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희연(Hee-Yeon Yi),변혜원(Hye-Weon Byun),강수경(Su-Kyong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기질 요인 중 부정적 정서성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 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대해 양육 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여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의 부모 450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부터 8월까지이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효 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양육 효능감을 매개로 유아의 문제행동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어머니의 기질적 특성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더라도,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노력을 통해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입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negative affectivity and internalization problem of preschool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0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Seoul and Kyonggi - 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ent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mothers’ negative affectivity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ther’s negative affectivity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internalizing problems of the preschool children, but it can alleviate all of the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s through the parenting efficac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mother s temperament negatively influences the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but the intervention plan should be sought because the problem behavior can be prevented through efforts to improve parenting efficacy.

      • KCI등재

        청소년의 성별과 우울증상 간 관계에서 인지요인의 매개효과

        이희연(Hee Yeon Yi),하은혜(Eun Hye Ha)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5 아시아여성연구 Vol.54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우울증상과 우울관련 인지요인의 성차를 검증하고, 청소년 우울증상의 성차에 대한 인지요인 영향을 규명하였다. 서울, 경기지역의 4개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968명(남 440명, 여 52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여학생의 우울증상 점수와 사회지향성, 반추 반응양식, 공동반추 점수가 더 높았다. 둘째, 우울증상과 인지요인 간 상관관계에서 남녀 모두는 우울증상과 사회지향성, 자율지향성, 반추반응양식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우울증상과 공동반추의 상관관계에서 여학생은 낮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남학생의 경우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여학생의 사회지향성, 자율지향성, 반추 반응양식 점수가 높을수록, 그리고, 남학생의 경우 자율지향성, 반추반응양식이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공동반추의 경우 예측과 달리 남녀 모두에서 우울증상에 대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과 청소년 우울증상 간 인지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지향성과 반추 반응양식이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사회지향성과 반추 반응양식이 여자 청소년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depressive symptoms. The participants were 968 senior high school students(female 528, male 440).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first, female adolescents’ depressive symptom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of male adolescents. Second, female adolescents exhibited a higher level of sociotropy, ruminative response style, and co-rumination. Third,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ociotropy predicted increases in depressive symptoms in female adolescents and autonomy and ruminative response style predicted in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Fourth, sociotropy and ruminative response styl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depressive symptoms.

      • KCI등재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희연(Yi Hee Yeon),김경숙(Kim Gyoung Suk),이미나(Lee Mi 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유아 어머니 457명이며, 구조모형의 검증을 통해 변인 간 관계의 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스트레스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영향에서 우울증상의 직접적인 영향 보다, 우울로 인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자녀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어머니의 우울증상 예방과 완화를 위한 개입, 그리고 양육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사회적 지지체계의 지원을 통해 건강한 부모 양육태도를 갖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parenting style of mother s depress sympto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nd discussed. First, the effect of mother s depression symptoms on the parenting style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effect of maternal depression symptoms on parenting style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str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pressive symptoms of mothers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stress, rather than directly on the parenting style. This suggests that mothers relief of parenting stress minimizes the impact on parenting style and requires intervention for mother s psychological health.

      • KCI등재

        성인 공감 척도(BES-A) 요인 타당화 연구

        이희연(Hee-Yeon Yi),조혜영(Hye-Young Jo),정미라(Mi-Ra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신경심리학적 관점을 반영하여 개발된 성인용 공감 척도(BES-A) 구성요인을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7년 4월에서 5월까지 서울, 경기, 인천, 충청권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 195명을 대상으로 요인구조를 탐색 하였고, 215명을 대상으로 원척도(BES-A)에서 제시한 요인구조가 국내에서도 적합한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그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대인관계 반응지수(IRI)와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분석 결과, 원척도와 동일한 3요인 구조(정서적 전염, 인지적 공감, 정서적 분리)의 16문항으로 구성되어 하위요인의 명칭도 동일하게 명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원척도에서 제시한 요인구조가 한국인을 대상으로 적용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 는 함의 및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consisting factor of the Basic Empathy Scale in Adults (BES-A), in Korean college students. BES-A is a tool that has been used to assess empathy in young people and adolescents on the basis of bi-factor structure (i.e., an affective and a cognitive component). However, recent study have revised BES-A as being underpinned by a 3-factor structure of emotional contagion, emotional disconnection, and cognitive empathy. A sample of 410 college students took part in the stud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ree-factors verified that BES-A has the same factorial structure as in the original version. In conclusion, BES-A is a valid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empathy in samples of young Korean people, which in turn can be utilized in cross-cultural studies of this important psychological construc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복지학 전공자의 코로나19 이후 불안통제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우관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희연(HeeYeon Yi),조혜영(HyeYoung J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9

