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이희연(Hee-Yeon Yi),변혜원(Hye-Weon Byun),강수경(Su-Kyong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기질 요인 중 부정적 정서성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 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대해 양육 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여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유아의 부모 450명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3월부터 8월까지이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효 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성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양육 효능감을 매개로 유아의 문제행동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어머니의 기질적 특성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더라도,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노력을 통해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입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negative affectivity and internalization problem of preschool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0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Seoul and Kyonggi - 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enting 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mothers’ negative affectivity on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ther’s negative affectivity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internalizing problems of the preschool children, but it can alleviate all of the preschoolers’ internalizing problems through the parenting efficac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mother s temperament negatively influences the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but the intervention plan should be sought because the problem behavior can be prevented through efforts to improve parenting efficacy.

      • KCI등재

        청소년의 성별과 우울증상 간 관계에서 인지요인의 매개효과

        이희연(Hee Yeon Yi),하은혜(Eun Hye Ha)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5 아시아여성연구 Vol.54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우울증상과 우울관련 인지요인의 성차를 검증하고, 청소년 우울증상의 성차에 대한 인지요인 영향을 규명하였다. 서울, 경기지역의 4개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968명(남 440명, 여 528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여학생의 우울증상 점수와 사회지향성, 반추 반응양식, 공동반추 점수가 더 높았다. 둘째, 우울증상과 인지요인 간 상관관계에서 남녀 모두는 우울증상과 사회지향성, 자율지향성, 반추반응양식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우울증상과 공동반추의 상관관계에서 여학생은 낮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남학생의 경우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여학생의 사회지향성, 자율지향성, 반추 반응양식 점수가 높을수록, 그리고, 남학생의 경우 자율지향성, 반추반응양식이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공동반추의 경우 예측과 달리 남녀 모두에서 우울증상에 대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과 청소년 우울증상 간 인지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지향성과 반추 반응양식이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사회지향성과 반추 반응양식이 여자 청소년의 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depressive symptoms. The participants were 968 senior high school students(female 528, male 440).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first, female adolescents’ depressive symptom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of male adolescents. Second, female adolescents exhibited a higher level of sociotropy, ruminative response style, and co-rumination. Third,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ociotropy predicted increases in depressive symptoms in female adolescents and autonomy and ruminative response style predicted in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Fourth, sociotropy and ruminative response styl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depressive symptoms.

      • KCI등재

        성인 공감 척도(BES-A) 요인 타당화 연구

        이희연(Hee-Yeon Yi),조혜영(Hye-Young Jo),정미라(Mi-Ra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신경심리학적 관점을 반영하여 개발된 성인용 공감 척도(BES-A) 구성요인을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7년 4월에서 5월까지 서울, 경기, 인천, 충청권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 195명을 대상으로 요인구조를 탐색 하였고, 215명을 대상으로 원척도(BES-A)에서 제시한 요인구조가 국내에서도 적합한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그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대인관계 반응지수(IRI)와의 상관관계 분석으로 준거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분석 결과, 원척도와 동일한 3요인 구조(정서적 전염, 인지적 공감, 정서적 분리)의 16문항으로 구성되어 하위요인의 명칭도 동일하게 명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원척도에서 제시한 요인구조가 한국인을 대상으로 적용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아울러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 는 함의 및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consisting factor of the Basic Empathy Scale in Adults (BES-A), in Korean college students. BES-A is a tool that has been used to assess empathy in young people and adolescents on the basis of bi-factor structure (i.e., an affective and a cognitive component). However, recent study have revised BES-A as being underpinned by a 3-factor structure of emotional contagion, emotional disconnection, and cognitive empathy. A sample of 410 college students took part in the stud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ree-factors verified that BES-A has the same factorial structure as in the original version. In conclusion, BES-A is a valid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empathy in samples of young Korean people, which in turn can be utilized in cross-cultural studies of this important psychological construc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이희연(Yi Hee Yeon),김경숙(Kim Gyoung Suk),이미나(Lee Mi 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유아 어머니 457명이며, 구조모형의 검증을 통해 변인 간 관계의 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스트레스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영향에서 우울증상의 직접적인 영향 보다, 우울로 인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자녀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어머니의 우울증상 예방과 완화를 위한 개입, 그리고 양육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사회적 지지체계의 지원을 통해 건강한 부모 양육태도를 갖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the parenting style of mother s depress symptom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nd discussed. First, the effect of mother s depression symptoms on the parenting style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effect of maternal depression symptoms on parenting style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str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pressive symptoms of mothers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stress, rather than directly on the parenting style. This suggests that mothers relief of parenting stress minimizes the impact on parenting style and requires intervention for mother s psychological health.

