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숲 체험에서의 수학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혜경 ( Lee Hye-kyoung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3 No.-

        본 연구는 숲 체험에서의 수학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숲 체험에서의 수학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 치는가? 2) 숲 체험에서의 수학탐구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 하위요소(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K유치원에서 무선 표집한 만5세 유아 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전검사를 통해 동질성을 확인한 후 실험을 적용하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황해익, 최혜진(2007)의 ‘유아그림수학능력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실험도구로는 숲 체험에서의 수학탐구활동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숲 체험에서의 수학탐구활동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9주간 총 14회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t-test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 체험에서의 수학탐구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수학능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둘째, 숲 체험에서의 수학탐구활동은 유아수학능력의 하위요소인 수와 연산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수, 기하, 측정능력 향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숲 체험에서의 수학탐구활동은 유아의 수학능력향상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좀 더 장기적인 기간을 두고 수학능력의 요소가 적절히 배치된 숲 체험에서의 수학탐구활동프로그램을 적용해 본다면, 본 실험에서 평균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한 수와 연산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 유아의 수학능력 향상에 더욱 효과적인 수업전략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s of mathematical inquiry activity in fores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ccordingl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Which influence does mathematical inquiry activity in forest experience have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Second, Which influence does mathematical inquiry activity in forest experience have on sub-elements(algebra, number and operation, geometry, measurement) i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0 5years old children who were selected randomly at K kindergarten where is located in Siheung-si, Gyeonggi Province. Post-test was carried out by applying it to experiment after confirming homogeneity through pre-test. A test tool was used ‘Pictorial Math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by Hwang Hae-ik and Choe Hye-jin(2007). Experimental tool was used a program of mathematical inquiry activity in forest experience. The mathematical inquiry activity in forest experience was composed of totally 14 times for 9 weeks targeti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carried out t-test with SPSS 18.0 program and were verified group-based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ith execution of mathematical inquiry activity in forest experience was indica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improvement in mathematical ability. Second, the mathematical inquiry activity in forest experience was indicated to fail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number and operation, which is sub-element of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but was shown to have positive influence upon improvement in ability of algebra, geometry, measure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athematical inquiry activity in forest experience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program of being conducive to improvement in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Accordingly, given trying to apply the program of mathematical inquiry activity in forest experience, which is suitably distributed the elements of mathematical ability, with having a little longer term, a positive outcome will be obtained even in number and operation that failed to obtain statistically signifiant result even if the mean score was enhanced in this study, resulting in being more effective teaching strategy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 KCI등재

        장애아전담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작업치료 서비스 이용실태 및 만족도 조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이혜경,Lee, Hye-Kyoung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Objective : The study is to suggest basic data for the expansion and the necessity of the occupational therapy at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investigating actual use and satisfaction of parents who use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in Daegu Kyonbuk area. Methods : From May 15 to 29, 2009, 105 parents using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were surveyed. Results : Terms of age group, parents using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are mostly 30s and 40s.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there were 58% of secondary school graduates and 38.9% of college graduates. Parents with experiencing 3 years of the occupational theory had 37.1%, which held the largest group. 75% of the objects agreed that infants with disabilities received enough occupational therapy, while they pointed out that the financial burden for therapy would be the major factor in the therapy. Conclusion : In order to provide a qualified occupational therapy in accordance with each individual's purpose at the day care center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it would be necessary to expand occupational therapy, to increase the demand for the occupational therapy from parents, and to secure enough number of therapists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municipalities. 목적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장애아전담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들의 작업치료 이용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하여 장애아전담보육시설에서 작업치료 저변 확대 및 필요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한다. 연구방법 : 2009년 5월 15일부터 29일까지 장애아전담어린이집 부모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작업치료 서비스 이용실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장애아전담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의 연령층은 30, 40대가 다수였으며 교육 수준은 중졸과 고졸이 58%, 대졸이상이 38.9%였다. 작업치료 기간은 3년 이상인 경우가 37.1%로 가장 많았으며 치료 빈도는 주당 3~4회, 치료시간은 일회 20~30분이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의 세부적 프로그램으로는 감각통합치료, 사회적응훈련, 일상생활 동작훈련이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75%가 장애아동이 작업치료를 충분히 받고 있다는 견해를 보였으며 치료비용에 대한 부담이 작업치료를 받는데 있어서 가장 큰 요인이라고 지적하였다. 결론 : 장애아전담보육시설에서 아동의 개별화된 목표에 맞는 질적인 작업치료가 제공되기 위해서는 보육시설에 대한 작업치료의 저변확대, 장애아동부모의 작업치료 욕구 증가, 충분한 인원의 작업치료사 확충과 시설확보, 정부 및 지자체의 재정지원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작업치료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한 바람직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정부 및 지자체와 보육시설장, 작업치료사, 부모 모두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 대한세포병리학회 정도관리 현황 및 결과