        본 연구는 아동복지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불안통제감이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교우관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S대학교 아동복지학 전공자 13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SPSS 25.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측정모형과 구조방정식으로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95% 신뢰구간에서 양측검증 부트스트랩핑으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를 보면, 첫째, 전공만족도와 하위요인인 교과과정, 진로방향, 사회적인식은 불안통제감과 하위요인인 위협통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불안통제감 하위요인인 감정통제와 통제무력감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공만족도는 교우관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불안통제감이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진 않지만, 교우관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완전 매개하고 있었다. 또한,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불안통제감과 교우관계를 이중 매개하여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코로나19 이후에도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교우관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재확인된 것이다. 이에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한 체계적인 지원을 통해 교우관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riendship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in the process of anxiety control after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on major satisfaction among child welfare majors.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135 child welfare majors at the S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SPSS25.0 and AMOS 23.0 software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The measurement model was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The mediation effect was analyzed by bootstrapping with a two-sided test at the 95% confidence interv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jor satisfaction and its subfactors curriculum, career direction, and social aware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nxiety control and its subfactor threat control, but not with anxiety control and its subfactors emotion control and helplessness control. Friendship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ajor satisfaction. Second, anxiety control had no direc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and friendship, while faculty-student interaction had a direc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In addition, faculty-student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dual mediating effect of anxiety control and friendship on majo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affirmed the importance of friendship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as important factors affecting major satisfaction, even post-COVID-19. Therefore, we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encourage friendship and faculty-student interaction through systematic support using non-subject educational programs.

      • KCI등재

        국내 치위생(학)과 개설 현황 및 치과위생사의 활동 실태

        양송이 ( Song-yi Yang ),유수민 ( Soo-min You ),이희연 ( Hee-yeon Lee ),임소현 ( So Hyeon Lim ),채주영 ( Joo-young Chae ),황선혜 ( Seon-hye Hwang ),오상환 ( Sang-hwan Oh ) 한국치위생학회 2021 한국치위생학회지 Vol.21 No.6

        Objectives: Dental hygienists are an essential human resource in dental service organizations. However, there are several important persisting problems faced by them, that need to be sol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in dental hygiene education institutions, number of active dental hygienists, and employment distribution across South Korea. Methods: The study gathered statistics of dental hygiene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atio of active dental hygienists and the number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across South Korea from officially reviewed websites. Results: Daegu and Gyeongbuk regions house the most number of colleges with dental hygiene programs. The Daejeon and Chungnam regions had the most universities with dental hygiene programs. The activity ratio of dental hygienists decreased every year. Dental hygienists’ employment was highly focused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Conclusions: The survey data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dental hygienist education to cope with the shortage of active dental hygienists and regional imbalances. This could prove useful to consider the employment of dental hygienists appropriately.

      • KCI등재

        협의 이혼 과정에서 비 양육 부모의 부모역할 수행에 관한 인식 실태조사 연구

        강은숙 ( Eun Sook Kang ),이희연 ( Hee Yeon Yi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1

        본 조사는 법원에서 협의 이혼 대기 중인 부모 중, 이혼 후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지 않기로 한 비 양육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의 목적은 이혼과정에서 비 양육부모의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실태를 파악하여 이혼 후에도 부모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비 양육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지 않기로 결정한 가장 큰 이유는 자녀가 상대 양육부모를 더 잘 따르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둘째, 비 양육 부모의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이 자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자녀가 어릴수록 부모의 이혼에 대해 의논하는 경험, 이혼 결정을 알린 경험, 면접교섭 유형에 대해 상의한 경험이 적게 나타났다.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parent`s role performance perceived by non-custodial parents during the consensual divorce process. It was performed to get the basic data for helping parents to have effect parent`s role performance for their children. The people in this article were 99 non-custodial parents who attended the meeting for consensual divorce at Seoul Family Court. First, the study showed that the most critical factor of non-custodial parent`s decision of non-custody is the “children`s preference of living with their spouse”. Second, it was found out that the older the children are, the more often the parents take into account the children`s opinion on their decision of divorce and discuss on the type and method of interview with their children.

