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및 의미 있는 활동참여가 작업균형에 미치는 영향

        이춘엽,박영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ction of health promotion and 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on occupational balance of college students major in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A survey of 198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22 to May 2023. In order to confirm each variab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HPLP), Korean version of the 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Survey (K-EMAS), and Occupational Balance Questionnaire-Korean (OBQ-K) were us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for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for data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effect of action of health promotion and 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on occupational balance. Results : The action of health promotion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students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reliance of others, followed by self realization. Each variab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action of health promotion explained the level of occupational balance by 43.2%, and it was found that self realization and reliance of others had influence on occupational balance. 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explained the level of occupational balance by 58.9%, and the usefulness of social activities and exhibition of individual ability had influence on occupational balance. Conclusion : It was confirmed that the occupational balance of students who practice self realization and exhibition of individual ability well, maintain a comfortable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where they can provide help is high.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ed factors to improve the occupational balance of college students. 목적 :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및 의미 있는 활동참여가 작업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부터 2023년 5월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각 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건강증진행위(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HPLP), 한국판 의미 있는 활동참여(Korean version of the Engagement Meaningful Activity Survey; K-EMAS), 한국판 작업균형 설문지(Occupational Balance Questionnaire-Korean; OBQ-K)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각 변인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를 사용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 및 의미 있는 활동참여가 작업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는 대인지지관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자아실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건강증진행위는 작업균형 수준을 43.2% 설명하였고, 자아실현과 대인지지관계가 작업균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 있는 활동참여는 작업균형 수준을 58.9% 설명하였고, 사회활동의 유용성과 개인의 역량발휘 모두 작업균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자아실현과 개인의 역량발휘를 잘 실천하고, 다른 사람과 편안한 관계를 유지하며 자신이 도움을 제공해줄 수 있는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학생의 작업균형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작업균형 향상을 위한 요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에 따른 여가활동과 자기효능감

        이춘엽,박영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8 No.3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에 따른 여가활동과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동년 6월까지 설문조사방법을 실시하였다. 전라지역과 경상지역의 대학생 235명 을 대상으로 감각처리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을 사용 하였고, 여가활동을 알아보기 위해 여가활동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척도 (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다. 대학생의 여가활동 빈도를 파악하고, 감각처리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빈도와 자 기효능감, 감각찾기 유형의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을 알아보았다. 결과 : 대학생의 감각처리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빈도 및 자기효능감을 보면, 여가활동 빈도는 감각찾기 유형만 통계학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은 모든 감각처리유형의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감 각찾기 유형의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은 헬스, TV시청, 쇼핑, 인터넷 검색과 웹서핑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나타내었다(p<.05, p<.01). 결론 : 대학생의 감각찾기 유형에서 특성에 따라 여가활동과 자기효능감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대학생의 여가활동을 장려하고 그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각처리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중재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isure activitie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sensory processing feature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June, 2018. A total of 235 university students in Jeolla and Gyeongsang area participated. We used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s to investigate sensory processing feature, Leisure Activity Questionnaires to examine leisure activities, and Self-Efficacy Scale for self-efficacy. This study identified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and self-efficiency according to the sensory processing feature, and the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feature of sensory seeking. Results : For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ie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sensory processing feature of university students, only sensory seeking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leisure activity frequency, and the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eature of all types of sensory processing (p<.05).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feature of sensory seeking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ce in gym, watching TV, shopping, internet search and web surfing (p<.05, p<.01). Conclusion : According to sensory seeking feature of university students, leisure activities and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der to encourage leisure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 interventional approach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will be needed.