        이혜경,김성남,강신광,강창석,윤혜경,Lee, Hye-Kyung,Kim, Sung-Nam,Khang, Shin-Kwang,Kang, Chang-Suk,Yoon, Hye-Kyoung 대한세포병리학회 2008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19 No.2

        In Korea, the quality control(QC) program forcytopathology was introduced in 1995. The program consists of a checklist for the cytolopathology departments, analysis data on all the participating institutions' QC data, including the annual data on cytologic examinations, the distribution of the gynecological cytologic diagnoses, as based on The Bethesda System 2001, and the data on cytologic-histolgical correlation of the gynecological field, and an evaluation for diagnostic accuracy. The diagnostic accuracy program has been performed 3 times per year with using gynecological, body fluid an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ic slides. We report here on the institutional QC data and the evaluation for diagnostic accuracy since 2004, and also on the new strategy for quality control and assurance in the cytologic field. The diagnostic accuracy results of both the participating institutions and the QC committee were as follows; Category 0 and A: about 94%, Category B: 4-5%, Category C: less than 2%. As a whole, the cytologic daignostic accuracy is relatively satisfactory. In 2008, on site evaluation for pathology and cytology laboratories, as based on the "Quality Assurance Program for Pathology Services" is now going on, and a new method using virtual slides or image files for determining the diagnostic accuracy will be performed in November 2008.

      • KCI등재
      • KCI등재

        셰익스피어 극의 영화각색

        이혜경(Hye-Kyoung Lee)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1 셰익스피어 비평 Vol.47 No.2

        In Kozintsev’s Hamlet (1964) and King Lear (1970) plot, characters, sounds, images, and mise-en-scene are saturated in a Slavic sensibility made up of Boris Pasternak’s translation of Shakespeare script and Dmitri Shostakovich’s orchestral score. With black and white photography, two films are shot in epic 70㎜ wide-screen Sovscope, which allows the colossal scale of action in the rhythmic interchange of solemnity and anxiety. Through recurring key imageries of fire, sea, and stones, he creates moral landscapes for his two films. More than anything else, a mass of human beings on the move achieves extraordinary power and physically tensed rhythm. Kozintsev’s Hamlet portrays the conflict-ridden tragic hero who does not find himself on the border between life and death and between sanity and insanity. His refusal to sit on the throne to become monarch as he dies suggests ironical heroism. Opening image returns in the end, yet the cyclical structure of the film bears the contradictoriness of both Hamlet and the larger historical pattern. In King Lear Kozintsev’s strategy achieves the effect which makes Shakespeare’s tragic vision grow to span generations and an entire social order. Although the world of King Lear portrays the disastrous effects of division, dissolution, and disintegration, Kozintsev sheds hopeful light on the human condition with a potential of social renewal. His ethical optimism protests against the cyclical view of life without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two films Kozintsev searches for more concrete reality and a deeper structure in order to find the inner connections between people, nature, and history itself. Whereas Kozintsev’s Hamlet conveys the tragic vision which suggests the tragic hero’s noble spirit sealed in history, the narrative of King Lear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tracing of the historical process.