      • KCI등재

        아동복지학 전공자의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동기, 중도탈락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HyeYoung Jo),이희연(HeeYeon Yi)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0

        본 연구는 아동복지학 전공자의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동기, 중도탈락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대학교 아동복지학 전공자 13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SPSS 25.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95% 신뢰구간 양측검정에서 부트스트랩(bootstrap)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중도탈락의도를 중심으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하위요인인 문제해결, 진로계획, 목표설정, 정보수집, 자기평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동기와 하위요인인 진로정체감, 진로통찰력, 진로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측정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조모형을 확인한 결과,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진로동기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동기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가 중도탈락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진 않지만, ‘코로나19 이후 스트레스진로결정 자기효능감진로동기중도탈락의도’의 경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동기의 완전 매개효과임이 밝혀진 결과로 중도탈락의도를 상쇄하기 위해 이들 변인이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ost-COVID-19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motivation, and school drop-out intention among child welfare majors.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137 child welfare majors at S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The bootstrap estimation method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two-sided test was used to determine significanc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lations between variables centered on school drop-out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t-COVID-19 stress. Also,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ub-factors of problem-solving, career planning, goal setting, information gathering, and self-evaluation, and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the sub-factors, career identity, career insight, and career resilience.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was identified as a suitable model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structural model, the effect of post-COVID-19 stres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while its effects on career motivation and school drop-out intention were not. In addi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motivation but not school drop-out intention and the effect of career motivation on school drop-out intention was significant. Third, although post-COVID-19 stress was not found to affect school drop-out intention directly, it indirectly affected drop-out intention through the path post-COVID-19 stres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areer motivationschool drop-out inten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otivation and confirms that these variables are important factors of school drop-out intention.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 준비성과 평가적 자기존중, 비판적 사고와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HyeYoung Jo),이희연(HeeYeon Yi),박현옥(HyunOk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 준비성과 평가적 자기존중, 비판적 사고와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권역 LiFE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A대학의 성인학습자와 유사학과가 있는 수도권 B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 27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SPSS 18.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창의성을 중심으로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보면, 자기주도 학습 준비성의 하위변인인 자기관리, 학습열의, 자기조절과 평가적 자기존중, 비판적 사고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 학습 준비성은 ‘비판적 사고→창의성’의 경로와 ‘평가적 자기존중→비판적 사고→창의성’의 경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주도 학습 준비성이 창의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이 과정에서 평가적 자기존중이 매개하지 않지만, 비판적 사고에 영향을 주어 창의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비판적 사고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학습자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정책의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의 의의가 있으며,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ppraisal self-respect,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in adult learner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76 adult learners enrolled at University A in the Chungcheong area where the LiFE project is running, and from University B that has a similar department in a metropolitan area. To this end, analysis was done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8.0 and AMOS 2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focusing on creativit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management, with the desire for learning, and with self-control, which are sub-variables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ppraisal self-respect, and critical thinking. Second, we found that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had an effect on the following paths: ‘critical thinking → creativity’ and ‘appraisal self-respect → critical thinking → creativity’. This can be interpreted as partial mediation of critical thinking, becaus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directly affects creativity, and appraisal self-respect does not mediate this process but affects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esent basic data for educational policies that can improve creativity in adult learners, and they suggest ways to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 KCI등재

        유아의 기질과 또래 및 교사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미나(Lee, Mina),이희연(Yi, Heeyeon),김민정(Kim, Mi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ld ’ s personal and relational variables on child problem behavior.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in March, 2017, and survey was conducted in April. T he final research subjects were 80 teachers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 yeonggi area and 459 children aged 3-5.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and relation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level of extraversion and effortful control of child temperament predict low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High level of emotionality predict high level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mong the relational factors, the higher the dependency on teachers, the stronger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was. Second,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children were higher in high level of emotionality. The higher the effortful control, the less the external behavior problem behaviors were. In the relation factor, the higher the conflict with teacher relationship, more disturbance occurred in the peer play interaction, the more the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the role of teachers to redu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또래 및 교사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모집을 위하여 2017년 3월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월에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80명과 만 3~5세 학급 유아 459명이다. 자료분석은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개인적 요인인 기질 중에서는 외향성과 의도적 통제가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 행동이 더 적게 나타났으며 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관계적 요인 중에서는 유아-교사 관계에서 의존성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이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해서는 기질 중 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을 많이 보였으며 의도적 통제가 높을수록 외현 화 문제행동을 적게 보였다. 관계적 요인에서는 유아-교사 관계에서 갈등이 높을수록, 또래 놀이상호작용에서 놀이방해가 많이 일어날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을 줄이기 위한 교사 역할과 함께 유아 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