      • KCI등재

        보행이 가능한 편마비 장애인의 가정환경수정을 위한 지침 개발

        이춘엽,안덕현,감경윤,윤태형,김태훈,장문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1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guidelines that will be used as a recommendation when occupationaltherapists intervene in a home modification for the walking of disabled people with hemiplegia. Methods: Five experts conducted a Delphi Study.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using open questions, the secondsurvey was conducted using 4-point closed questions through a survey tool using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and a prior study. The third survey provided the subjects the opportunity to revise their opinions.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a total of 96 items were selected, excluding 31 items with a minimum scoreof CVI 0.78 points or lower and a convergence of 0.50 points or higher. When the contents of each item weredivided into components, 49 were found to show functional support, 34 were easy to move and access, 23 wereaccessible, and nine regarded the functions and efficiency of the space. Conclusion: These guidelines contain specific details necessary to conduct a home modification intervention, whichwill be used actively in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목적 : 본 연구는 보행이 가능한 편마비 장애인의 가정환경수정 중재 자료로 활용될 지침을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1차 조사는 모두 개방형 질문을 사용하여실시하였고, 2차 조사는 1차 조사 결과와 선행 연구를 기본으로 하여 조사도구를 만들어 실시하였으며,4점 척도의 폐쇄형 질문을 사용하였다. 3차 조사는 본인의 의견에 대해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내용 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 최소값 0.78점 미만 및 수렴도 0.50점초과인 31개의 항목을 제외하고, 총 96개의 항목을 지침으로 선정하였다. 이는 각 항목의 내용을 요소로 나누었을 때, 기능적 지원성은 49개, 이동과 출입의 용이성은 34개, 접근성은 23개, 공간의 기능과효율성은 9개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지침은 가정환경수정 중재를 실시할 때 필요한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지역사회작업치료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문적 작업치료사 양성을 위한 교육운영 플랫폼 개발의 기초 연구

        이춘엽,정남해,김희정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ystematic educational operation platform by collecting expert opinions so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can use continuing education well as a means to become professional occupational therapists in a particular field. Methods : A Delphi study was conducted with 23 experts on continuing education courses in common areas, elderly or dementia, community-based, physical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ducted in 2019 and 2020. The first Delphi investigated the suitability of the course as a professional continuing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 level of education. In the second Delphi, we derived the final platform by verifying its suitability with verification of its content validity. Results : As a result, 87 items were derived for common areas, 53 items for elderly or dementia, 66 items for community-based, 66 items for physical rehabilitation, and 85 item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ain contents included the expertise need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the role in various fields, the solution of difficulties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topic of preparing for the future. Conclusion :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presenting an educational operation platform for training professional occupational therapists as a basic study. It is hoped that the optimal education operation platform will be developed to strengthen professional skills of occupational therapists efficiently through future research.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가 전문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수교육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체계적인 교육운영 플랫폼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2019년과 2020년에 시행한 공통영역, 노인치매, 지역사회, 신체재활, 발달장애 영역의 보수교육 강좌에 대하여 전문가 23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1차 델파이에서는 해당 강좌의 전문 보수교육으로서의 적합성 여부와 적절한 교육 수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차 델파이에서는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최종 플랫폼을 도출하였다. 결과 : 최종적으로 공통영역은 87항목, 노인치매는 53항목, 지역사회는 66항목, 신체재활은 66항목, 발달장애는 85항목을 도출하였다. 주요 내용은 작업치료사들에게 필요한 전문지식, 다양한 분야에서의 역할과 임상에서 많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해결, 미래를 준비하는 주제 등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기초연구로서 전문적 작업치료사 양성을 위한 교육운영 플랫폼을 제시한데 의미가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하여 작업치료사들이 전문역량을 효율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최적의 교육운영 플랫폼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기억전략 프로그램이 정상 노인의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이춘엽,류승민,김승환,공도현,이대은,이지호,정혜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6 No.1

        목적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노인에게 저하되어 있는 기억력을 회복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인지재활의 필요성을 인식 하고 기억전략 프로그램이 정상 노인의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0명 중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을 나누 어 대조군은 기존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실험군은 기억전략 프로그램을 주 2회, 4주간, 총 8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평가 전·후의 비교는 상황기억검사(Contextural Memory Test; CMT)를 시행하였다. 결과 : 두 집단의 프로그램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순간기억과 지연기억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p>.05). 그러나 프로그램 후 실험군의 순간기억과 지연기억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 연구결과 기억전략 프로그램은 정상 노인에게 기억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앞으로 정상 노인 을 위한 기억 증진 목적의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고 발전된다면 이후 발생하게 될 치매 혹은 경도인지장애의 발병 을 예방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were necessary for the elderly has generally decreased memory in order to recovery and maintain. This study showed that effect of memorial strategy program on memory in the elderly. Methods : 20 elderly who has used seniors welfare center in Busan was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control group used program of seniors welfare center,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memorial strategy program twice a week, total of 8 times. We used contextural memory test(CMT) to compared before and after. Results : Immediate recall and delayed recall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hen compared before and after.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a experimental group after memorial strategy program. Conclusion : This study shown that memorial strategy program help memory improve in the elderly. Many programs for memory improve in the elderly expect that prevent dementia or mild cognitive impairment.

