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을 통해 본 지역재생사업의 성과와 제안 - 금산읍 중심지 활성화 사업을 중심으로 -

        이태겸,정남식 한국지적정보학회 2019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Rural Center Revitalization Project based on analysis of conflicts and cooperative processes arising in the relevant site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gional regeneration policy. To this end, we analyzed the achievements and drawbacks of the project such as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the conflict management of local people through empirical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for five yea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rough the project to revitalize the central area of Geumsan-eup, the economic function and regional services were revived and entities of various local activities were discovered. Although personal and structural conflicts occurred in the process, these were resolved with the expansion of link with external social capital and the formation of bridging social capital. The project showed the validity of the inter-ministerial cooperation and regional integration plan. Furthermore, it highlighted the need to promote of regional regeneration by collaborative planning and the transition from a demand-centered regional regeneration to an asset-centered one.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regional regeneration policies through in-depth analysis of local regeneration cases, and can serve as a basis for relevant follow-up studies. 연구의 목적은 지역재생 사업의 일환인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지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협력 과정 분석을 통해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지역 재생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년간의 실증적 관찰과 참여를 통해 지역의 사회적 자본 형성과정, 주민 갈등관리 등 사업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금산읍 중심지 활성화 사업을 통해 쇠퇴하던 중심지의 경제 기능 및 지역서비스 기능이 살아나고 다양한 지역활동 주체가 새롭게 발굴되었다. 추진 과정에서 개인적·구조적 갈등이 발생하였으나 외부의 사회적 자본과의 연계를 확대하고 교량형 사회자본이 형성되면서 갈등이 관리되기 시작하였다. 사업추진을 통해 부처 간 협력 및 지역통합계획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협력적 계획을 통한 지역재생과 수요중심에서 자산중심 지역재생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재생 사례 분석을 통해 지역재생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관련 후속 연구들의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선조 토지제도와 인식을 통해 본 보길도 윤선도 원림 조영 배경 연구

        이태겸,김한배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2

        Based on the land system of Joseon Dynasty and contemporary perception of land, this study analyzed the reason Yun seon-do entered Bogildo Island and a characteristic of Buyong-dong garden.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is study interpreted the purpose that Yun seon-do had built Buyong-dong garden at a socio-economic perspective. The land such as Sarlimchontack(山林川澤) is recognized as a commonland in the Joseon Dynasty. Except the reserved area(禁山), however, actions to make commonland private through Ib-an(立案) and protecting graves was frequent. Bogildo Island was a place difficult to build a private garden because the island had been appointed a reserved forest to protect pine trees. Right after Byungjahoran, Yun seon-do entered the island on the pretext of protecting forests, and built Buyong-dong garden. The island was easy to move to manage private farms as well as possessed abundant forest resources and resources that have economic value such as fish and salt. It indicates that, unlike his pretext, economic benefits have also been considered. 본 연구는 조선시대 토지제도 및 그 시대 사람들의 토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고산 윤선도의 보길도 입도 배경 및 부용동원림의 조성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부용동 원림의 조영의도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조선시대 토지제도와 인식을 살펴보면, 산림천택(山林川澤)의 토지는 공유지였다. 그러나 금산(禁山)을 제외한 지역은 입안(立案)과분묘의 금양 등을 통해 공유지를 사점하려는 행위가 활발했다. 조선시대 보길도는 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금산으로 지정되어 있었기때문에 민가정원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윤선도는 병자호란 직후, 산림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금산이었던 보길도에입도하고 부용동 원림을 조성하였다. 보길도는 가문의 전장 관리를 위해 주변지역으로의 이동이 용이한 지역이며, 산림 자원이 풍부하고, 어염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원도 확보할 수 있는 섬이다. 이처럼 윤선도는 금산 보호라는 공적인 명분으로 보길도에 입도하였으나산림 및 어염자원을 획득할 수 있고 가문의 전장 확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경제적 이점도 고려하였을 것이라 추정된다.

      • KCI등재

        능동적 Geo-Targeting을 위한 5G 기반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요구사항 및 시나리오 연구

        이태겸,강승우,김예원,오승희,조오현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1

        최근 이동통신기술의 발전과 높은 휴대전화보급률 덕분에 접근성이 높은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에 대한 기 술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COVID-19 감염병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재난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현재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는 복잡성이 낮고 효율적이다. 하지만 수신지역이 불 명확하여 불필요한 메시지의 반복수신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 분석 을 통하여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개선을 위한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단말의 능동적 재난문자 수신이 가능한 Active Geo-Targeting을 이용한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 시나리오를 실현하기 위하여 새 로 정의된 CIB(Control Information Block)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고안한다. Due to the recent advancements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nd high mobile phone penetration rate, researches on emergency text alert service for enhancing the accessibility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e worldwide spread of COVID-19 further accelerates the efforts for the alert services. Existing emergency text services are simple and efficient. However, unclear reception area may cause unintended alert messages frequently. In this paper, we analyze survey results regarding the 5G-based text-alert services to derive service requirements for technological advancement. Then we propose an emergency disaster text service scenario using Active Geo-Targeting that enables active disaster text reception of terminals. In addition, we newly define an interface protocol that is CIB(Control Information Block) to operate the proposed scenario.