      • KCI등재

        코로나19 관련 언론의 일상 전달과 법적 프레임

        이혜경(Lee, Hye-Kyoung),송영현(Song, Young-Hyun) 한국법학회 2021 법학연구 Vol.84 No.-

        대유행으로 전개된 “코로나19”가 처음 등장한 지 두 해다. 대륙을 막론하고 암울과 고통의 분위기가 가득한 가운데 적지 않은 사람들이 목숨과 건강을 잃었다. 사람들은 이동의 자유를 제한받았고, 집회의 자유에 대한 포기를 종용받았으며, 코로나19와 함께 한다는 ‘단계적 일상 회복’의 수준에 맞추어 생활해야 한다. 그럼에도 코로나19의 종식에 대한 바람은 점점 현실이 되어 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 하나의 사례가 바로 예방을 위한 백신의 개발과 접종이다. 이 연구는 언론 속에 등장하고 있는 일상의 모습을 법적인 틀에서 대비시켜 이 같은 상황을 살피고자 한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이후에 맞이할 사회적 변화의 대응에 법의 역할을 찾아본다면 또 다른 의미를 더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지는 새로운 질병의 등장은 그에 대한 인류의 대응에 큰 변화를 불러왔다. 이를테면 코로나 19를 이겨내기 위한 해법 마련에도 치료하고 관리하는 것에 더해 사회적인 과제도 포함시키는데, 많은 신문들이 사설과 기사, 칼럼 등에서 이를 다루고 있다. 2년여나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코로나 불평등’이라는 신조어를 탄생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계층 간의 기회 불평등은 물론 집단 간 불평등 격차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하는 것도 그 예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불평등’이야말로 법의 중요한 관심사라 아니 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이와 관련한 법의 역할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에 대한 문제도 분명 새로운 전환기에 맞닥뜨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령 언론을 통해 많이 보도됐듯이 코로나19 확산 과정에서 경증 환자와 중증 환자를 구분해 치료하고, 이와 별도로 선별진료소에서의 드라이브 스루, 워킹 스루 등의 새로운 검사 방법을 통해 잠재적 환자와 전문 의료진 사이에 거리를 두게 한 것 등의 사례를 법의 틀에서 해석해 보는 것도 그러한 시각의 한 전제가 될 것이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법에로의 수렴도 마찬가지이다. 한편으로는 집합금지명령이 감염병의 급속한 확산을 막기 위한 적극적 예방조치로, 그 근거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9조 제1항 제2호를 들고는 있으나 그렇다고 코로나19라는 현실적 상황에 빗대어 헌법적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는 것은 아니라는 견해도 짚어봐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일상의 회복이라는 관점에서 법의 프레임을 구성해 봄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즉 예방의 차원에서는 법의 목적이나 본성을 대입해 인권과 정의 같은 법의 사상적 내면을 끌어들여 사회적 필요성을 강조하고, 극복의 차원에서는 무엇이 법을 만드는지 법의 책무나 근거 같은 법의 경험적 외면을 실제 집행 가능한 정책적 방안으로 도구화하는 것이다. 이것이 코로나19 팬데믹 같은 사회적 재난에 대응하는 법의 효력을 확보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은 어느 한 나라만의 힘으로는 이겨내기 어렵다는 걸 잘 보여준다. 그렇기에 나라들끼리의 연대를 통한 정보 공유와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는 해결 방안의 모색이 절실히 필요하다. 언론은 이에 대한 의견을 전달하고 수렴해 주는 사회적 소통 장치라 하겠다. 법 또한 그러한 흐름 속에서 제 역할을 찾아내고 있다. “COVID-19” has been going through a pandemic for two years since its first appearance. Regardless of the continent, in the midst of an atmosphere of darkness and suffering, not a few people lost their lives and health. People have been restricted in their freedom of movement, have been forced to give up their freedom of assembly, and have to live according to the ‘living with coronavirus.’ Nevertheless, many people are expecting to see the end of the COVID-19 pandemic, and this wish is gradually becoming the reality. One of the cases is the development and inoculation of vaccin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such a situation by contrasting the everyday appearances in the media with the legal frame.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add another meaning to the role of the law in responding to social changes that will be faced after COVID-19. The subsequent emergence of new diseases has brought about a major change in humanitys response to it. And this solution includes not only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disease, but also the social tasks. Many editorials, articles, and columns of newspapers are raising a problem related to this. For example, the COVID-19 pandemic that lasted for two years created a new coinage called ‘Corona Inequality’, and the IT-based non-face-to-face activities have been settled down as daily life, which is regarded as its cause. In other words, due to the non-face-to-face activities, a lot of profits are gathered to the digital platform business operators with great market power while the self-employed suffer a loss. There are also opinions about the necessity to greatly expand the social safety net for the poor elderly who can’t expect the labor income, the youth who cannot find a job for a long time, and non-regular workers with insecure employment. Otherwise, the inequality of opportunity between classes would get more intensified. But, the ‘inequality’ is the major interest of laws. It means the matter of setting up the roles of law related to this should be handled in the new transitional period. For example, it could be an interesting premise to interpret the cases that have been a lot reported through the media in the frame of law such as treating the Corona patients by dividing them into mild cases and serious cases through the use of residential treatment centers, and keeping distance between potential patients and medical staffs through the new testing methods like drive-through and walking-through in screening clinics. It is also applied to the convergence of social distancing to the law. Meanwhile, as the grounds for the administrative order to ban gatherings as the active preventive measures for preventing the rapid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the Article 49 (1)-2 of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was used. However, we should also consider that the constitutional issue is not completely resolved in the realistic situation of the COVID-19. To this end,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truct the frame of the law from the perspective of restoring daily life. In other words, in the level of prevention, the social necessity is emphasized by drawing the ideological inner side of law such as human rights or justice in the process of substituting the purpose or nature of law. In the level of conquest, the experiential appearance of law such as duties or basis of law is instrumentalized as the executable policy-level measures. This could work as a measure for securing the effect of law for responding to social disasters like the COVID-19. A single country’s effort is not good enough to overcome the pan-human issue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Thus, it is urgently needed to seek for the solution measures for overcoming cultural differences and sharing information through the solidarity of countries. The media is a social communication device that deliveries and collects opinions about this. The law is also finding its role in this process.