      • KCI등재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및 시간관리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춘엽,박영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6 No.4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festyle and time management 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college students. The study period was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21, and a total of 159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The questionnaire used not only general characteristics but also Korean Wellness Life Style Scale (KWLISS) for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Time Structure Questionnaire (TSQ) for time management, Self-Efficacy Scale (SES) for self-efficacy, and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for quality of lif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variabl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The time management score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and the time management score of the third grad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grade, and students with grades of 4.0 or higher showed higher self-efficacy than students with grades of 2.9 or 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in lifestyle, time management,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life and self-efficacy,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As for the effect of lifestyle and time management 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lifestyle had a more effect on self-efficacy than time management, and time management had a more effect on quality of life than lifestyle. In the future’s studies, a method of applying lifestyle and time management program as a method of intervention to improv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should be done.

      • KCI등재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도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맞춤형 작업 중재의 효과

        이춘엽,김지훈,김희정,홍기훈,정혜림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2

        목적 :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도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작업 중재를 적용하여 이러한 작업 중재 가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B지역의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도 치매노인 29명을 대상으로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를 적 용하였고, 일주일에 한 번, 6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중재는 크게 집단 활동과 개인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며, 개인 활동은 경도 치매노인과 담당자가 상의하여 작업 목표를 선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활동 들을 일대일로 시행하였다. 맞춤형 작업 중재의 효과는 CERAD 평가,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 중재 이후 인지기능 변화에서는 MMSE-KC의 총점과 시간 지남력, 집중력, 구성회상, 길 만들기 B에서, 신체기 능 변화에서는 BBS의 선 자세에서 앉기와 두 눈을 감고 잡지 않고 서 있기에서, 우울 변화에서는 GDS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 맞춤형 작업 중재는 경도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신체기능의 향상, 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도 치매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중재로 맞춤형 작업 중재를 제안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Objective :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applied to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using the day care center. Methods : This study applied the single-group experimental design to 29 elderly with mild dementia who use the day care center in B area, and conducted a total of 10 sessions once a week, 60 minutes. Intervention consisted largely of group activities and individual activities, and individual activities were conducted one-on-one with various activities necessary to select occupational goals and achieve the goals through consultation betwee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the person in charge. The effects of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were confirmed through CERAD, BBS, and GDS. Results :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total score of MMSE-KC, time orientation, attention, constructional praxis delayed recall, and trail making test B in the cognitive function changes, and standing to sitting, standing unsupported with eyes closed of BBS in the physical function changes, and in the GDS score in the depression changes (p<.05). Conclusion :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reducing depression. This provided a basis for proposing a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as an interven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 KCI등재

        20대 및 30대 장애인의 시간사용과 희망의 관계

        이춘엽,장문영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4 No.1

        목적 : 20대 및 30대 장애인의 시간사용을 알아보고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활동이 무언인지에 따라 희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2년 11월 29일부터 12월 6일까지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재활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인 52명이 참여하였으며 주말과 평일의 일상생활시간조사를 포함한 설문지로 일대일 면접을 하 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시간사용에서 주말에는 수면(10시간 47분)과 미디어 사용(3시간 41분), 평일에는 수면(9시 간 43분)과 건강관리(5시간 12분)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다. 또한 시간사용과 희망의 관계에서는 가정관 리가 주도사고와 양의 상관관계(.688)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시간사용은 희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20대 및 30대 장애인의 시간사용과 희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재활분야의 전문가들에게 20대 및 30대 장애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을 다양하게 제시해줄 것을 제안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survey the correlation between time usage and hope in 20s and 30s the disabled. Methods :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2, 52 the disabled who have therapy in rehabilitation hospital in Busan and Gyeongnam, being diagnosed with spinal cord injury and stroke, were chosen.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arried out using a questionnaire involved time usage and hope. Results :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participants spent most time sleeping (10:47) and using media (3:41) on weekends. In additions, they spent most time sleeping (9:43) and health management (5:12) on weekdays. Second, doing household chores were positive correlation (.688) between time usage and hope (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 usage and hop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propose various activities for 20s and 30s the disabled.

