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 문미억양 강조를 통한 향상된 음성문장 감정인식

        이태승(Tae-Seung Lee),박미경(Mikyong Park),김태수(Tae-So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인간을 상대하는 자율장치는 고객의 자발적인 협조를 얻기 위해 암시적인 신호에 포함된 감정과 태도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인간에게 음성은 가장 쉽고 자연스럽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수단이다. 지금까지 감정과 태도를 이해할 수 있는 자동시스템은 발성문장의 피치와 에너지에 기반한 특징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기존의 감정인식 시스템의 성능은 문장의 특정한 억양구간이 감정과 태도와 관련을 갖는다는 언어학적 지식의 활용으로 보다 높은 향상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문미억양에 대한 언어학적 지식을 피치기반 특징과 다층신경망을 활용하여 구현한 자동 시스템에 적용하여 감정인식률을 향상시킨다. 한국어 감정음성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4%의 인식률 향상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에 나타난 실담범자(悉曇梵字)에 대하여

        이태승 ( Tae Seung Lee ) 인도철학회 2011 印度哲學 Vol.0 No.32

        동아시아에 전해진 불교경전은 인도의 언어인 범어를 표기한 문자 즉 범자로 기록되어 전해졌다. 이렇게 전해진 범자는 일반적으로 실담 범자라 불리고 있으며, 이것은 동아시아 실담학에 큰 영향을 끼친 중국의 지광이 저술한 『실담자기』에 의거한 것이라 생각된다. 즉 『실담자기』는 중국에서 만들어졌지만 일본에 전승되어 많은 주석서가 저술되는 등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렇게 동아시아에서는 일본 등을 중심으로 실담범자의 연구전통이 전승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실담범자의 전통이 계승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곧 조선시대에 판각되어 유통된 『진언집』에 나타난 실담범자의 전통은 우리나라에서도 실담범자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계속되고 있던 것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진언집』이 시대에 따라 판각되어 전승되는 까닭에 조선시대의 실담범자 모습은 잘 확인된다. 이렇게 확인된 조선시대 실담범자를 고려대장경에 나타나는 실담범자와 비교 대조해 봄으로써 한국의 실담범자 전통을 재확인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Among the Bum-ja(梵字, Sanskrit letter), letters for writing Sanskrit language, especially Sil-dam-bum-ja (Siddham letter) is the representative one which has introduced to East Asia. The texts of Buddhist canons from India are 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s in East Asia. Sil-dam-bum-ja, namely, is the presentative letter which writes those Indian Buddhist canons written in Indian scripts. From the Common Era,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made translations of Buddhist canons over the years. Though Sanskrit manuscripts as the original canonical text were not known, the scripts written in those canons have become known later as Sil-dam-bum-ja. I think that the reason to be known as Sil-dam-bum-ja is an influence of Sil-dam-ja-gi(悉曇字記) written by Chinese monk Ji-kwang(智廣) in Tang dynasty. Especially this book played a significant role on establishing the basis of the studies on Sil-dam-bum-ja. Though it is hard to make certain that the book has really introduced in Korea or China because there are not any commentaries or researches left, but the tradition in japan played a huge role on making canonical languages as Sil-dam-bum-ja. Compared to Japanese tradition, in Korea there were also a tradition of studies an Sil-dam-bum-ja as we can find in Jin-eon-jip (眞言集) etc. in Chosun dynasty. The explanations of Sil-dam-bum-ja in Jin-eon-jip indicate that there were some traditions of studies on Sanskrit letter or Sanskrit language in Korea. Based on the restored Sanskrit letters in Jin-eon-jip which I tried to do it previously, I will restore the traditional figure of Sanskrit letters used in Korea by confirming the Sil-dam-bum-ja engraved in the Tripitka Koreana at first, and comparing the Sil-dam-bum-ja with other Sanskrit letter in Koryo and Chosun dynasty and Japanese Tradition. According to my inspection, we can find some significant points as following, (1) Both of the Sil-dam-bum-ja represented in the Tripitaka Koreana and in relics have almost same writing system. It can be regarded that the writing system of Sanskrit letter in the Tripitka Koreana was a standard of the most texts of relics which were written in Sil-dam-bum-ja at that period. (2) The System of Sil-dam-bum-ja in the Tripitaka Koreana is almost same as the system of Sanskrit letter in Chosun dynasty as well as in Koryo dynasty. It means that the system of Sanskrit letter of Korea was developed and had been based on coherent writing system until Chosun dynasty. (3) System of Sanskrit letter of Korea throughout Koryo and Chosun period maintained and preserved their own tradition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Japanese one. Especially the difference of the figure of Sanskrit letters between Korea and Japan show their own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the tradition of Sil-dam-bum-j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타트바상그라하』 <外境考察의 章>에 나타나는 3종의 形象說批判

