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O<sub>2</sub> 나노 입자의 크기와 결정 구조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 효율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박노국,이태진,한기보,강미숙,Lee, Hyeonju,Park, No-Kuk,Lee, Tae Jin,Han, Gi Bo,Kang, Misook 한국청정기술학회 2013 청정기술 Vol.19 No.1

        본 연구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성요소 중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티타니아($TiO_2$) 나노입자의 크기와 결정구조에 따른 광전 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나노입자의 크기는 용매열법(solvothermal method)을 이용하여 출발 용액의 pH를 조절하고 결정구조의 차이는 솔-젤법에 의해 얻어진 무정형의 티타니아를 온도를 달리하여 소성함으로써 조절되었다. 그 결과, 용매법으로는 8.9, 12.8 그리고 20.2 nm의 크기를 가지는 세 종류의 아나타제 티타니아를, 솔-젤법으로는 세 종류의 아나타제-루타일(anatase-rutile) 혼합결정구조를 가지는 티타니아를 얻었다. 여섯 종류의 샘플 중 20.2 nm 크기의 아나타제 결정구조의 티타니아를 광 전극으로 사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단위 셀에서 8.6%로 가장 좋은 광전 효율을 얻었다. A comparison of photo-efficiency on dye-sensitized solar cells (DSCs) assembled by using $TiO_2$ materials with different structures and crystallite siz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ize and structure of $TiO_2$ have been controlled by pHs and calcination temperatures using solvothermal and sol-gel methods, respectively. Six types of $TiO_2$ samples are obtained; 8.9, 12.8, and 20.2 nm sized $TiO_2$ particles, and the other types using sol-gel method were anatase-rutile mixtures on the structure. The highest photo-efficiency which is remarkable result reached to 8.6% over DSC assembled by anatase $TiO_2$ with 20.2 nm particle size.

      • KCI등재

        계절양수가 하천건천화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구민호,임진실,유병호,김용철,Lee, Hyeonju,Koo, Min-Ho,Lim, Jinsil,Yoo, Byung-Ho,Kim, Yongcheol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6 지하수토양환경 Vol.21 No.1

        Visual MODFLOW was used for quantifying stream-aquifer interactions caused by seasonal groundwater pumping. A hypothetical conceptual model was assumed to represent a stream-aquifer system commonly found in Korea. The model considered a two-layered aquifer with the upper alluvium and the lower bedrock and a stream showing seasonal water level fluctuations. Our results show that seasonal variation of the stream depletion rate (SDR) as well as the groundwater depletion depends on the stream depletion factor (SDF), which is determined by aquifer parameters and the distance from the pumping well to the stream. For pumping wells with large SDF, groundwater was considerably depleted for a long time of years and the streamflow decreased throughout the whole year. The impacts of return flow were also examined by recalculating SDR with an assumed ratio of immediate irrigation return flow to the stream. Return flow over 50% of pumping rate could increase the streamflow during the period of seasonal pumping. The model also showed that SDR was affected by both the conductance between the aquifer and the stream bed and screen depths of the pumping well. Our results can be used for preliminary assessment of water budget analysis aimed to plan an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in riparian areas threatened by heavy pumping.

      • KCI등재

        지하수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인공함양정 최적 위치 평가

        이현주,구민호,김용철,Lee, Hyeonju,Koo, Min-Ho,Kim, Yongcheol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4 지하수토양환경 Vol.19 No.3

        A Fortran program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optimal locations of an artificial recharge well. Three objective functions were considered: (1) maximizing the recovery rates, (2) maximizing the injection rates, and (3) minimiz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increased pumping rates. We also suggested a new aggregate objective function which combined the first and the third objective functions. The model results showed that locating the injection well inside the cluster of pumping wells was desirable if either the recovery or the injection rate was taken into account. However, the injection well located outside the cluster evenly increased the pumping rates in existing pumping wells. Therefore, for clustered pumping wells, installing an injection well at the center or the upstream of the pumping wells seems beneficial. For linear arrangement of pumping wells parallel to the constant head boundary, locating the injection well in the upstream was recommended. On the contrary, in case of the linear arrangement perpendicular to the constant head boundary, the injection well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art of the pumping wells was preferable.

