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격 분석을 위한 관계성 진단도구 개발: 사회적 원자(Social Atom)와 퍼소나그램(Personagram)을 중심으로

        이태승(Lee Tae Seung)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8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8

        본고는 연극치료에서 사회적원자와 퍼소나그램을 중심으로 관계성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계성진단도구의 개발과정을 제시한 후, 성격구조의 가능성을 설명 할 것이다. 관계성 진단도구는 외적관계와 내적 관계를 대인관계 중심으로 탐색한다. 이러한 분석은 개인의 성격구성이 관계 형성에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결과로 나타난 것들을 대인관계(SASB)의 관점으로 비교함으로써 참여자의 관계성을 이해하고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범주화된 구조는 연극치료에서 관계성진단도구의 이론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velop the relational assessment tool within social-atom and personagram by dramatherapy. After providing a brief review of the relational assessment tool, the article will describe the possibility of structuring of the pattern of personalities. In a words, The relational assessment tool is to examine the links between outer relationship and inner relationship through interpersonal. This analysis look at factors affecting personalities. Furthermore, I compare the results with SASB (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Behaviour) as a tool for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the relationship of client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 for theorizing about the new relational assessment tool in the processing of dramatherapy.

      • KCI등재후보

        『타트바상그라하』 <外境考察의 章>에 나타나는 3종의 形象說批判

        이태승(Lee, Tae Seung) 한국불교연구원 2010 불교연구 Vol.32 No.-

        샨타라크쉬타의 『타트바상그라하』는 불교사상의 입장에서 불교이외의 인도사상을 비판적으로 정립한 후기 인도불교의 중요한 저술이다. 특히 『타트바상그라하』의 제23장인 <외경고찰의 장>은 지식과 형상의 관계를 논한 중요한 부분으로, 이 장은 후대 샨타라크쉬타의 주저 『중관장엄론』이 성립되는 토대가 되기도 한다. 이 <외경고찰의장>에서는 외계의 대상에 대한 불교적 이해로서 자기인식, 유식성의 성립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세 가지 형상이 나 타나고 있다. 형상이란 외계의 대상이 인식대상으로서 의식에 표상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샨타라크쉬타는 형상도 인식주관인 지식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따라서 인식이란 지식의 자기인식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 인식을 논증하는 가운데 형상에 의거한 세가지 인식론을 거론하는데 무형상설, 유형상설, 이형상설이 그것이다. 형상을 인정하지 않는 무형상설에서는 승의와 세속의 입장에서의 차이가 설해진다. 곧 승의의 자성을 인정하는 한 인식은 불가능하고, 형상을 인정하지 않는 한 세속에서도 인식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유형상설에서는 형상을 인정한다 해도 지식과 형상의 차이가 생긴다고 한다. 곧 지식의 단일성과 형상의 다양성의 차이가 생기며, 또 지식의 정신적 성격과 형상의 물질적 성격의 차이가 생겨나게 된다. 이 형상론은 인식대상으로 나타나는 형상이 실제 외계대상과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로, 그것도 올바른 인식방법이 아니라고 말한다. 이와같이 세가지 형상에 근거한 인식론을 거론해 비판하며, 유식성의 성립,자기인식의 성립을 논증해간다. 이러한 <외경고찰의 장>에서의 논의는 후대 샨타라크쉬타의 주저『중관장엄론』의 성립에 큰 영향을 끼치고, 아울러 인도의 여러 학파들에게 불교의 중요사상을 각인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Śāntarakṣita's Tattvasaṃgraha is a very important work in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s, in which he is systemizing all theories of Indian philosophy on the basis of his Buddhist thought. Especially the 23th Chapter of <Inspecting the External Thing(Bahirarthaparīkṣā)> in Tattvasaṃgraha is dealing the problems of the relation between Vijñāna and Ākāra which are the important concepts i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t Thoughts and later this chapter become the basis in writing Madhyamakālaṃkāra that is the representative work of Śāntarakṣita. In this chapter, the theories of Svasaṃveda and Vijñāptimatratā etc as the main teachings of Buddhist thought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and in debating the other thinkers, the 3 kinds of Ākāra is being argued. Ākāra is the cognitive object in perceiving the external things. Śāntarakṣita is saying that as this Ākāra is a nature of Cognition, therefore the perception is the Self-cognition of the Vijñāna. The 3 Ākāra theories under discussion are the Nirākāra theory, the Sākāra theory and the Anyākāra theory. The Nirākāra theory is not recognizing the Ākāra and in saying that, Śāntarakṣita is pointing out the difference from the standpoint of Ultimate(Mukhyatas) and Generality(Bhaktitas). From the respect of Ultimate which is recognizing that an Ākāra is having its own svabhāva, it is impossible to recognize the Ākāra because an Ākāra could not perceive the other Ākāra. Furthermore from the standpoint of Generality that is not recognizing the Ākāra, the perception will not work. And though it is recognized Ākāra as the cognitive object in the Sākāra theory, the difference between the oneness of Vijñāna and manifoldness of Ākāra will be occuring and further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veness of Vijñāna and the materiality of Ākāra too. In the Anyākāra theory. the Ākāra as cognitive object is representing differently from the real external thing and this is not a correct perception too. Śāntarakṣita is proceeding with the arguments like these 3 Ākāra theories and proving the Svasaṃvedana and Vijñāptimatratā theories of Buddhist thought. These argumens of the Ākāra theories in the 23th chapter of Tattvasaṃgraha have the important effect in writing the Madhyamakālṃakāra and moreover provide the momentum in culminating Śāntarakṣita's philosophical thoughts.