      • KCI등재

        국내 치위생(학)과 개설 현황 및 치과위생사의 활동 실태

        양송이 ( Song-yi Yang ),유수민 ( Soo-min You ),이희연 ( Hee-yeon Lee ),임소현 ( So Hyeon Lim ),채주영 ( Joo-young Chae ),황선혜 ( Seon-hye Hwang ),오상환 ( Sang-hwan Oh ) 한국치위생학회 2021 한국치위생학회지 Vol.21 No.6

        Objectives: Dental hygienists are an essential human resource in dental service organizations. However, there are several important persisting problems faced by them, that need to be sol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in dental hygiene education institutions, number of active dental hygienists, and employment distribution across South Korea. Methods: The study gathered statistics of dental hygiene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ratio of active dental hygienists and the number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across South Korea from officially reviewed websites. Results: Daegu and Gyeongbuk regions house the most number of colleges with dental hygiene programs. The Daejeon and Chungnam regions had the most universities with dental hygiene programs. The activity ratio of dental hygienists decreased every year. Dental hygienists’ employment was highly focused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Conclusions: The survey data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dental hygienist education to cope with the shortage of active dental hygienists and regional imbalances. This could prove useful to consider the employment of dental hygienists appropriately.

      • KCI등재

        협의 이혼 과정에서 비 양육 부모의 부모역할 수행에 관한 인식 실태조사 연구

        강은숙 ( Eun Sook Kang ),이희연 ( Hee Yeon Yi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0 No.1

        본 조사는 법원에서 협의 이혼 대기 중인 부모 중, 이혼 후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지 않기로 한 비 양육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의 목적은 이혼과정에서 비 양육부모의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실태를 파악하여 이혼 후에도 부모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비 양육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지 않기로 결정한 가장 큰 이유는 자녀가 상대 양육부모를 더 잘 따르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둘째, 비 양육 부모의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이 자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자녀가 어릴수록 부모의 이혼에 대해 의논하는 경험, 이혼 결정을 알린 경험, 면접교섭 유형에 대해 상의한 경험이 적게 나타났다.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parent`s role performance perceived by non-custodial parents during the consensual divorce process. It was performed to get the basic data for helping parents to have effect parent`s role performance for their children. The people in this article were 99 non-custodial parents who attended the meeting for consensual divorce at Seoul Family Court. First, the study showed that the most critical factor of non-custodial parent`s decision of non-custody is the “children`s preference of living with their spouse”. Second, it was found out that the older the children are, the more often the parents take into account the children`s opinion on their decision of divorce and discuss on the type and method of interview with their children.

      • 청소년 자녀를 둔 협의이혼 결정과정 부모의 자녀 적응에 관한 인식 실태조사 연구

        강은숙(Eun-Sook Kang),이희연(Hee-Yeon Yi) 한국한부모가정학회 2013 한국한부모가정학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녀를 둔 협의이혼 결정 과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적응에 대한 인식 실태를 파악하여 이혼 후에도 효과적인 부모-자녀 관계 증진을 도호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가정법원에서 협의이혼 신청 후 숙려기간을 거쳐 부부가 함께 이혼 의사 확인 기일에 출석하여 판사와의 면담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사람 97명이다. 조사 결과 첫째, 자녀의 심리정서 적응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내재화된 불안에 대해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가정생활 적응에서는 인터넷 및 휴대폰 사용에 지나치게 몰두하는 것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학교생활 적응에서는 자녀의 성적저하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다. 넷째, 자녀의 사회생활 적응에 대해서는 자녀가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있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신체화 증상에서는 자녀가 자주 두통과 복통을 호소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다. 이에 대한 실천적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arent's perception of their adolescent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adjustment during the parent's consensual divorce process. The aim is to get the basic data for future preparation of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 children and parents. The study participants are 97 people who attended the consensual divorce process conducted at Seoul Family Court. The study shows that the parents have more high perception on the internalizing problems than th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Second, the parents think that their adolescents children are immersed excessively in the use of internet and smartphone. Third, the parents worry a lot about their adolescent children's bad grade than peer relationship troubles. Fourth, the parents have the highest perception on their adolescent children's social withdrawal than substance-abuse. Fifth, the parents worry a lot about their adolescents children's frequent headaches and stomachaches.