      • KCI등재

        대학생의 장애인 관련 기관 자원봉사 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춘엽,류은정,송승훈,최미래,홍기훈,김희정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3 No.2

        목적 :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 관련 기관 자원봉사 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3년 7월 22일부터 8월 5일까지 부산 및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9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장애인 관련 기관 자원봉사의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인식의 영역에서는 차별의 인식(경험 있는 경우 4.13점, 경험 없는 경우 3.64점)이 가장 높았고 관심의 인식(경험 있는 경우 3.21점, 경험 없는 경우 2.86점)이 가장 낮게 나타났 다. 자원봉사의 경험 특성에 따르면 학교 사회봉사나 과목 수강을 통해 자원봉사를 참여하게 된 경우, 새 로운 경험을 하고 싶어서 참여한 경우, 1년 이상 자원봉사를 한 경우, 주로 활동 보조의 자원봉사를 한 경우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높았다. 반면 자원봉사 활동 경험이 전혀 없거나 대인 관계를 넓히고 싶어서 자원봉사를 하는 경우, 주로 행정 업무 보조의 자원봉사를 한 경우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낮았다. 결론 : 대학생의 장애인 관련 기관 자원봉사 경험이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장애인 인식 개선을 위한 자원봉사의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survey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 of undergraduates volunteering activities on awareness toward the disabled. Method : 259 students were chosen and structured interview was carried out using by a questionnaire. Result :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tudents with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ies in institutions related to disabled have positive awareness of disabled. Second, they have positive awareness of disabled in some cases such as volunteering activity in university, interesting in new events, volunteering activity for more over a year, and assisting activities. But they have negative awareness of disabled in some cases such as no experience of volunteering activities, interesting in social relationship, and participating administration servic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better volunteering activity system for the awareness toward the disabled.

      • KCI등재후보

        목 관절가동범위 측정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유용성

        이춘엽,송해윤,이정민,장문영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7 No.1

        목적 :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목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는데 임상에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어플리 케이션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목의 관절가동범위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각도계로 목의 굽힘, 폄, 오른쪽 돌림, 왼쪽 돌림, 오른쪽 가쪽 굽힘, 왼쪽 가쪽 굽힘의 움직임을 각각 측정하였다. 검사자내 신뢰도와 검사자간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같은 검사자가 두 번, 다른 검사자가 한 번으로 총 세 번 측정을 실시하였다. 검사 순서는 무작위로 하였으며, 두 검사자는 서로 측정한 결과를 알지 못하게 하였다. 결과 :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남자 9명, 여자 21명이었다. 실험 결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각도계의 평균 각도 비교에서 오른쪽 가쪽 굽힘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스마트폰 어플리 케이션과 각도계의 검사자내 신뢰도는 전 움직임에서 ICC값이 .841∼.958로, 검사자간 신뢰도는 전 움직임에서 ICC 값이 .720∼.944로 나타나 모두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각도계는 목의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관절가동범위에 신속하고 정확한 측정으로 인해 임상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reliability of cervical range of motion measurement in healthy adults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 and goniometer that can be easily applicated in clinical setting. Methods :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was measured as the flexion, extension, right rotation, left rotation, right lateral flexion, and left lateral flexion.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the same examiner performed two measurements and the other examiner performed once, total measurement were performed three times. The order of tests was randomized and two examiners didn't know the results of measurements. Results : Thirty healthy adults were particip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movements except the right lateral flexion in comparison of average angle of smart phone application and goniometer.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smart phone application and goniometer showed ICC as .841∼.958 and the inter-rater reliability showed ICC as .720∼.944 for all movement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art phone application and goniometer have proven to be reliable in measuring the cervical range of motion. Smart phone application can be used as a useful tool in clinical setting due to fast and accurate measurements of cervical range of 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