      • KCI등재후보

        한국의 문화적 정서와 그 재현

        이혜경 ( Hye Kyoung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5 No.-

        The cultural tradition of Korea make passage of a long history and has continued until today have our unique sentiments. Although the irreversible trend of globalization as a modern society, a large flow of our cultural identity is preserved and nurtured for the precious value we"re able to. Familism can be one of them. The annual cycle rites continues until now the ceremony taking place within the family attention events is strong. Korean familism including the family members of all of solidarity was absolutely necessary in the production system has been, added to the traditional beliefs of Korean familism has been settled. Institutionalization of family way of thinking, since the Jose on Dynasty from becoming the country"s ruling ideology in society, the family attention widely settlement is reached, whereby the source of the values ??that regulate the Koreans of all social behavior was. Korea"s national cultural forms such attention being generated by the backbone of the family, the family and thus the Korea`s fundamental nature that forms the core of Koreans living consciousness at the same time robust and eternal than any group was formed. However, our appearance was not exclusive or closed. The culture while historically always been in continuous conflict and assimilation has been the culture and the adjacent cultural exchanges, case now over the age of globalization, not an exception is called. One of the source, we will be able to find in literature. Culture itself is upright rather than soft. Is that the smoother the end of a phenomenon that can hold the contents or that there are colorful as collateral. Can be easily found these portraits, especially from 『Toji』. Temporal background of this work is that the boundary of the 19th and 20th centuries, showing profound role simply beyond the transition state for the transfer of the next century, as the meaning behind the reason for the overall system in a century of history that changes an important measure. Birth, prosperity, decline expressed in the characters passed intact to gauge the shape of Korea`s culture allows. Current Korean culture is not result of one moment, as never further our culture in a variety of areas, as well as the source contents as interested in the colorful cultures receives nourishment through the strength will be. 한국의 전승문화는 유구한 역사를 통로로 삼아 우리의 고유한 정서를 함유한 채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비록 현대사회의 큰 흐름으로서 세계화를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 해도 우리 문화의 정체성은 보존하고 가꾸어 지켜나가야 할 소중한 가치이다. 가족주의 또한 그러한 예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전승된 세시풍속은 가족의 테두리 안에서 벌어지는 의례로 가족주의를 돈독케 하는 집단적 행사인 셈이다. 한국의 가족주의는 가족 구성원 모두의 결속이 절대적으로 필요했던 생산 체제에서 비롯되고 있다. 여기에 한국인의 전통 신앙이 가세하여 가족주의가 정착되기에 이른다. 가족 위주의 사고방식을 제도화한 조선조 이후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자리 잡으면서 가족주의는 사회에 널리 정착되기에 이르렀고 이로 말미암아 한국인의 모든 사회적 행위를 규제하는 가치관의 원천이 되었다. 한국의 국민적 내지 민족적 문화형태는 이러한 가족주의를 근간으로 생성되고 존속되어, "가족"은 한국인의 핵심적인 생활의식을 형성하는 본질인 동시에 어떠한 집단 성보다 견고하고 유구한 한국사회의 근본을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우리의 모습은 배타적이거나 폐쇄적이지 않았다. 문화는 역사적으로 늘 인접 문화 문화들과 교류하면서 갈등과 융화를 거듭해왔듯이 세계화 시대인 지금이라 해서 예외일 수는 없을 것이다. 우리는 그 원천의 하나를 문학작품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문화 그 자체는 강직한 것이 아니라 연성적이다. 여기서의 연성적이라는 말의 의미는 그만큼 담을 수 있는 내용이나 현상이 다채롭고 많다는 것을 담보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의 한 속성을 보여주는데 문학작품은 나름대로의 기여를 해오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특히 『토지』에서 이 같은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시간적 배경이 되는 19세기와 20세기의 경계는 단순히 한 세기에서 다음 세기로의 이양을 위한 과도기의 상태라는 의미를 넘어 사유의 전반적인 체계를 뒤바꿔 버리는 역사의 심오한 역할을 보여주는 중요한 잣대가 된다. 또한 그 속에서 표현되는 탄생-융성-쇠퇴-소멸은 고스란히 등장인물에 대입되어 전승문화와 관계를 맺고, 한국 문화의 단상이 되어 표현된다. 현재의 한국문화가 결코 어느 한 순간의 결실이 아니듯이 우리의 문화는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영역에서 콘텐츠로서의 소스뿐만 아니라 그 저력을 통해 다채로운 문화권에서의 관심을 받는 자양분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기호학적 구조를 적용한 의사소통 수업 전략 연구 - 읽기와 말하기를 중심으로