      • KCI등재

        조선조 사찰림의 영역과 관리에 관한 연구 - 세계유산 ‘산사’를 중심으로 -

        이태겸 한국지적정보학회 2019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1 No.1

        Aimed at Korean Sansa, this study analyzed the exten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emple forests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land systems and the forests in the ancient documents of Joseon, the formation process, extents and functions of the temple forests were considered. By analyzing the extent of them with the geospatial information, we are allowed to define the areas of Sansa. And the visibility of a hermitage in Sansa can specify the qualifications to be a proper place for the management of the temple forests. To enhance the values of Sansa as World Heritage, this study analyzed the extents and functions of the temple forests which were important resources of Sansa.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data to preserve and manage other similar types of heritages in the future. It can be also used as a research method for the analysis of traditional spaces, interpretations for ancient documents and geospatial information in a complementary manner. 본 연구는 세계유산에 등재된 한국 산사를 대상으로 조선조 사찰림의 범위와 공간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조선조의 고문서에 나타난 토지제도와 산림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사찰림의 형성과정 및 범위와 기능을 고찰하였다. 이를 지형공간정보와 비교분석하여 사찰림의 영역을 특정하고, 산사 내 암자에서의 가시권을 분석하여 사찰림 관리 처소로서 암자의 입지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산사의 중요한 자원인 사찰림의 영역과 기능을 분석하여 산사의 세계유산적 가치를 강화하고자 하였고, 향후 관련 유산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고문헌 자료와 지형공간정보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한 연구로 이는 전통공간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ESG관점에서 본 공공부문 워케이션 정책의 현황 및 함의

        이태겸,박성현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3 GRI 연구논총 Vol.2023 No.-

        현재 정부 및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체류형 관광, 워케이션 등과 같은 관계인구 및 체류인구 증가, 지역활성화 프로그램은 공공부문에게는 직접적인 ESG 행정 실현으로, 민간에게는 이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ESG 경영의 실행으로 여기기도 한다. 즉, 지역 활성화 및 지역사회를 돕는 프로그램인 워케이션은 ESG 중 ‘S’의 실현측면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기업과 공공부분의 ESG 경영, 워케이션 모두 시행 초기로, 워케이션 분야에서 ESG는 아직은 홍보나 보여주기식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워케이션의 추진 현황을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ESG의 관점에서의 워케이션 정책과 사업의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국내 워케이션 정책과 사업 대부분이 공공부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연구의 대상은공공부문에서 추진하고 있는 워케이션 사례로 한정하였다. 분석결과, 거제 아웃도어 아일랜드 워케이션 사례에서는 지역의 자연환경을 적극 활용하여 청년창업과 활동을 지원하고 있는사례로,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존중하며 지역의 정체성을 구축하여 지역사회와 환경, 문화가 상호작용하는 방법에 대한 모범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거버넌스 측면에서 ㈜공유를위한창조는 민·관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발전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는 적극적이고 투명한 기업 지배구조의 구축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해양수산부와 다수 지자체는 ㈜ 스트리밍하우스를 통해 워케이션 사업을 위탁운영한다. 기업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근로자의워라밸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좋은 복지제도로 활용한다. 두미도 섬택근무 사례는 원격 근무가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환경 친화적이며 사회적 책임을 갖춘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이렇게 ESG 측면에서의 프로젝트들은 각자의 독특한 방식으로 지역과 기업, 사회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어 내고 있다. 각 프로젝트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에서의 가치를 지향하며, 고도의 사회적 책임과 투명한 거버넌스를 통해 현대 사회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The current government and local initiatives, such as stay-type tourism and workation,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resident and stay populations, and regional revitalization programs. These programs are seen as directly realizing ESG administration in the public sector and, for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ing in such programs is considered an execution of ESG management. Specifically, workation programs, aimed at supporting regional activation and local communities, are perceived as contributing to the 'S' aspect of ESG realization. However, both corporate and public ESG management, as well as workation, are still in their early stages. In the field of workation, ESG remains at a promotional or superficial level.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workation in Korea, focusing on cases in the public sector, considering that most domestic workation policies and projects are conducted by the public sector. Analyzing the results, the Outdoor Ireland workation case in Geoje actively utilizes the local natural environment to support youth entrepreneurship and activities. This case respects the region's characteristics and culture, building a unique identity and presenting a model case for the interaction between local communities, the environment, and culture. From a governance perspective, Share Creation Corporation explores sustainable regional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public-private collaboration, indicating a commitment to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active and transparent corporate governance.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several local governments have entrusted the workation business to Streaming House Co., Ltd. By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companies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and use it as a beneficial welfare system for improving the work-life balance and quality of life of their employees. The remote working case on Dumi Island is evaluated as a project that contributes to regional developmen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s social responsibility. In summary, these ESG-oriented projects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unique interactions between regions, businesses, and society. Each project aims for values in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aspects, demonstrating a high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transparent governance to meet diverse demands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5G 기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요구사항 및 시나리오 연구

