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음운인식 게임 활동이 유아의 읽기 능력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이하원,조혜경,Lee, Hawon,Cho, Hyeky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In this paper, we analyz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game using teacher assisted robot on 5-year-old children's reading ability and reading interest. A total of 30 5-year-old children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a total of 16 game activities using an educational robot twice a week for three weeks, the control group conducted the same 16 game activities without the robot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better in reading abilit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total scores, word meaning, omission, and replacement.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nterest in reading than the control group.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suggeste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games using the educational robot lay foundation to developing and enhancing on 5-year-old children's reading abilities and interest in reading.

      • KCI등재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생애핵심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하원(Lee, Ha Won),장세희(Jang, Se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의 생애핵심능력과 회복탄력성의 경향성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 189명이었으며 대상 평균연령은 만 19.82세(SD= 2.09)이었다. 53개 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KRQ-53)와 134개 문항으로 구성된 생애능력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2019년 10월 7일부터 28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은 전체적으로 ‘보통이상’ 수준이며 생애핵심능력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의 세부 항목으로는 대인관계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자아확장력이 높게 나타났다. 상관분석결과 예비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생애핵심능력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복탄력성 중 자기 조절능력의 원인분석력과 대인관계의 공감능력은 생애핵심능력의 모든 하위요소와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회귀분석결과 예비 유아교사의 생애핵심능력은 자기조절능력, 대인관계, 긍정성 순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인분석력과 공감능력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생애핵심능력의 중요한 예언변인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생애핵심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 및 양질의 전문적인 유아교사 구현을 위한 방안 데이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life core competencies and resil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the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89 students from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Gyeonggi area. The KRQ-53 and The Life Core Competency Scale were distributed from October 7 to 28, 2019, and SPSS 22.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il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t the level of “above average” and the core abilities of life were at the level of “averag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sub-factors of life core competence. Third, life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in the order of self-regul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ositivity.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analyze causes and empathy could be explained as important predictive variables of the life core competenc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 in that they present basic data for improving life core competencies and plan data for realizing high-quality professional kindergarten teachers.

      • KCI등재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영역 중심 로봇 놀이활동 『ROBO - RANG』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하원(Lee, Ha-Won),이미숙(Lee, Mi-Suk),신원애(Shin, Won-A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영역을 중심으로 고안된 로봇 놀이활동 『ROBO-RANG』이 유아의 사회적능력과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 H어린이집 만 5세 17명을 실험집단으로 S 어린이집 만 5세 17명을 통제집단으로 배정하고 2019년 8월 19일부터 9월 27일까지 6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ROBO-RANG』은 만 5세 유아의 사회적능력(친사회적, 외적행동, 내적행동) 및 정서능력(자기정서인식, 타인정서인식, 정서어휘, 감정이입, 정서표현, 정서조절)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영역을 중심으로 한 로봇 놀이활동『ROBORANG』은 만 5세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robotic play activity 『ROBO-RANG』 centered o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of you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abilit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hirty four 5 year old children in Seoul of whom 17 were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17 children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for 6 weeks from August 19 to September 27, 2019 was conducte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descriptive statistic, t-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the『ROBO-RANG』 activity significantly improved the social ability(prosocial, external behavior, internal behavior) and emotional ability(self emotional recognition, other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vocabulary, empathy,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control) of 5 years old children. In conclusion, the robotic play activity『ROBO-RANG』centered on the social relationship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influence on improving social and emotional ability of 5 year old children.

      • KCI등재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하원(Ha-Won Lee),채경희(Kyung-Hee 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9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이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해야 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적응유연성이 탈북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청소년(10세-25세)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적응유연성은 자아존중감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이 특히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청소년 지도사 및 상담사 등의 전문가를 활용하여 전문적인 보호 및 지원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the adaptive flexibility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in order to examine how they should see themselves and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and analyzedthe effect of their resilience on their self-esteem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The study subjects were 223 North Korean adolescents (10 - 25 year olds) living in South Kore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al program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resilience of North Korean adolesc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elf-esteem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In particular, resilience had a high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elf-esteem had a high correlation with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addition, self-esteem was the mediating factor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The self-esteem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played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Therefore, professional protection and support should be provided with the help of related experts such as youth leaders and counselors who would be able to enhance the self-esteem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영역에 기초한 로봇 놀이활동 『ROBO - RANG』 모형 개발과 적용: 유아의 사회적능력과 정서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이하원(Lee, Ha-Won),이미숙(Lee, Mi- suk),신원애(Shin, Won-A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9 No.12