        이태승(Lee, Tae Seung) 한국불교연구원 2010 불교연구 Vol.32 No.-

        샨타라크쉬타의 『타트바상그라하』는 불교사상의 입장에서 불교이외의 인도사상을 비판적으로 정립한 후기 인도불교의 중요한 저술이다. 특히 『타트바상그라하』의 제23장인 <외경고찰의 장>은 지식과 형상의 관계를 논한 중요한 부분으로, 이 장은 후대 샨타라크쉬타의 주저 『중관장엄론』이 성립되는 토대가 되기도 한다. 이 <외경고찰의장>에서는 외계의 대상에 대한 불교적 이해로서 자기인식, 유식성의 성립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세 가지 형상이 나 타나고 있다. 형상이란 외계의 대상이 인식대상으로서 의식에 표상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샨타라크쉬타는 형상도 인식주관인 지식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따라서 인식이란 지식의 자기인식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 인식을 논증하는 가운데 형상에 의거한 세가지 인식론을 거론하는데 무형상설, 유형상설, 이형상설이 그것이다. 형상을 인정하지 않는 무형상설에서는 승의와 세속의 입장에서의 차이가 설해진다. 곧 승의의 자성을 인정하는 한 인식은 불가능하고, 형상을 인정하지 않는 한 세속에서도 인식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유형상설에서는 형상을 인정한다 해도 지식과 형상의 차이가 생긴다고 한다. 곧 지식의 단일성과 형상의 다양성의 차이가 생기며, 또 지식의 정신적 성격과 형상의 물질적 성격의 차이가 생겨나게 된다. 이 형상론은 인식대상으로 나타나는 형상이 실제 외계대상과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로, 그것도 올바른 인식방법이 아니라고 말한다. 이와같이 세가지 형상에 근거한 인식론을 거론해 비판하며, 유식성의 성립,자기인식의 성립을 논증해간다. 이러한 <외경고찰의 장>에서의 논의는 후대 샨타라크쉬타의 주저『중관장엄론』의 성립에 큰 영향을 끼치고, 아울러 인도의 여러 학파들에게 불교의 중요사상을 각인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Śāntarakṣita's Tattvasaṃgraha is a very important work in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s, in which he is systemizing all theories of Indian philosophy on the basis of his Buddhist thought. Especially the 23th Chapter of <Inspecting the External Thing(Bahirarthaparīkṣā)> in Tattvasaṃgraha is dealing the problems of the relation between Vijñāna and Ākāra which are the important concepts i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t Thoughts and later this chapter become the basis in writing Madhyamakālaṃkāra that is the representative work of Śāntarakṣita. In this chapter, the theories of Svasaṃveda and Vijñāptimatratā etc as the main teachings of Buddhist thoughts are presented and discussed and in debating the other thinkers, the 3 kinds of Ākāra is being argued. Ākāra is the cognitive object in perceiving the external things. Śāntarakṣita is saying that as this Ākāra is a nature of Cognition, therefore the perception is the Self-cognition of the Vijñāna. The 3 Ākāra theories under discussion are the Nirākāra theory, the Sākāra theory and the Anyākāra theory. The Nirākāra theory is not recognizing the Ākāra and in saying that, Śāntarakṣita is pointing out the difference from the standpoint of Ultimate(Mukhyatas) and Generality(Bhaktitas). From the respect of Ultimate which is recognizing that an Ākāra is having its own svabhāva, it is impossible to recognize the Ākāra because an Ākāra could not perceive the other Ākāra. Furthermore from the standpoint of Generality that is not recognizing the Ākāra, the perception will not work. And though it is recognized Ākāra as the cognitive object in the Sākāra theory, the difference between the oneness of Vijñāna and manifoldness of Ākāra will be occuring and furtherm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veness of Vijñāna and the materiality of Ākāra too. In the Anyākāra theory. the Ākāra as cognitive object is representing differently from the real external thing and this is not a correct perception too. Śāntarakṣita is proceeding with the arguments like these 3 Ākāra theories and proving the Svasaṃvedana and Vijñāptimatratā theories of Buddhist thought. These argumens of the Ākāra theories in the 23th chapter of Tattvasaṃgraha have the important effect in writing the Madhyamakālṃakāra and moreover provide the momentum in culminating Śāntarakṣita's philosophical thoughts.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최초의 인도철학사 강의록에 대한 일고찰