        이혜경(Lee, Hye-kyou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3

        본고는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대학 교양 수업의 전략으로서, 기호학적 구조를 기반으로 한 다매체 텍스트 독서와 말하기 방법을 논의했다. 의사소통 능력은 지식정보 기반 사회에서 중요한 업무능력으로 평가받는다. 이에 대학에서는 다양한 교과, 비교과 수업에서 읽기, 쓰기, 말하기 활동을 통해 자신의 사유를 원활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특히 대학 교양교육은 모든 학생이 어떠한 상황에서든지 적용이 가능한 의사소통 방법론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중이다. 의사소통 방법론의 일환으로 본고는 몇 가지 대상과 사유를 제안한다. 우선, 소통의 매개이자 세계를 읽는 배경으로서 다매체 텍스트의 이해를 제안한다. 여기에서 텍스트는 읽기 활동에서의 대상, 말하기 활동에서의 논제 등을 의미한다. 다매체 텍스트 이해의 과정에서 발견되는 문화기호학적 공통점은 계열체적, 통합체적 구조이다. 근본적으로 문학에서의 은유와 환유적 사고가 계열체적 통합체적 구조론과 유사하다. 이러한 구조에는 근본적으로 이항대립의 원리가 숨겨져 있다. 대립의 기준이 되는 요소를 파악하고 내용을 구조화해 텍스트(논제)를 이해하는 과정 속에서 발생하는 인지 부조화는 스피치 상황에서 청자를 사로잡는 역할을 한다. 텍스트 내적으로 존재하는 이항대립적 구조와, 텍스트 외부에서 발생하는 생산자와 소비자, 작자와 독자, 화자와 청자 사이의 비교와 의미의 조율 속에서 의사소통은 활자로 고정된 의미를 초월해 사유와 상상의 공간으로 침투한다. 이러한 과정을 기호학적으로 증명하고 그 실제를 확인하는 수업은 학습자의 의사소통에 자신감을 부여하고 의사소통 전 영역에 긍정적 시너지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discussed reading and speaking methods for multimedia texts based on the semiotic structure as a strategy for liberal arts classes at a university in communication capacity building. This study checked the structure of various media through paradigmatic and syntagmatic approaches, which are the principles of literary imagination and showed the process of leading this to expressions such as discussion and speech. Metaphoric and metonymic thinking that change one object into another object for understanding. The thinking in which a text or subject in a speaking situation is split by the principle of difference, that is, into the structure of binomial confrontation, and the element of each part is replaced or reassigned, creates momentum to expand the meaning of the text in the reading situation and to stimulate and expand the listeners’ cognition in the discussion and speech situations. For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ability, this study visualizes the process of thinking like this by instrumental and structural approaches and checks the possibility that they can stretch themselves from passive consumers of the text to the producers of active mea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ut aside the fear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felt by the learners and develop the ability to think and express systematicall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