      • 대한도기 활동시기의 전혁림 도자회화 연구

        이현주 ( Hyeonju Lee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8 陶藝硏究 Vol.- No.27

        본고는 현대 도자회화의 영역을 새롭게 구축했던 전혁림(全爀林, 1916~2010)의 대한도기 활동시기에 관한 연구이다. 대한도기는 부산 영도에 자리 잡았던 근대도자산업체로, 1917년 일제가 식민지정책의 일환으로 설립한 일본경질도기의 분공장 성격을 지닌 조선경질도기가 그 전신이다. 해방 후 일본경질도기는 귀속재산 불하과정에서 1950년 양산출신의 자유당 국회의원인 지영진에게 낙찰되면서 대한도기주식회사로 개칭되었다. 전후복구 이후 대한도기는 전통생산방식에서 근대적 공업생산방식으로 전환한 일본경질도기의 생산 방식과 분업체제를 수용하여 단시간에 부산지역의 명실상부한 도자업체로 자리잡았다. 특히 여기에서 생산되는 도자접시는 수작업으로 화가들이 직접 그린 것으로 회화사적으로 주목되는 작품이다. 이 도화작 업에는 6.25 한국 전란 당시 부산으로 피란 온 다수의 화가들이 참여하였는데, 대한도기로서는 우수한 화 가를 도화작업에 참여시킬 수 있었고 화가들에게는 전쟁의 소용돌이에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되었다. 대한도기의 핸드페인팅 도자접시는 변관식으로 대표되는 산수화 계열 접시, 김은호로 대표되는 인물 화 계열 접시, 김은호의 제자들에 의해 구축된 풍속화 계열접시와 전혁림으로 대표되는 서양화 계열의 접 시로 분류된다. 핸드페인팅 도화작업에 참여한 화가들은 그것이 전통적인 화업에서 벗어난 것이라 여겼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작가들이 작품에 실명을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전혁림은 자신의 모든 작품에 사인을 기입하였으며, 회사의 주문에 영합하지 않고 자신의 작품세계를 처음부터 끝까지 고수한 인물로 주목 된다. 1933년 통영수산학교를 졸업한 후 1938년 <부산미술전람회>, 1949년 <경남미술연구회전>(부산역전 공 회당), 1952년 <제1회 개인전>(밀다원), 1953년 <제2회 개인전>(피가로다방) 등 부산에서 활동한 전혁림은 도화작업에도 일찍부터 관심이 컸다. 그는 1956년부터 1962년까지 대한도기에서 일했는데, 이 시기 그는 작가로서의 예술세계와 예술가로서의 인식을 확고히 다지면서, 이를 바탕으로 도자회화의 영역을 확대하여 자신의 도조 작품세계를 구축하는 데 큰 계기를 마련하였다. The study of this paper is about Jeon Hyuk-rim's early work on pottery manufacturing in Korea and Daehan pottery(Daehan Dogi), a modern ceramic industry that has been in Yeongdo island, Busan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Daehan pottery was established in 1917 by Japan as a part of its colonial policy, which is a branch office of ‘Japan Ironstone Chinaware Mfg. Co. Ltd’(Japanese Gyeongjil Dogi), is the predecessor of ‘Joseon Ironstone Chinaware Mfg. Co. Ltd’. The Busan factory became the headquarters of the new ‘Japan Ironstone Chinaware Mfg. Co. Ltd’. in 1925, after it merged with the ‘Joseon Ironstone Chinaware Mfg. Co. Ltd’. in 1920. After Korean post-war restoration, Daehan pottery(Daehan Dogi) became a real ceramics company in a short time by adopting division of labor as well as the production method of ‘Japan Ironstone Chinaware Mfg. Co. Ltd’(Japanese Gyeongjil Dogi), the method of which was changed into a modern industrial production method from a traditional one. The pottery dishes produced here are hand-drawn by artists, drawing attention from the history of painting. The painting involved a number of artists who came to Busan during the Korean War, who were able to engage in the painting and help the artists survive the whirlpool of war. The hand painting ceramic dish of Daehan pottery(Daehan Dogi) is classified as a dish of landscape painting by Byeon Gwan-sik, a character dish represented by Kim Eun-ho, a genre dish built by Kim Eun-ho's disciples, and a plate of Western painting series represented by Jeon Hyuk-rim. Almost all of the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hand-painting process did not give their real names to their works because they thought it was out of the traditional painting business. However, Jeon Hyuk-rim (1916-2010) signed all of his works and was not limited to the company's orders, but also focused on keeping his art world from beginning to end. Jeon Hyuk-rim worked in Daehan pottery(Daehan Dogi) from 1956 to 1962, during which time he established a firm recognition as a writer and as an artist, thereby expanding the field of ceramics and creating his own ceramic art world.

