려가 오자를 수정하고 주석을 붙였던 하버드대 소장 『한고관외사』의 『학산초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the excavation and introduction of the 『Haksanchodam』 and rearrange and redefine the existing Ebon of the 『Haksanchodam』. With 『Haksanchodam』 existing only of its Ebon of the original version line, Kim Ryeo worked on the comments on 『Haksanchodam』 and refined its writings, and then list the same on 『Hangogwanoisa』 to make two lines of Ebon. The later version line that had the edited version of Kim Ryeo as the base version for a total of 3 types, and through contrasting these 3 types of 『Hangogwanoisa』 that is the original version and earlier version that is kept by Harvard University would be the most complete Ebon. In the meantime, the Ebon of the earlier version and original version line without reflecting the later works of edited version at all is confirmed of 3 types now. As a result of contrasting these Ebons, the combined version of 『CheongangSoseol』 kept in Jangseogak is presumed to be the Ebon with the highest level of completion as well as the closest one to the original version. Studies on 『Haksanchodam』 in the future would be based on 『Haksanchodam』 that is listed on 『CheongangSoseol』, and it would be prudent to actively facilitate 『Hangogwanoisa』 that Kim Ryeo corrected type-error and supplemented the comments which is kept in Harvard University.

      • KCI등재

        『국조시산(國朝詩刪)』의 두 계열에 대하여

        임미정 ( Mi Jung L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4 No.-

        이 논문은 허균의 한시 선집인 .國朝詩刪.에 대한 문헌적 검토로, 현전 이본을 조사하고 계열화 하여 .國朝詩刪.의 선본을 확인하고 앞 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한 것이다. 그동안 .國朝詩刪.에 대한 연구는 주로 목판본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목판본은 허균의 ‘원본’을 목판 간행자인 박태순이 재편집한 결과물이다. 따라서 허균의 .國朝詩 刪.을 바르게 읽어내기 위해서는 원본의 모습을 재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실본 조사에 앞서 우선 허균이 남긴 .國朝詩 刪.과 관련된 기록들을 살펴서 ‘원본’의 모습을 알아보았다. 허균의 기 록을 근거로 하여 국내외 기관과 대학도서관 등에 흩어져있는 .國朝詩 刪.을 발굴, 검토하여 원본의 모습을 보여주는 이본들과 그렇지 않은 이본들을 ‘원본 계열’과 ‘목판본 계열’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허균의 .國朝詩刪.’ 연구는 원본 계열을 중심으로 재논의 되어야 하며, 특히 현재 완질로 전해지는 원본 계열 동국대본에 주목할 것을 제안하 였다. 한편, 지금까지 .國朝詩刪.과 관련된 연구 성과들이 목판본으로 진행된 것임을 감안하여 목판본과 원본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도 정리해보았다. 이제 목판본 계열은 허균과 관련된 연구보다는 .國朝詩刪.의 유전과 목판 간행의 의의, 후인의 전대 문헌 가공에 대한 주제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Gukjosisan(國朝詩刪)』was an anthology of Korean poems, complied by Gyosan Heo Gyun. He selected poems of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commented on them. This anthology of Korean poems received a lot of praise from writers of that time as the best selection in anthologies of Korean poems of Joseon Dynasty. However, since Heo Gyun was killed for treason, it was not able to be published for a long time. Instead, it was secretly spread in transcription. 88 years after the compilation by Heo Gyun, it was published on wood block by Donggye Park Tae-Soon. However, the problem was that the block book of 『Gukjosisan』was not the original anthology that Heo-Gyun compiled, but re-edited version of its publisher. Therefore, a study on 『Gukjosisan』 should have started from literature arrangement. However, existing studies were conducted with the block book because ``the original compilation`` by Heo Gyun was not found. However, I found some transcripts of the original 『Gukjosisan』 and found out that the original anthology was very different from the block book. As the groundwork for the study on 『Gukjosisan』by Heo Gyun, this study had a goal of searching for the best version of『Gukjosisan』by examining 『Gukjosisan』 in domestic and overseas institutes and college libraries. ``The original version`` was understood by reviewing records about 『Gukjosisan』 complied by Heo Gyun, and based on the records by Heo Gyun, a lot of 『Gukjosisan』 were studied and separated in copies of different version showing the original version and those of different version not showing it. In this process, I suggested carefully examining ``Yidaebon(利大本)`` that Heo Gyun possessed and a complete set of ``Donggukdaebon(東國大本)``. Moreover, problems of the block book of 『Gukjosisan』 which was addressed importantly in existing studies were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ranscripts of the original version. Since the block book was a lot different from the original anthology complied by Heo Gyun, it would be better for the block book to be used in a study on spread of 『Gukjosisan』rather than a study on ``Heo Gyun``.