        이태승 ( Lee Tae Seung ) 인도철학회 2016 印度哲學 Vol.0 No.48

        메이지유신으로 시작되는 일본 근대기에 불교의 체계적인 학문연구는 인도철학의 이름으로 도쿄대학에서 시작되었다. 곧 일본 근대기에 있어 인도철학은 불교학의 다른 이름으로 사용되고 마침내 인도철학 고유의 학문에 대한 연구로 정착한다. 이렇게 순수한 인도철학은 도쿄대학 내에서 다카쿠스 준지로(高楠順次郞)에 의한 인도철학종교사 강좌가 개설된 것에 연유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이해였지만, 실제 그 이전에 순수인도철학에 대한 연구와 강의가 이루어진 사실이 새롭게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마니시 준기치(今西順吉) 씨가 3편에 걸친 논문에서 밝히고 있는 것으로, 이 논문에 의거하면 다카쿠스의 강좌가 이루어지기 14, 5년전에 도쿄대학 최초의 일본인 철학과 교수인 이노우에 데츠지로(井上哲次郞)에 의해 인도철학의 강좌가 이루어졌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노우에 데츠지로는 도쿄대학 개교와 함께 입학하고 제1기 졸업생으로서 독일유학을 거쳐 최초로 도쿄대학 철학과 교수가 되었지만, 그에 대해서는 지금도 상당히 부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인 것 같다. 하지만 이마니시씨가 밝히고 있는 논문에 의거하면 특히 그의 독일 유학은 새로운 학문으로서 인도철학을 연구하는 시기이며, 따라서 귀국 후 도쿄대학에서도 인도철학을 강의하고 인도철학의 이해증진에 크게 공헌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본 논문은 이마니시씨의 논문에 대한 소개를 기본으로 하여 일본에서 최초로 강의된 인도철학사에 대한 일면을 고찰한다. 이를 통해 다카쿠스이전에 일본에서 인도철학사가 강의된 역사적 사실을 분명히 하고, 그 강의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A critical and systematical study on the Buddhist thoughts began under the name of course, Indian philosophy in Tokyo University in early Modern Japan departured with the Meiji Innovation.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used as same as meaning of Buddhist studies in those days in Japan, was slowly being extended to include not only the study of the pure Indian philosophy, but also the study of Buddhist thoughts. According to the general understanding, Takakusu, Junjiro(高楠順次郞) was an important person for making a lecture of the pure Indian Philosophy for the first time in Tokyo Univ.. H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the pure Indian Philosophy as well as Buddhist studies. And Kimura, Taiken(木村泰賢) also wrote an important book on Indian Philosophy and received award from the Institution of Emperial Scholar. The new materials, however, which were made known for the first lecture of history of the pure Indian Philosophy before Takakusu in Tokyo Univ. were found and published in the form of paper by Imanishi, Junkichi(今西順吉). His papers say that the first lecturer of pure Indian Philosophy in Tokyo Univ. was Inoue, Tetsujiro(井上哲次郞) who was the first Japanese professor of Department of Philosophy in Tokyo Univ.. Inoue, Tetsujiro was famous for the collision of the Education and Religion as an important issue of Modern Japanese society, then, the fact of his lecture of Indian Philosophy was forgotten for a long time. Imanishi says that during the six years(1884-1890) of the study in Deuch(Germany), Inoue had studied Indian Philosophy as a new study in Europe and had learned Sanskrit language. Though Inoue`s lectures of the pure Indian Philosophy was forgotten for a long time, we can understand the fact that Inoue played a key role to settle down the study of the pure Indian Philosophy through translating a lots of technical terms about Indian Philosophy into Japanese language contributed to the later scholars to study on Indian Philosophy in Japan.

