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X-線이 초파리의 第三齡幼에 미치는 影響

        한국동물학회 한국통합생물학회 1968 동물학회지 Vol.11 No.2

        X-線이 초파리의 第三齡幼 에 1,500r의 X-線을 照射하여 어버이와 그자손의 産卵能力, 羽化數 및, 羽化率에 미치는 영향을 考察하였다. 1. 어버이代에서는 處理區가 對照區에 比하여 훨씬 낮은 産卵數를 보였으나 處理區사이에는 差異가 없었다. 2. 자손에 이르면 産卵能力이 어버이代보다 약 85% 增加되는데 자손代에서 2次로 X-線照射를 받으면 어버이代가 보여준 産卵能力과 비슷해 진다. 3. 羽化數와 羽化率은 어버이代에서는 물론 자손代에 서도 各處理區間에 差異를 보인다. 4. 어버이代와 자손代가 모두 照射를 받았을 때, 그 영향이 産卵能力에는 加重되어 나타나지 않으나 羽化率을 분석하면 加重현상이 나타난다. 5. X-線에 依한 傷害로 부터의 回復期는 成體에 比하여 幼 이 더 길었다.

      • 한국산 야생 생쥐(Mus musculus subspecies)에서 Chiasma, Univalent 및 X-Y 염색체 조기 분리에 관한 연구

        최영현,권용원,이원호,Choe, Yeong-Hyeon,Gwon, Yong-Won,Lee, Won-Ho 한국통합생물학회 1994 동물학회지 Vol.37 No.1

        한국산 야생 생쥐(Mus muscurus subspecies)와 동계교배 계통인 BALB/c의 정모세포에서 감수분열에 따른 염색체의 chiasma 말단화 여부와 chiasma 빈도, X-Y 염색체의 조기 분리 빈도 등을 조사하였다 한국산 야생 생쥐에서는 chiasma 말단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말단 chiasma는 말단 부위에 특이적으로 생긴 chiasma로 생각되며, chiasma 빈도의 감소와 univalent 빈도의 증가에 관한 ageing의 영향도 관찰되지 않았다. 불임개체에서 X-Y 염색체 조기 분리가 낮은 빈도로 나타나 동계교배 계통과는 다소 상반된 결과를 보였고, chiasma 빈도는 한국산 야생 생쥐가 동계교배 계통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복사기, 이동기 및 중기 1을 거치는 동안 거의 일정한 수준을 보여주었다. 또한 한국산 야생 생쥐에서 특징적으로 개재 chiasma 빈도 보다 말단 chiasma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해서는 부가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산 초파리 집단의 유전 생화학적 연구: 노랑 초파리의 $\alpha$-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 allele에 대하여

        정용재,한영수,정영란 한국통합생물학회 1982 동물학회지 Vol.25 No.3

        한국산 초파리집단의 유전적 특성을 생화학적으로 분석하여 분자유전학적 측면에서 집단 유전학적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한국산 노랑초파리 (Drosophila melanogaster)의 11개 지역의 자연집단 (청량리, 등촌동, 신촌, 용산, 부천, 춘천, 대전, 대구, 광주, 나주 및 노화도)의 $\\alpha$-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 (\\alpha-GPDH) 인자형을 agarose gel 전기영동법에 의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산 노랑초파리 11가지 자연집단에서 $\\alpha$-GPDH allele는 상당한 다형현상을 이루고 있다. 2. $\\alpha$-GPDH allele의 heterozygosity는 $45\\sim50%$로서 상다히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다. 3. $\\alpha$-GPDH allele의 FF 인자형의 빈도는 SS인자형과 비슷하나 FS 인자형보다는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4. $\\alpha$-GPDH allele의 F, S 두인자가 거의 비슷한 빈도를 보이고 있다. In order to establish a biochemical genetic system in Drosophila populations in Korea, the $\\alpha$-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 alleles of eleven natural populations of D. melanogaster in Korea were examined by means of agarose gel electrophoresis. The results obtained are presented below: 1. $\\alpha$-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 ($\\alpha$-GPDH) allele is scored for eleven natural populations of D. melanogaster in Korea, resulting that $\\alpha$-GPDH is found to be widely polymorphic for two electrophoretic variants. 2. The heterozygosity of $\\alpha$-GPDH is calculated as $40\\sim50%$. 3. The frequency of the FF genotype of $\\alpha$-GPDH is found to be roughly same as the SS genotype, but less than the FS genotype. 4. The F gene of $\\alpha$-GPDH is distributed almost frequently as the S gene.