      • KCI등재

        인터랙티브 미디어 기반 체험형 콘텐츠의 제작기법

        이현주(Hyeonju Lee),유선진(Sunjin Yu) 한국정보기술학회 202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Through convergenced on Art and technology, ICT is being used in art works. Interactive art that is completed through interaction with users is in the spotlight. In addition, we deal with interactive media and augmented reality, which are production technologies. And Focusing on the exhibition WAI Project on the theme of role conflict, we propose experience-based content based on interactive media. The production technique used is augmented reality and real-time video synthesis in which virtual graphics are fused to the real environment, and is produced using Unity and vvvv, respectively. Finally, a surve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nteraction with users, an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the future complementary points and suitability of the experience-based content were analyzed.

      • KCI등재

        TiO₂ 나노 입자의 크기와 결정 구조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 효율에 미치는 영향

        이현주(Hyeonju Lee),박노국(No-Kuk Park),이태진(Tae Jin Lee),한기보(Gi Bo Han),강미숙(Misook Kang) 한국청정기술학회 2013 청정기술 Vol.19 No.1

        본 연구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성요소 중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티타니아(TiO₂) 나노입자의 크기와 결정구조에 따른 광전 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나노입자의 크기는 용매열법(solvothermal method)을 이용하여 출발 용액의 pH를 조절하고 결정구조의 차이는 솔-젤법에 의해 얻어진 무정형의 티타니아를 온도를 달리하여 소성함으로써 조절되었다. 그 결과, 용매법으로는 8.9, 12.8 그리고 20.2 nm의 크기를 가지는 세 종류의 아나타제 티타니아를, 솔-젤법으로는 세 종류의 아나타제-루타일(anatase-rutile) 혼합결정구조를 가지는 티타니아를 얻었다. 여섯 종류의 샘플 중 20.2 nm 크기의 아나타제 결정구조의 티타니아를 광 전극으로 사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단위 셀에서 8.6%로 가장 좋은 광전 효율을 얻었다. A comparison of photo-efficiency on dye-sensitized solar cells (DSCs) assembled by using TiO₂ materials with different structures and crystallite siz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ize and structure of TiO₂ have been controlled by pHs and calcination temperatures using solvothermal and sol-gel methods, respectively. Six types of TiO₂ samples are obtained; 8.9, 12.8, and 20.2 nm sized TiO₂ particles, and the other types using sol-gel method were anatase-rutile mixtures on the structure. The highest photo-efficiency which is remarkable result reached to 8.6% over DSC assembled by anatase TiO₂ with 20.2 nm particle size.

      • KCI등재후보

        케톤성 당뇨와 모야모야병으로 인한 허혈성 뇌졸증 동시 발생

        이현주(Hyeonju Lee),이주연(Juyeon Lee),김소리나(Sorina Kim),오민수(Min su Oh),한경희(Kyoung Hee Han),강기수(Ki Soo Kang),김승효(Seunghyo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201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6 No.1