        본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영역에 기초한 로봇 놀이활동 ROBO-RANG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의 일환으로 사회적 능력과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ROBO-RANG』모형은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영역을 기초로 국내외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를 고찰하여 로봇놀이모형의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을 선정하고 최종구안을 바탕으로 활동계획안을 작성하여 진행하였고 유아교육 전문가, 로봇 관련 전문가 및 현장교사의 적합성을 검증받았다. 연구대상은 S시 H어린이집 만 5세 17명을 실험집단으로 S 어린이집 만5세 17명을 통제집단으로 배정하고 2019년 8월 19일부터 9월 27일까지 6주 동안 주 3회(총 18회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ROBO-RANG』 모형을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을 토대로 한 생활주제 중심의 교육과정에 노출되었다. 모형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회적 능력은 LAFreniere와 Dumas(1995)의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SCBE)를 안라리(2006)가 번안한 척도, 정서능력은 Greenerm(1998)와 Sarni(1999)의 연구를 토대로 우수경(2002)이 제작하고 2004년에 교사용으로 수정한 우수경(2004) 정서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 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 『ROBO-RANG』 모형은 만5세 유아의 사회적능력(친사회적, 외적행동, 내적행동) 및 정서능력(자기정서인식, 타인정서인식, 정서허위, 감정이입, 정서표현, 정서조절) 모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개정 누리과정 사회관계영역에 기초한 로봇 놀이활동 『ROBO-RANG』모형은 만5세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obotic play activity 『ROBO-RANG』 model based on the social relationship-related activitie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effects on social and emotion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ROBO-RANG』 model is made by the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robot play is based on the social relationship-related activitie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 suitab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robot experts, and daycare teachers was verifie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hirty four 5 year old children in Seoul of whom 17 were assigned to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17 children were assigned to control group and three times a week for 6 weeks from August 19 to September 27, 2019 was conduct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the ROBO-RANG model, and the control group was exposed to the curriculum centered on living themes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In order to verify the model effect, social competence was measured by An(2006), and emotional ability by Woe(2004).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descriptive statistic, t-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the ROBO-RANG model significantly improved the social ability(prosocial, external behavior, internal behavior) and emotional ability(self emotional recognition, other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vocabulary, empathy,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control) of 5 years old children. In conclusion, the robotic play activity 『ROBO-RANG model based on the social relationship-related activitie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effects to improving social and emotional ability of 5 year old children.

      • 해빙 충격에 의한 해양구조물 콘크리트 구조의 마모 특성 고찰

        이하원(Ha Won Lee),황세윤(Se Yun Hwong),장호상(Ho Sang Jang),이장현(Jang Hyun Lee) (사)한국CDE학회 2016 한국 CAD/CAM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동계

        This paper describes the characteristic abrasion mechanism of concrete structure by ice impact for the arctic offshore platform. In the present study, abrasion prediction method based on experimental studies were discussed, and main parameters that influence the abrasion of concrete structure, such as impact velocity, full penetration depth, structure shape and ice floe size, are investigated. In future work, based on present study, various ice-structure collision and abrasion scenarios will be analyz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언어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하원 ( Lee Ha-won ),신원애 ( Shin Won-a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언어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 활동이 예비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통섭 및 융합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 지식탐구 역량 향상 기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3명을 대상으로 17주 동안 적용하고 그 효과를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켑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언어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 활동은 예비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통섭 및 융합적 사고 능력, 창의적 문제해결, 지식탐구 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은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수업 방법임을 시사하며 실무형 인재를 발굴하고자 하는 대학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languag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odel on the communication, con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knowledge exploration competencies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23 4th year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undergraduate curriculum at 4 year college in Seoul were applied for 17 weeks and their effects were analyzed by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ion and application of languag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ode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convergent thinking ability,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knowledge inquiry competencies of the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Thus,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odel implies that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and suggests that they can be usefully used in college education to make practical tal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