      • KCI등재

        일본 근대 인도철학의 성립과 하라 탄잔(原坦山)의 역할

        이태승 ( Tae Seung Lee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2

        일본에서 초창기의 인도철학은 불교학 내지 불교철학의 이름으로 강좌가 개설되고 진행된 것으로, 이렇게 불교학으로서 인도철학의 전개에 절대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 바로 하라 탄잔이었다. 최초로 불교강좌를 담당한 이래 인도철학이란 이름으로서 학문적 지속이 이루어진 것에는 탄잔의 불교에 대한 열정이 있어 가능했다고 생각된다. 그는 조동종의 승려로서 메이지 유신의 폐불훼석의 시련 속에서도 불교를 위한 열정을 불태우고, 도쿄대학에 최초로 불교학 강사가 된 뒤에도 불교학과 인도철학의 정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도쿄대학에서 거의 생애의 마지막까지 강의를 담당하고, 대학의 강의를 그만둔 뒤에도 조동종의 승려로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그와 같은 탄잔의 불교에 대한 정열과 열정이 있었기에 일본 근대 폐불훼석의 불교탄압 분위기 속에서도 불교가 새롭게 인식되어 서양의 종교와 우열을 논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불교의 위상이 높아졌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탄잔에 의해 정착된 인도철학은 이후 불교학의 색채를 벗어나 독자적인 인도철학의 전개로 이어져 간다. 이러한 독자적인 인도철학의 전개로서는 1906년 다카쿠스에 의한 인도철학종교사 강좌의 개설이 꼽혀지며, 이 강좌의 개설이 실제 일본에서 본격적인 의미의 인도철학의 출범이라고 간주되는 것이다. Notwithstanding the hard times of Buddhism in early modern Japan, the establishment of the study of Buddhism was made as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at Tokyo University in 1889. The person who had an important role of formation and progression of Indian Philosophy in early times was Tanzan Hara, a monk of Soto-sect of Japanese Buddhism. He was the first lecturer of the course of Buddhism and a person that chose and used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firstly instead of the name of Buddhist philosophy. According to the his works, he took a serious view of the philosophy of Buddhism than the belief of Buddhism.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viewpoint of philosophy, Tanzan Hara used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and since then,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was used for a long time in Japan. In early times, the Indian philosophy was one of the lectures of Departement of Philosophy in Tokyo University. Going through many changes with relation to Indian Philosophy, the departement of Indian Philosophy was estabilished independently in cooperation with the other contributors, Zenjiro Yasuda and Shaku Soen etc.. Generally speaking, the beginning of Indian Philosophy in real meaning was made by Zunjiro Takakusu on the formation of the lecture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Religion in India at 1906. During the times of Meiji Restoration, the formation of the Indian philosophy was considered as a symbol of the restoration of Buddhism.