      • 도가 철학을 통한 몸의 주체성 회복

        임미정(Mi Jeong L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24 철학과 문화 Vol.50 No.-

        본 연구는 장자 철학이 ‘억압에 대한 해방’이라는 현대적 맥락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노자와 장자 철학에서 찾을 수 있는 몸에 대한 함의를 찾으며 해석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도가 철학은 특유의 은유법과 생명에 대한 가치 평가로 친여성적인 함의를 담고 있으며, 페미니즘적 담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해석되곤 했다. 그러나 노자 철학 속 여성은 전통 사회의 틀 안에서 규정된 역할과 책임을 수행하며 선택권을 제한받는다는 점에서 페미니즘 관점에서의 해석과는 상충된다. 그래서 현대에 만연한 몸에 대한 상대적 기준을 해체하고 현상에 대한 비판적인 맥락을 이끌기 위해서 장자 철학에 주목했다. 장자 철학은 상대적 기준에 대한 탈피, 몸의 외적 형상에 대한 집착을 다루기 때문에 현대 몸의 억압 문제와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다. 이렇듯 장자 철학은 현대적 맥락에서 몸을 가변적인 형태로 이해하고, 몸의 아름다움 역시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내용으로 다시금 읽을 수 있다. 따라서 장자 철학은 몸의 억압과 아름다움의 억압에 대한 해방의 담론으로 작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philosophy of Chuang-Tzu can be utilized in a contemporary context of 'liberation from oppression'. To this end, it makes a study how the implicatiions for the body can be interpreted, esaming the philosophy of Lao-Tzu and Cuang-Tzu. Taoist philosophy has been interpreted as pro-feminine due to its unique metaphors and valuation of life, which can lead to feminist discourse. However, Lao-Tzu's philosophy is at odds with feminist interpretations in that women in Lao-Tzu's philosophy are restricted in their subjectivity, fulfilling prescrib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within the framework of traditional society. Therefore, we turned to the philosophy of Chuang-Tzu to deconstruct the relative standards of the body that are prevalent in modern times and to provide a critical context for the phenomenon. The philosophy of Chuang-Tzu can be thought of in relation to the contemporary issue of body oppression because it deals with the deconstruction of relative standards and the obsession with the external shape of the body. In this way, the philosophy of Chuang-Tzu can be re-read in a contemporary context as a way to understand the body as a variable form, and that beauty is not fixed. Therefore, Chuang-Tzu's philosophy can serve as a liberating discourse of the oppression of the body and the oppression of beauty.

      • KCI등재

        허균(許筠) 편저(編著)의 현황(現況)과 과제(課題)

        임미정(林美貞) ( Lim Mi-j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이 논문은 현재확인 가능한 허균 편저의 총목록을 조사하고 밝혀서, 허균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정리를 시도한 것이다. 먼저 연구의 기본이 되는 허균의 시문 창작 활동 결과물과 허균이 다른 사람의 글을 재편하고 선별한 저작을 정리하였다. 여기에는 이미 알려진 책들도 있지만 본고에서 처음 존재를 밝힌 자료들도 있다. 목록 정리와 더불어 각 저작의 내용이나 특징, 연구 현황과 과제까지 간략하게 밝혀보았다. 허균의 편저 중에는 허균이 저술했다는 기록만 있고 실본이 확인되지 않은 일실본이 많다. 일실본의 제명만으로도 허균 저작 활동의 범위와 내용을 짐작할 수 있기 때문에 일실본도 포함하였고, 공무의 일환으로 편찬한 책들이나 허균이 편집하고 관여했던 개인 문집까지 정리하였다. 허균 편저의 현황 검토는 문헌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점검, 앞으로의 연구 방향과 과제를 살피는 목적에서 시도된 것이다. 허균이 집필하고 참여했던 여러 성격의 문헌들을 살핀 결과, 새롭게 발굴되어 조명이 필요하거나 이본 정리가 시급한 저작이 다수 확인되었다. 그리고 단일 문헌이 아닌 허균 저작 전반을 관통하는 주제 연구의 가능성도 찾을 수 있었다. This thesis generally examines the works of Heo Gyun and presents tasks remaining from the literary research of Heo Gyun. First, a list was created including all the works written by Heo Gyun along with books written by others that Heo Gyun reedited and selected. While this included books that are already known, there is some material that has been revealed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is thesis. Until now, research on Heo Gyun has been conducted with a focus on anthologies. The total list of Heo Gyun’s works as organized by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rehensively shows the writing activities of Heo Gyun. Next, proposals were made regarding tasks remaining from the research of Heo Gyun in addition to literary issues. Until now, there have not been any studies on the status of Heo Gyun’s written history or his historical views. It is now time for analysis results to come out, including those on Heo Gyun’s historical writings that were made while interest was given to 『Haedongyaeon Byeoljip』, a historical book by Heo Gyun discovered by the writer. Also, research must be conducted on critical language that Heo Gyun attached to several anthologies of poetry. Heo Gyun is known as a Chinese poem critic who had great discernment. His Chinese poem review methods constructed an independent domain in Chosu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books he encountered. Heo Gyun’s Chinese poem review contents and his review methods have important positions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The Chinese poetry reviews of Heo Gyun were mainly made from directions of critical views or analyses of one or two kinds of writings. This article makes introductions including that of Heo Gyun’s review work and suggests that attention be given to his review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