      • SCOPUSKCI등재

        증례 : 담관 낭종 환자에서 발생한 선종 기원의 조기 담관암 1예

        이태승 ( Tae Seung Lee ),김해경 ( Hae Kyung Kim ),안홍민 ( Hong Min Ahn ),이우주 ( Uh Joo Lee ),최영철 ( Young Chul Choi ),전병민 ( Byung Min John ),박태일 ( Tae Il Park ),구진회 ( Jin Hoi Koo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4 No.1

        Choledochal cyst is an uncommon premalignant anomaly. The morphology and pathogenesis of the premalignant lesion of cholangiocarcinoma arising from the choledochal cyst has not been well described. Herein, we report a rare case of bile duct adenoma arising from choledochal cyst with anomalous union of pancreaticobiliary duct (AUPBD). 50-year-old woman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the complaint of epigastric pain. She had received common bile duct (CBD) exploration and choledocholithotomy and cholecystectomy 3 months earlier under the diagnosis of multiple CBD stones. Intraoperalive cholangiogram was not remarkable except CBD dilatation at that time.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revealed choledochal cyst with AUPBD and round filling defect which disappeared easily on the balloon cholaniogram. On magnetic resonance cholangiopancreatography, the filling defect was confirmed as 2 cm polypoid mass attached to the distal bile duct wall. At laparotomy, a soft whitish mass was palpable on the lower CBD. On histological examination, adenoma with focal carcinoma change arising from choledochal cyst was diagnosed.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55-59)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근대 인도철학의 성립과 하라 탄잔(原坦山)의 역할

        이태승 ( Tae Seung Lee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2

        일본에서 초창기의 인도철학은 불교학 내지 불교철학의 이름으로 강좌가 개설되고 진행된 것으로, 이렇게 불교학으로서 인도철학의 전개에 절대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 바로 하라 탄잔이었다. 최초로 불교강좌를 담당한 이래 인도철학이란 이름으로서 학문적 지속이 이루어진 것에는 탄잔의 불교에 대한 열정이 있어 가능했다고 생각된다. 그는 조동종의 승려로서 메이지 유신의 폐불훼석의 시련 속에서도 불교를 위한 열정을 불태우고, 도쿄대학에 최초로 불교학 강사가 된 뒤에도 불교학과 인도철학의 정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도쿄대학에서 거의 생애의 마지막까지 강의를 담당하고, 대학의 강의를 그만둔 뒤에도 조동종의 승려로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그와 같은 탄잔의 불교에 대한 정열과 열정이 있었기에 일본 근대 폐불훼석의 불교탄압 분위기 속에서도 불교가 새롭게 인식되어 서양의 종교와 우열을 논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불교의 위상이 높아졌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탄잔에 의해 정착된 인도철학은 이후 불교학의 색채를 벗어나 독자적인 인도철학의 전개로 이어져 간다. 이러한 독자적인 인도철학의 전개로서는 1906년 다카쿠스에 의한 인도철학종교사 강좌의 개설이 꼽혀지며, 이 강좌의 개설이 실제 일본에서 본격적인 의미의 인도철학의 출범이라고 간주되는 것이다. Notwithstanding the hard times of Buddhism in early modern Japan, the establishment of the study of Buddhism was made as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at Tokyo University in 1889. The person who had an important role of formation and progression of Indian Philosophy in early times was Tanzan Hara, a monk of Soto-sect of Japanese Buddhism. He was the first lecturer of the course of Buddhism and a person that chose and used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firstly instead of the name of Buddhist philosophy. According to the his works, he took a serious view of the philosophy of Buddhism than the belief of Buddhism.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the viewpoint of philosophy, Tanzan Hara used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and since then, the name of Indian Philosophy was used for a long time in Japan. In early times, the Indian philosophy was one of the lectures of Departement of Philosophy in Tokyo University. Going through many changes with relation to Indian Philosophy, the departement of Indian Philosophy was estabilished independently in cooperation with the other contributors, Zenjiro Yasuda and Shaku Soen etc.. Generally speaking, the beginning of Indian Philosophy in real meaning was made by Zunjiro Takakusu on the formation of the lecture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Religion in India at 1906. During the times of Meiji Restoration, the formation of the Indian philosophy was considered as a symbol of the restoration of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