      • 한국산 잉어과 어류 칼납자루의 분류학적 재검토

        김익수,김지홍 한국통합생물학회 1990 동물학회지 Vol.33 No.2

        한국산 칼납자루 Acheilognathus limbata(Temminck et Schlegel)의 분류학적 재 검토를 위하여 일본산과 한국산의 표본에 대한 난의 형태와 발생과정 및 외부 형태 형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산 표본은 난의 형태가 장타원형이고 난할시 동물극에서 세포 분열이 이루어지지만 일본산 표본의 난형은 둥근 타원형이고 난황의 측면에서 세포 분열이 이루어지고 있어 발생학적인 차이가 현저하다. 한편 17개의 계수 계측 형질의 비교에서 두장에 대한 문장의 비가 일본산은 한국산에 비하여 작고, 양안 간격의 비에 있어서도 일본산이 한국산에 비하여 현저하게 다른 점등으로 한국산 표본은 일본산 Acheilognathus limbata와 동종이라기 보다 분류학적을 구분되는 별종일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In order to resolve the taxonomic contusion of Acheilognathus limbata from Korea, 17 morphological characters, egg form and cleavage part of A. limbata from Japan and Korea were ompared. These two groups are overlapping each other in morphometric characters mostly, but two characters of snout length and interarbital width percent in head length are distinguished between them. Moreover the Korean and the Japanese specimen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egg form and, cleavage part of eg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limbata from Korea and from Japan are homonyms. So we consider that the target specimens from Korea should be treated Acheifognathus sp. rather than Acheilognathus limbata until further informations are available.

      • 사람세포의 노화와 불사화

        김진경 한국통합생물학회 2001 한국동물학회 뉴스레터 Vol.18 No.1

        사람의 체세포가 분열수명에 한계가 있다는 것은 1960년대 초기에 보고되었으며 이것은 artifact가 아니며 세포자신이 가지는 프로그램에 의한 것임이 보고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 안에 체세포가 실지로 증식을 정지하는 시기, 모든 세포노화의 타이밍이 어떻게 설정되는가\ulcorner 에 대해서는 아직 알 수 없다. 한편 노화세포가 왜 증식할 수 없는가\ulcorner 에 대해서는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유전자에 관한 최근의 연구에 의해 상당부분 밝혀졌다. 또한 분열회수를 인식하는 분열시계의 진행은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여 증식을 정지시킨다. 분열시계를 정지시킨 세포는 기본적으로 무한히 분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열시계를 정지시키는 주역은 telomerase이다. 정상 세포에서는 생식소(生殖巢)에 존재한다. 대부분의 정상체세포, 세포조직에는 없으나 대부분의 암에서 존재한다. 본 논단에서는 전반부에 노화를 후반부에 암에 관해서 분자세포생물학 차원에서 최근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한국산 애응애과 응애의 분류 및 동위효소에 관한 연구

        이정상 한국통합생물학회 1988 동물학회지 Vol.31 No.2

        1986년 12월부터 87년 11월까지 채집된 애응애과 응애를 분류학적으로 정리한 바 Brevipalpus속의 B.californicus와 B.ovovatus 2종과 다음의 한국4미기록종을 얻었다: Aegyptobia nothus Pritchard and Baker,Pentomerismus taxi Hailer, P. oregonensis McGregor,Brevipalpus lewisi McGregor. 따라서, 한국산 애응애과 응애는 Tenuipalpus속의 T.zhizhilashiliae(감나무애응애)를 포함하여 4속 7종이 보고되는 셈이다. 또한 P. oregonensis,B.californicus,B.ovovatus 및 B.lewisi에 대하여 polyacrylamide slab gel electrophoresis로 esterase와 alkaline phosphatase pattern을 조사한 바 esterase는 band수와 이동도에서 종과 속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Six species of false spider mites were collected and ciassifled in South Korea. Among them, a taxonomic description was carried out on the following four species new to Korea: 1. Aegyptobia nothus Pritchard and Baker, 2. Pentomerismus taxi (Hailer), 3. P. oregonensis McGregor, 4. Brevipalpus lewisi McGregor. And also esterase and alkaline phosphatase patterns obtained by polyacrylamide slab gel electrophoresis were compared on some spades. Esterase rymogram showed difference among species in band number and mobility.

      • 한국산 다람쥐 핵형의 비교연구 II. G-banding 방법에 의한 한국산 청서(Sciurus vulgaris coreae)와 다람쥐(Tamias sibiricus asiaticus)의 핵형분석

        김종봉,이희영 한국통합생물학회 1990 동물학회지 Vol.33 No.3

        G-banding 방법에 의하여 한국산 청서와 다람쥐의 핵형을 비교분석한 결과 두 종의 모든 염색체를 동정할 수 있었으며 청서의 9, 10, 12번 염색체 및 X염색체와 다람쥐의 6, 9, 12번 염색체 및 X염색체의 banding pattern이 동일하였다. 또한 청서의 1, 7, 8, 16번 염색체들과 다람쥐의 4, 10, 7, 17번 염색체 사이에 pericentric 역위가 중요한 역할을 한것으로 생각된다. The Karyotypes of Korean Sciurus uulgaris coreae and Tamias sibiricus asiaticus were analyzed by the G-banding method. Chromosomes of two species could be identified by G-banding patterns. The banding patterns of chromosomes 9, 10, 12 and X of S. vulgaris coreae were identical to those of chromosomes 6, 9, 12 and X, respectively of T. sibiricus asiaticus. It was shown that chromosomes 4, 10, 7 and 17 of T. sibiricus asiaticus resulted from pericentric inversion of chromosomes 1, 7, 8 and 16 of S. vulgaris corea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ericentric inversion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karyological differentiation of two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