      • KCI등재
      • 한국어 문미억양 강조를 통한 향상된 음성문장 감정인식

        이태승(Tae-Seung Lee),박미경(Mikyong Park),김태수(Tae-So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인간을 상대하는 자율장치는 고객의 자발적인 협조를 얻기 위해 암시적인 신호에 포함된 감정과 태도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인간에게 음성은 가장 쉽고 자연스럽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수단이다. 지금까지 감정과 태도를 이해할 수 있는 자동시스템은 발성문장의 피치와 에너지에 기반한 특징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기존의 감정인식 시스템의 성능은 문장의 특정한 억양구간이 감정과 태도와 관련을 갖는다는 언어학적 지식의 활용으로 보다 높은 향상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문미억양에 대한 언어학적 지식을 피치기반 특징과 다층신경망을 활용하여 구현한 자동 시스템에 적용하여 감정인식률을 향상시킨다. 한국어 감정음성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4%의 인식률 향상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일본 근대의 불교가 이노우에 엔료의 활불교에 대하여 - 『불교활론서론』의 활불교를 중심으로 -

        이태승 ( Lee Tae-se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7

        메이지유신으로 시작되는 일본근대의 불교계는 메이지 초기 신불분리령에 의한 불교탄압 즉 폐불훼석으로 막대한 타격을 입었다. 이 폐불훼석은 천황중심의 신국가 건설과 관련된 신도중심의 종교이념이 결부되어, 불교계는 가히 상상할 수 없는 종교적 탄압을 경험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탄압에 대해 불교계의 반성과 새로운 시대에 부응하고자하는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한 노력의 결과 중의 하나가 갖 설립된 도쿄대학(1877년 설립)에 1879년 <불서강의>의 강좌가 개설된 것이다. 이 강좌는 후에 인도철학의 이름으로 지속되어 불교계의 학문적 성과를 드러내는 중요한 계기를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불교학의 학문적 성과를 드높이고, 사회적으로 탄압받던 불교에 대해 새로운 이해의 계기를 마련해 불교부흥의 길로 나아가게 한 대표적인 사람이 이노우에 엔료이다 특히 그가 저술한 『불교활론서론』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어 일본 사회에서 불교가 새롭게 부흥하는 기틀을 제공하였다. 이 『불교활론서론』을 통해 엔료의 활불교의 개념을 살펴보면 그가 서양철학의 입장에서 불교를 재검토하는 것, 기독교의 문제점 검토, 불교 자체의 성격에 대한 분명한 정의의 세 방향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세 방향은 후에 각각 『파사활론』, 『현정활론』, 『호법활론(활불교)』의 저술을 통해 더욱 세밀하게 고찰해 간다. 이 『불교활론서론』이 저술되던 시점에서 엔료의 입장을 살펴보면, 엔료는 전통종교로서 불교철학에 대한 가치를 재발견한 것을 명백하게 밝혔다고 할 수 있다. 곧 자신이 어려서부터 몸담았고 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 불교의 가르침에 대해 서양철학에 대한 연구의 결과 내지는 서구 기독교에 대한 연구 결과 불교의 가르침이 진리에 부합하고 온전한 종교로서 가치가 높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 따라서 현재 사물시(死物視)되는 가르침에 활기를 불어넣어 참된 진리가 현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활불교의 이념에 담겼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활불교의 이념은 후대로 갈수록 사불교와 대립적으로 쓰이는 것을 볼 수는 있지만, 활불교의 정신을 통해 불교가 진리의 가르침으로서 사회 속에서 도덕적 윤리적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생각된다. 엔료의 이러한 불교에 대한 가치의 재발견과 재활의 노력은 메이지유신 이후 침체되었던 불교계에 철학적 종교적으로 불교의 부흥을 꾀한 것으로, 불교가 일본 사회는 물론 동아시아 내지 서구제국에 그 철학적 가치를 전하는데 중요한 토대를 만들어주었다. During the early Meiji Restoration, Japanese Buddhist institutions were in the midst of the devastation by persecution, the confiscation of property, and the withdrawal of national patronage under the Shinto-centered religious policies of the Meiji government known as Haibutsu-gishaku (廢佛毁釋), or “abolishing Buddhism and destroying Shakyamuni.” During this difficult times of strife for Japanese Buddhism, many attempts were made by Japanese Buddhists to overcome their difficult conditions. Among the Japanese Buddhists striving to persevere, the most important person was Inoue Enry? (井上圓了, 1858-1919), who made an important role for contributing to the revival of Buddhism by means of his writings - especially the contents of his work, Bukkyou-katsuron-joron, which influenced many Japanese Buddhists to interpret Buddhist philosophy correctly and with a sense of pride. Inoue Enryo examined the philosophy of Buddhism from the three viewpoints: the investigation of Buddhist Philosophy from the viewpoint off the Western Philosophy, the examination of the teachings of Christianity from the viewpoint of seeking-truth, and the confirmation of the justification of Buddhist philosophy from the viewpoint of truth. After Inoue Enryo examined the three viewpoints of Buddhist Philosophy in the Bukkyou-katsuron-joron, he elaborated on the three viewpoints, respectively, in three additional books: Hasha-katsuron (破邪活論), Genjou-katsuron (顯正活論), and Kouhou-katsuron (護法活論; and later Gatsu-bukkyou, 活佛敎, published time). Reviewing at the time of the publication of the Bukkyou-katsuron-joron in 1887 (Meiji 20), Inoue Enryo tried to make clear the value of the Buddhist philosophy including the thoughts and traditions of Japanese Buddhism. Owing to the important role of Inoue Enryo in the difficult times of Japanese Buddhism during the early Meiji era, Buddhist thought was revived and studied more systematically through many other Buddhist institutions. Inoue Enry? also founded the Toyo University (東洋大學; first originally 哲學館) based on the Buddhist philosophy.