      • KCI등재

        대학생 자기주도 학습역량 척도의 타당화 연구 : S대학교 재학생을 중심으로

        조혜영(Jo, Hye-Young),최미순(Choi, Mee-Soon),이희연(Yi, Hee-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자기 평정척도로 구성된 자기주도 학습 척도(SRSSDL)를 한국판으로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기주도 학습 척도(SRSSDL)는 인식능력, 학습전략, 학습활동, 평가, 대인관계 기술의 5요인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SRSSDL을 바탕으로 S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역량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화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제2캠퍼스 충청남도)에 위치한 S대학교 635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5개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원척도에서 제시한 5개 요인구조를 지지하였으나, 구성문항의 요인부하량 및 공통성이 낮은 문항은 제외하였다. 총 30문항(인식능력 7문항, 학습전략 4문항, 학습활동 5문항, 평가 5문항, 대인관계 기술 9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구성체계 타당도, 구인타당도, 수렴타당도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원척도에서 제시한 요인구조가 S대학교 재학생의 자기주도 학습역량 측정이 가능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주도 학습역량을 측정하여 학습 효율성을 검증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a Korean version of the self-rating scale of self-directed learning (SRSSDL). The self-rating scale of self-directed learning (SRSSDL) consists of five-factor structures of awareness, learning strategies, 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Based on SRSSDL, the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scale of S university student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in this study. To this end, 635 students from S University located in Jeollanam-do (Chungcheongnam-do, second campus) were examined for the suitability of the five factor structures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five-factors verified that a Korean version of SRSSDL has the same factorial structure as in the original version, but the items in low factor loading and communality were excluded. A total of 30 questions (seven questions for awareness, four questions for learning strategies, four questions for learning activities, five questions for evaluation, and nine questions for interpersonal skill) were composed, and the consisting factor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all found to be good. Thu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actor structure presented on the original scale can measure the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of S University stud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o verify the efficiency of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in online learning.

      • KCI등재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

        오한나(Han Na Oh),김종훈(Jong Hoon Kim),이희연(Hee Yeon Y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go-resilience and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9 children 3-6 years old and 82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gi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go-resilience of children and closeness i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bu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onflict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closeness i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Also,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nflict and dependency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Second, mediating effects of conflict and dependency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appea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go-resilience and behavior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nflict and dependency in teacher-child relationship may lea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s ego-resilience and behavior problems. Therefore, we discussed the prevention and solution of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rough improvement of ego-resilience, teacher-child relationship.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82명과 담당하고 있는 만 3-6세 유아 459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관계 중 친밀감은 높아지고 갈등 관계는 낮아지며 유아의 문제행동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내재화 문제행동은 낮아지며 갈등 관계와 의존 관계일수록 내재화 문제행 동과 외현화 문제행동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문제행동 간 관계에서 교사-유아 관계의 갈등과 의존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간 갈등 및 의존 관계의 매개 역할을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을 더욱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유아 자아탄력성 및 교사-유아 간 관계의 증진과 갈등 완화를 통 해 유아 문제행동의 예방 및 해결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공동양육이 유아의 가정 및 기관에서의 문제행동성향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종훈(Kim, Jong Hoon),이효림(Lee, Hyo Rim),이희연(Yi, Hee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및 교사를 대상으로 어머니가 인식하는 부모공동양육 유형이 가정 내 유아에게 어떠한 문제 행동으로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정 내에서 관찰되는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문제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으며 최종적으로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은 예비조사 후 2017년 4월에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 교사 87명과 유아 및 어머니 468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부공동양육 유형 중 비난은 가정 내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긍정적 영향, 일치는 외현화 문제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정 내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은 기관에서도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각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실에서의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은 유아의 놀이방해에 긍정적인 영향, 외현화 문제행동은 놀이방해, 놀이단절에 긍정적인 영향, 놀이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공동양육 유형 중 비난은 유아의 또래놀이 관계 중 놀이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놀이단절에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behavior problems the preschoolers according to the co-parenting’s type, the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observed at home is related with behavior problem in preschool, and effect the behavior problem have on peer play behavior. This study analyzed the response results received from 87 teachers of the preschoolers aged 3~5 in preschooler, 468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 First, among the co-parenting’s type, reproach had positive effect on the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 at home while conformity negative effect on the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Second,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at homes also effect on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Third,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classrooms a positive effect on play disturbance behavi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a positive effect on play disturbance and play disconnection but a negative effect on play interaction. Fourth, the results of sequential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showed that the reproach, among the co-parenting’s types, a negative effect on the play interaction among the preschoolers’ interactive peer play relationship but play a positive role in the preschoolers’ play disconn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se as a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o-parenting for adaptation of preschoolers to educational institutes and reduction of their behavior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