        이태겸,오승희,조오현 한국통신학회 202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7 No.7

        Recently, various types of disasters may occurs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the worldwide spread of COVID-19 has been considered as a major problem in many countries. Currently, Cell Broadcast Ser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been used as a means to prevent the spread of such disaster damage. CB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fficient system because multiple terminals can receive messages explaining disaster situations at the same time by a single transmissio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also provide CBS-based emergency disaster text services. However, since the existing CBS system can only set the propagation range to a fixed range centered on the base station, detailed range setting is not possible. In order to identify users' inconveniences on CBS, in addition to the technical limitations of CBS, this paper analyzes surveys of citizens who have experienced CBS and public officers who are in charge of the operation of CBS with the cooperation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addition, based on the requirements derived through the surveys, three emergency disaster text service scenarios using the Geo-targeting CBS system. 최근 세계 곳곳에서 크고 작은 재난상황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세계적인 COVID-19의 전 세계적 확산은 모든 국가가 해결해야할 중대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재난피해의 확산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이동통신단말을 활용한 Cell Broadcast Service(CBS)를 활용한다. CBS는 한 번의 전송으로 다수의 단말이 재난 상황을전파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긴급재난문자 서비스에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미국, 유럽, 일본 등의 많은 국가에서도CBS 기반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CBS 시스템은 기지국의 고정된 크기의 전파 범위만을 설정할 수 있어 세부적인 범위설정이 불가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술적 한계 이외에도 CBS 사용자들의 불편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관련 대국민 설문조사와 행정안전부의 협조를 받아 실시한공무원대상 설문조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도출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Geo-targeting CBS 시스템을 활용한 3가지의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보행친화도시를 위한 한강 주요 교량의 보행환경 개선 방안 연구

        이태겸,김한배,조민균 한국경관학회 2019 한국경관학회지 Vol.11 No.1

        한강교량은 그 자체로 역사문화 및 경관 자원이며, 도시조망점이자 도시거점 네트워크로서의 가치가 높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강 교량의 보행 접근성과 이용현황을 분석하여 한강교량의 보행경관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보행다리로서의 잠재력과 실현가능성이 높은 5개의 중점연구 대상 교량을 선정하고, 문헌조사, 현장조사, 이용자 인식조사를 종합하여 시가지로부터 교량시점까지 보행접근성, 보도환경 안전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가지에서 교량으로의 접근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낮은 고속화도로 진출입 교차부 안전성, 다리의 보행 진출입부의 식별성 등이다. 인접 시가지에서 교량 보도까지 보행접근성의 안전도는 한강대교, 마포대교, 서강대교, 양화대교, 동작대교 순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교량의 보도 환경성은 마포대교, 한강대교가 비교적 양호하며, 양화대교, 동작대교, 서강대교 순으로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한강 교량으로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보행자의 가시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진입부의 선형 조정, 감속인지를 위한 바닥재질 변화, 보행자 작동의 안전신호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교량의 보행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차도 다이어트에 의한 보도의 확폭 또는 입체 보행로의 설치, 그늘쉼터나 반환지점의 설치를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한강 교량의 보행환경 개선을 통해 서울의 남북 녹지축과 보행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있으며, 보행친화도시, 경관문화도시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수치해석에 의한 지중 구속압과 말뚝-지반 경계면 강도감소계수 관계 분석

        이태겸,한중근,홍기권,유승경,Tae-Gyeom Lee,Jung-Geun Han,Gigwon Hong,Seung-Kyong You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24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23 No.1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nd confining pressure and the shear characteristics of the pile-soil interface, this study described the comparative results of the existing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FEA results using the strength reduction factor. The strength reduction factor was applied to simulate the shear behavior of the pile-soil interface in finite element analysis(FEA).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pullout resistance decreased due to the influence of low confining pressure, as the fines content increased. This trend was similar to the previous experimental research, and this FEA model simulated with the interface strength reduction factor was evaluated as reasonabl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variation in the interface strength reduction factor clearly showed that the interface strength reduction factor clearly increased at a high fines content when the confining pressure was 50kPa.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rate was low when the confining pressure was 100kPa and 150kPa. Therefore, confining pressure and fines content need to be considered in FEA to evaluate the shear behavior of the pile-soil interface.

      • KCI등재

        문화경관으로서의 섬문화유산 해석을 위한 시론적 연구 - 보길도 윤선도 원림 및 관련 해남윤씨가 유산을 중심으로

        이태겸,박성현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2019 島嶼文化 Vol.0 No.53

        Island heritage is seen as cultural landscape globally. And this value is gradually understood and preserved. Island heritage is a living one that has been closely linked to nature, society, culture, and human activities of the islan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s an preliminary study searching for the world heritage value of the island heritage,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of the world heritage and related discussions. As a case study, Yun seon-do’s Garden heritage in Buyong-dong, Bogil-do was interpreted as a cultural landscape around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area.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interpretation on cultural landscape that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the partial and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heritage. By interpreting the island heritage from a cultural and landscape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stereoscopic value of island heritage that is distributed apart but is organically linked. This study interprets island heritage in an integrated perspective and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for registering world heritage of island heri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