        현재까지 모야모야병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바이러스, 세균 감염, 유전, 그리고 자가면 역 기전 등이 제시되고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다. 이러한 기전들 중에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의 자가면역질환이 대뇌혈관질환과 흔히 동반된다. 이에 반해, 면역질환으로서의 당뇨병과 모야모야병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극히 일부에서 증례로 보고 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해외 연구에서 당뇨병과 모야모야 병과의 관련성에 대한 증례 보고가 늘어나고 있다. 국내에서 갑상선 기능 항진증과 모야모야병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일부 증례가 보고되고 있으나 갑상선 질환의 동반 없이 항체 양성 제2형 당뇨병과 모야모야병과의 동시 발생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는 의식저하를 주소로 본 병원을 방문한 환자에서 모야모야병과 당뇨병을 동시에 진단한 환자가 있어서 증례로 보고하는 바이다. 신체 진찰, 혈청 검사에서 자가면역성 제2형 당뇨병이 진단되었고 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뇌자기공명영상에서 좌측 대뇌 반구에서 허혈성 뇌졸중 소견을 보였으며 뇌자기공명혈관조영술에서 양측 모야모야병에 합당한 뇌혈관 병변을 보였다. 이에 신경학적 증상으로 응급실을 방문한 환자에서 당뇨성케톤산증과 급성 허혈성 뇌졸증이 발생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Although the etiology of moyamoya disease (MMD) remains unknown, autoimmunity is one of the proposed pathogeneses. Unlike other autoimmune disorders that are associated with cerebral arteritis, concurrence of MMD and diabetes mellitus (DM) is rare. However, we encountered a patient with concurrent diabetic ketoacidosis (DKA) and acute ischemic stroke due to MMD. Our patient was diagnosed with glutamic acid decarboxylase antibody-positive type 2 DM (T2DM) based on labora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es revealed an acute ischemic stroke in the left cerebral hemisphere and bilateral diffuse stenosis/occlusion in the middle cerebral artery and multiple collaterals. Thus, here, we report a patient with both T2DM and MMD who developed an acute ischemic stroke that was complicated by DKA.

      • KCI등재

        아욱 잎에서 분리한 Bacillus velezensis MV2의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항균활성능 연구

        이현주 ( Hyeonju Lee ),조은혜 ( Eunhye Jo ),김지혜 ( Jihye Kim ),문금옥 ( Keumok Moon ),김민지 ( Min Ji Kim ),신재호 ( Jae-ho Shin ),차재호 ( Jaeho Ch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21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9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식물인 아욱으로부터 새로운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였고 해당 미생물이 생산하는 항미생물질의 활성과 관련 생합성 유전자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6S rRNA 유전자 서열 정보를 토대로 비교한 결과, 아욱에서 분리된 균주는 Bacillus velezensis이었으며 strain은 MV2라고 명명되었다.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전체 유전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45.57% GC 함량을 가지는 4,191,702 bp 크기의 1개 컨티그(contig)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 velezensis MV2가 정지기에 생산하는 물질 중 항균 활성이 확인된 소수성 물질 분획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 스펙트럼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그람음성균보다 그람 양성균에서 더 높은 억제능이 확인되었다. 6종의 곰팡이를 이용한 항진균 활성 테스트에서는 모든 진균에 대해 강한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F. fujikuroi와 F. graminearum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세균에 대한 항균물질의 작용 기작 분석을 통해 해당 항균물질은 균을 용해시키는 살균(bactericidal) 특성을 가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B. velezensis MV2의 유전체 염기서열 정보를 통해 이차대사산물 생합성 유전자 cluster를 탐색한 결과 총 47가지 이차대사산물 생산이 예측되었으며, 기존에 밝혀져 있는 물질들과 유사도 80% 이상인 물질은 14개로 확인되었다. 앞서 확인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B. velezensis MV2에서 생성되는 항균물질은 비리보솜 펩타이드성 물질로 예상되며, 향후 항균물질의 동정과 활용 가능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기존에 상업적으로 이용되었던 곰팡이에 대한 활성이 낮은 항균물질 생물제제들과 함께 복합기능성 미생물제로 활용하여 식품산업 및 농업에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A bacterial strain isolated from a Malva verticillata leaf was identified as Bacillus velezensis MV2 based on the 16S rRNA sequencing results. Complete genome sequencing revealed that B. velezensis MV2 possessed a single 4,191,702-bp contig with 45.57% GC content. Generally, Bacillus spp. are known to produce diverse antimicrobial compounds including bacteriocins, polyketides, and non-ribosomal peptides. Antimicrobial compounds in the B. velezensis MV2 were extracted from culture supernatants using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The crude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oth gram-positive bacteria and gram-negative bacteria; however, they were more effective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The extracts also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such as Fusarium fujikuroi and F. graminearum. In time-kill assays, these antimicrobial compounds showed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Bacillus cereus, used as indicator strain. To predict the type of antimicrobial compounds produced by this strain, we used the antiSMASH algorithm. Forty-seven secondary metabolites were predicted to be synthesized in MV2, and among them, fourteen were identified with a similarity of 80% or more with those previously identified. Based on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the antimicrobial compounds may be nonribosomal peptides or polyketides. These compounds posses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biopesticides in the food and agricultural industry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