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그린과 그루

        이채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1998 延世哲學 Vol.- No.8

        굿먼은 올바른 규칙의 투사는 술어의 고착성에 의존하며 고착성은 술어의 실제 투사기록을 고려하여 얻어진다고 말한다. 그랬을 때 Mrs Grue는 ‘그루’가 아닌 ‘그린’이라고 말해야 한다. ‘그루’는 실제적으로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비트겐슈타인은 실제로 언어가 사용되는 맥락을 지켜보고도 ‘그루’를 사용하는 것은 규칙을 따르지 않은 행위로 본다. ‘그루’를 사용하면서 올바르게 규칙 따르기를 수행했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규칙을 따랐다고 생각한 것에 불과하지 실제로 규칙을 따른 것은 아니다. 그리고 규칙은 일치하게 되어 있으며 이는 동일한 자연사의 조건, 일치된 삶의 형식이 뒷받침 해준다. 이 때 규칙 따르기는 필요에 의한 따르기가 아니라 맹목적으로 준수되는 것이다. 과학적인 규칙이든 언어의 규칙이든 규칙성의 투사는 굿먼과 비트겐슈타인에게 있어서 술어의 사용에 의존한다. “그루이다”와 “그린이다”중 후자가 자주 사용된 언어이며, 실제적으로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가 규칙성을 담지한다. 굿먼에게 이것은 고착된 술어로서 채택되며 비트겐슈타인에게 이는 맹목적으로 준수된다. 비트겐슈타인에게 있어서 언어가 사용되는 맥락을 보고, 배우면서, 결코 그 규칙을 따르지 않고 사적으로 해석하는 일은 생기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인간은 그렇게 혼자서, 아무도 이해할 수 없는 이상한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연사의 사실이 변할 수 있는 가능성은 인정하며, 그래서 올바른 규칙 따르기의 양태가 변할 가능성도 열어둔다. 굿먼은 보다 더 대담하게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둔다. 그는 현재 선택된 술어 ‘그린’, 혹은 ‘그린’이 포함된 그린-가설이 절대적으로 옳은 것은 아님을 주장한다. 굿먼에게 있어서 규칙적인 것으로서 투사되어온 현재의 술어는 새로운 증거가 발견됨에 따라 새로운 술어, 새로운 가설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현재 올바른 규칙성을 투사하여 얻어진 ‘그린’은 절대적으로 고수되는 것은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그린’은 ‘그루’보다 더 투사 가능한 규칙성을 가질 뿐인 것이다. 비트겐슈타인에 있어서 자연적 제약 조건의 변화 가능성이 인정되는 한 ‘그린’은 그에게도 절대적인 규칙 따르기는 아닐 것이다. 그래서 굿먼과 비트겐슈타인은 Mrs.Grue에게 ‘그린’이 올바른 규칙 따르기임을 지적할 때 ‘그린’이 ‘그루’보다 더 규칙적임을 말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 물류정보화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이채군(Li, Caijun),최석범(Choi, Seok-Beom) 한국물류학회 2012 물류학회지 Vol.22 No.1

        중국에서 물류정보화는 비교적 새로운 개념에 속하는데 이는 중국에서 현대적인 물류의 개념이 도입된 것이 1980년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물류산업도 아직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중국의 물류정보화를 위해서는 중국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효율적인 물류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인 정보의 통합이 필요하고 이는 정부의 강력한 추진력으로만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정부는 기업과의 협력과 연계를 강화하여야 한다. 중국 정부는 물류산업의 발전계획과 법률제도를 완비하여 산업주체들이 장기적인 물류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종합물류시스템을 강화하고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구축하여야 한다. 특히 중국의 물류정보화 발전에 큰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물류인력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류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국 물류정보화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중국의 물류정보화의 이해를 제고하여 중국물류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In China, logistics informatization is a new concept since the concept of modern logistics was brought into China in 1980. So the development of Chinese modern logistics informatization is still staying in a lower level. In order to realize China’s logistics informatization, the Chinese government assistance and support is a must. Establishing effectiv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needs a large number of comprehensive information to integrate together, the realization of which needs the strong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logistic industry development planning and legal system, and the industrial departments should establish a long-term strategic development planning, and strengthen the construction of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provide a higher service level.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informatization,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the training of personnel, overcome obstacles to the development of logistics informatiz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logistics informatization in China by studying status of logistics informatization in China.

      • KCI등재후보

        가상현실의 비실재론적 현실성

        이채 한국과학철학회 2003 과학철학 Vol.6 No.2

        컴퓨터공학의 발달과 함께 가상현실이 우리에게 새로운 현실로서 다가와 있다. 가상현실은 이미지로 구성되고, 현전감에 의존하며, 상대적이라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은 또 하나의 현실로서 인정될 수 있는가? 본 논문에서 필자는 굿먼의 비실재론을 통해 가상현실의 현실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굿먼에 따르면 현실이란 언어, 그림, 음향 등의 기호들을 가진 옳은 버전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버전에 의존하는 것이며, 상대적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필자는 비실재론적 입장에서 가상현실의 인공성, 현전감, 상대성을 분석하고, 가상현실이 옳은 버전에 의해 구성된다면 또 하나의 현실로서 인정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그러나 가상현실이 현실로서 인정된다면 현실과 가상현실을 혼동하거나 현실을 외면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들이 있어왔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굿먼 식의 대안을 부여하고, 이를 통해 굿먼의 이론은 가상현실의 현실성을 인정하면서도, 가상현실의 문제에 대해 일정부분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불교 설화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방안 연구 : 삼국유사 <노힐부득과 달달박박>을 중심으로

