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부 영상측정 프로그램을 이용한 신호강도 측정 시 DOTS이 적용된 영상 측정의 문제점

        이형희,최관우,양선욱,서대건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2018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4

        목 적:정확한 신호강도의 측정을 위해서는 fixed scale factor 중 DOTS을 적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여야한다. 그러나 획득한 영상을 외부 영상측정 프로그램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DICOM 포맷으로 영상을 추출해 야 하는데 이 경우 일부 정보가 소실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부 영상측정 프로그램을 이용한 신호강 도 측정 시 DOTS이 적용된 영상 측정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연구방법은, fixed scale factor를 None과 DOTS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획득한 다음 획득한 영상 을 장비와 외부 영상측정 프로그램(image J)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측정된 신호강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평가 하였다. 영상획득은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 장치와 16채널 Knee 코일을 사용하여 Knee phantom의 T1, T2 강조영상을 획득하였으며, 통계적 검정은 장비와 외부 영상측정 프로그램으로 각각 측정한 None과 DOTS 영상의 신호강도를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판단하였다. 결 과:연구결과, 장비로 측정한 신호강도는 fixed scale factor를 None으로 설정한 경우 T1 강조영상 1360.45±49.96, T2 강조영상 1213.06±27.69로 나타났으며, DOTS으로 설정한 경우 T1 강조영상 16409.02±427.27, T2 강조영상 2606.75±57.82로 나타났다. 외부 영상측정 프로그램으로 측정한 신 호강도는 fixed scale factor를 None으로 설정한 경우 T1 강조영상 1028.13±46.10, T2 강조영상 238.06±7.93으로 나타났으며, DOTS으로 설정한 경우 T1 강조영상 1028.04±46.35, T2 강조영상은 238.01±7.80으로 나타났다. 장비와 외부 영상측정 프로그램으로 각각 측정한 None과 DOTS 영상의 신호강도에 차이가 있는지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장비로 측정한 경우 T1(p=0.000), T2 강조영상(p=0.000) 모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외부 영상측정 프로그램으로 측정한 경우 T1(p=0.530), T2 강조영상(p=0.232) 모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는 외부 영상측정 프로그 램을 이용하기 위하여 DICOM 포맷으로 영상을 추출할 경우 설정한 fixed scale factor의 DOTS 정보가 소실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확한 신호강도의 측정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결 론:fixed scale factor 중 DOTS을 적용하여 영상을 획득한다는 것은, 동일한 장비와 프로토콜로 같은 환자 의 신체부위를 검사하더라도 영상의 신호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reconstruction 통해 영상강 도를 표준화하여 보정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장비로 측정하는 것은 문제없지만 외부 영상측정 프로그램 을 이용하기 위하여 DICOM 포맷으로 영상을 추출할 경우 fixed scale factor의 DOTS 정보가 소실되어 정확한 신호강도의 측정이 불가능함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확한 신호강도의 측정을 위해 DOTS을 적용할 경우는 장비 자체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을 하여야 신호강도의 정량적 차이를 정확히 반영 할 수 있다.

      • KCI등재

        MR Enterography dynamic 검사 시 인공물 감소에 관한 연구

        이형희,서성미,최관우,양선욱,서대건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2015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Vol.25 No.-

        목 적 : MR Enterography는 비침습적으로 장의 염증성 병변, 크론병(Crohn's disease), 장 폐색증, 항문천공(Anus canal fistula)과 같은 소장의 추적관찰 및 이상 유무 진단에 유용하다. 그러나 장 운동에 의한 영상의 인공물이 항상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dynamic 검사를 시행하고 있으나 인공물의 감소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ynamic 검사 시 Turbo direction 방향을 바꾸어 인공물의 발생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연구방법은 dynamic 검사 시 Turbo direction 방향에 따른 인공물의 감소를 알아보기 위해 Turbo direction 방향을 Y와 Z phase encoding 방향으로 바꾸어 각각 30명의 eTHRIVE(3D T1-weighted gradient echo technique)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획득 장비는 3.0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Ingenia, Philips medical system)와 16-channel Aanterior, 12-channel Posterior 코일을 사용하였으며, 획득된 영상은 임상 경력 5년 이상의 MR 전문방사선사 10명이 Likert 5점 척도로(1: 아주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아주 좋음)로 영상의 질을 평가한 후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구결과, Turbo direction 방향에 따른 인공물의 감소를 알아보기 위한 정성적 평가는 Y phase encoding 방향이 2.33±0.88, Z phase encoding 방향이 3.80±0.85로 나타나 Z phase encoding 방향으로 Turbo direction 방향을 설정할 경우 영상의 인공물의 발생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표본 T 검정 결과 t값은 –6.526 유의확률은 0.000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도 Turbo direction 방향을 Y phase encoding 방향보다 Z phase encoding 방향으로 설정할 경우 유의한 차이로 영상의 인공물이 감소하고 영상의 질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결 론 : MR Enterography는 CT Enterography에 비해 혈관 및 장벽의 묘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최근 크론병(Crohn’s disease)과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검사로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긴 시간분해능은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본 연구처럼 다양한 parameter의 실험 방법을 적용 분석하고 그에 따른 최적의 조합을 구성한다면 대조도가 뛰어난 장점을 유지하면서 긴 시간분해능으로 인한 움직임 인공물 발생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17b-estradiol inhibits PPARa of skeletal muscle

        이형희,윤미정 한국통합생물학회 2013 Animal cells and systems Vol.17 No.5

        To determine whether 17b-estradiol regulate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 (PPARa)-mediated lipid reduction in skeletal muscle cells and tissues and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mechanism involved in this process,C2C12 myotubes and female ovariectomized C57BL/6J mice were treated with combinations of the PPARa agonist fenofibrate or 17b-estradiol. Both differentiated C2C12 myotubes and skeletal muscle of high-fat diet-fed obese mice showed lipid accumulation. However, either fenofibrate or 17b-estradiol decreased lipid droplets and increased mRNA levels of PPARa target enzymes responsible for fatty acid oxidation. When mice and myotubes were concomitantly treated with fenofibrate and 17b-estradiol, 17b-estradiol reversed the effects of fenofibrate on lipid accumulation and mRNA expression of PPARa target genes. In addition, 17b-estradiol not only decreased basal levels of PPARa reporter gene activation but also reduced fenofibrate-induced luciferase reporter activity in C2C12myoblasts. Moreover, 17b-estradiol inhibited the recruitment of the PPARa coactivator CREB-binding protei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17b-estradiol inhibits the actions of PPARa on skeletal muscle lipid metabolism by down-regulating the expression of PPARa target genes for fatty acid catabolism, which may be mediated through the inhibition of PPARa-dependent coactivator recrui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