      • KCI등재후보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 연구 - 지역사회·대학교 협력모델 제안 -

        이태승(Lee, Tae Seung),이지홍(Lee, Ji Hong),윤선희(Yoon, Sun Hee)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0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2-1

        본 연구는 노년과 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안정적·지속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의 지역사회·대학교의 협력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의 가치는 무엇이며, 세대교류를 통한 기대효과는 무엇인가? 둘째,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 연극교육의 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문화예술교육에 있어서 지역사회·대학교 협력 전략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사례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 사례연구로, 예술교육 관련 문화예술단체 2인, 대학협력 관련 문화예술단체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했으며, 2020년 현재 지역사회와 대학교의 협력을 중심으로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 연극교육을 기획하고 있는 지역 문화예술단체와 지역 활동가, 주민, 인근 대학 예술학과 학생 등 지역 문화예술 네트워크 20명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면접을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대교류의 가치’, ‘연극교육 전략’, ‘지역사회·대학교 협력 방향’이라는 3개의 주제와 이에 따른 8개의 하위주제와 28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사례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의 가치는 서로의 세대가 공존하고 있고 세대 간 차이의 존중을 통하여 교감하고 소통할 수 있다. 둘째, 연극교육의 경험을 통한 세대 간 만남은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한 배움과 경험적 삶의 지혜를 통해 서로에게 필요한 사회적 관계망 형성이 가능하다. 셋째, 대학 문화예술 자원을 지역사회와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청년 예술가로서 자긍심을 고취하는 한편 현장 체험을 통한 직업 탐색을 통해 청년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넷째, 지역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안정적 협력은 시민 예술의 자생력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동력을 제공한다. 사례연구에서 도출된 28개의 개념을 Communities of Practice의 원칙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청년 간 세대교류를 위한 연극교육의 지역사회·대학교 협력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의 기관과 대학, 예술가의 협업을 통하여 청년과 노년의 세대교류를 위한 역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협력모델은 지역사회·대학교 간의 협력을 통한 노년·청년 간의 세대교류에 보다 효율적인 진행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ways to promote drama-theatre education for generation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 Moreover, it established a cooperative model of the university-community of theater education for generation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th as a strategy to realize it stably and continuously. Three study questions were set up to realize these research objectives. Firstly, what is the value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old and young people, and what are the expected effects of generational exchange? Secondly, what is the strategy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old and young people and drama-theatre education? Thirdly, what is the community/university cooperation strategy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qualitative case studies(Stake, 2000),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candidates as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related to art education and three candidates as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related to university cooperatio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candidates as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including local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local activists, residents, and students of art departments at nearby universities. As a result, three themes, Value of Generation Exchange , Active Education Strategy and Direction of Community and University Cooperation , and eight sub-topics and 28 concepts were derived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value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th is that each other s generations coexist and can communicate and correspond through respect for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Secondly, intergenerational encounters through the experience of drama-theater education can form the social networks necessary for each other through learning about different cultures and the wisdom of empirical life. Thirdly, it is possible to create jobs for young people through job search through field experience while promoting self-esteem as a young artist, expecting to be able to share university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with the local community. Fourthly, the re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community with stable cooperation can supply of power for strengthening the self-sustaining power of civil art. The 28 concepts derived from case studies were analyzed by practice in the principles of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the community-university cooperative model of drama-theater education for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 people was proposed. Accordingly, the cooperation of local institutions, universities, and artists resulted in the role of generational exchange between young and old age. This cooperative model will enable more efficient progress in the generation exchange between young and old ag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ommunities and univers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