        이채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5 No.-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적 다문화 상황에 적합한 다문화주의 철학을 정립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불교 사상에 주목하였다. 불교적 관점에서 다문화사회의 이상은 상생과 공존의 개념을 원칙으로 상호존중의 삶을 지향한다. 불교사상의 이념적 근거를 한국적 다문화주의 토대로써 다문화개념, 다문화모델, 다문화교육론의 철학적 기저로 적용한다면 다문화사회를 통합하고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018년도 외국인정책 통계월보에 따르면 한국에 거주하는 체류 외국인의 비율은 전체 인구의 4%를 상회하고 있다. 그러나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은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어 다문화 사회통합에 걸림돌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이주민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전환이 요구됨에 따라 다문화교육 차원에서 청소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반(反)편견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불교의 가르침이 담긴 불교 설화에서 다문화교육의 핵심 가치를 도출하여 다문화교육을 위한 불교 설화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불교 설화 속에는 모든 사물과 인간이 공동체적 존재로서 평등주의 사상이 담겨져 우리 사회에 소외된 인물에 대한 배려와 사랑을 담고 있다. 이것은 불교적 특성 중의 하나인 자비사상의 발현으로 이주민에 대한 이해와 배려의 태도를 증진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본고는 불교 설화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작품에서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인 반(反)편견, 다양성, 상생의 핵심 가치를 도출하여 교육적 활용 방안을 밝혔다. 설화 속 두 인물의 관점의 차이를 해석하고 타자에 대한 편견 없는 이해와 배려가 결과적으로 자신에게도 이롭다는 인식을 교육 과정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교수 방법적 측면에서는 타자와의 원활한 소통(疏通)의 방법으로 화쟁(和爭)의 융합의 원리에 근거하여 상생과 조화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philosophy of multiculturalism suitable for Korean multicultural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a discussion of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n society. Ideals of multicultural society from the Buddhist aspect pursue the lives of mutual respect based upon the concept of harmony and coexistence. These ideological grounds of Buddhist philosophic idea can be used based on Korean multiculturalism and could be alternatives to integrate multicultural society and resolve conflicts by applying philosophical bases as a multicultural concept, multicultural model, and educational theory of multiculturalism. Korean's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is becoming more negative when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the country has reached 4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For this reason,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Koreans to abolish prejudice against immigrants is being highlighted on multicultural education level as the change in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immigrants is required.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a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folk tale that contains Buddhist teachings and the core val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Buddhist fairy tal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ll objects and men in Buddhist folk tale express consideration and love for the alienated people in our society with equalitarian principles as collective beings. This being the expression of mercy,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m, contains an educational value that can improve understanding and tolerance for immigrants.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educational value by investigating the applicabi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tracting essential education elements like diversity, identity, and cooperation in a Buddhist story <Nohilboodeuk and Daldalbakbak>.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ing methods using the theory of harmonization of Buddhism. The theory of harmonization is the core idea and value that lies based on Korean Buddhism, and it presents a principle for dispute resolution through the reconciliation of different arguments and communication.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key-stage four teaching-learning guidance with anti-bias as the topic based on the mode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harmonization. This study proposed a learning activity process of opening your mind with one heart, recognizing the value of diversity, accepting partial relevance, and forming cooperative relations using texts from a Buddhist folk tale <Nohilboodeuk and Daldalbakbak>.

      • KCI등재

        코헨의 종차별 옹호논증은 옳은가? - 도덕적 차이 논증과 종류 논증을 중심으로

        이채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7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코헨의 도덕적 차이 논증과 종류논증이 정당하지 않음을 비판함에 있다. 반종차별주의자들은 종차별주의가 인종차별주의나 성차별주의와 마찬가지로 부당하며((A1)), 종차별주의의 주장에 따라 동물이 권리를 가질 수 없다면, 가장자리 인간 역시 권리를 가질 수 없다((A2))고 비판한다. (A1)에 대해 코헨은 동물과 인간 사이에는 도덕적 능력의 차이가 있으므로 동물에 대한 차별은 정당하다는 도덕적 차이 논증을 제시하며, (A2)에 대해서는 가장자리 인간은 인간의 종류에 속하므로 권리를 가진다는 종류논증을 제시한다. 그러나 도덕적 차이 논증은 고통과 상관이 없는 기준으로 고통을 차별하는 무관함의 오류를 범한다. 그리고 종류논증은 두 개의 권리 조건을 비일관되게 적용하고, 모호한 ‘종류’ 개념에 의존하며, 집단의 능력을 근거로 실제적으로 능력이 뛰어난 개인을 차별하는 부당한 원리에 의존한다. 따라서 필자는 도덕적 차이 논증과 종류논증이 (A1)과 (A2)에 대한 정당한 대답이 될 수 없으며, 인간은 권리를 가지지만 동물은 어떤 권리도 가질 수 없다는 코헨의 종차별주의는 옹호될 수 없다고 논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riticize that Cohen's moral difference argument and kind argument can’t be a right answer to anti-speciesist’s criticism (A1) and (A2). Anti-speciesists criticize that speciesism, like racism or sexism, is unfair(A1) and that if animals cannot have their rights, marginal humans can’t, either(A2). Regarding (A1), Cohen presents his moral difference argument that discrimination of animals is fair since there is difference in moral capacity between humans and animals. Regarding (A2), he presents his kind argument that marginal humans own their rights since they belong to human kind. However, I criticize that moral difference argument is a standard unrelated to pain, and that kind argument presents inconsistent conditions and (4) is not inevitably true but a morally unfair principle. Accordingly, I insist that moral difference argument and kind argument can’t be valid answer to (A1) and (A2).

      • KCI등재

        사이버 공간의 페미니즘적 의미

        이채리 ( Chae Lee Lee ) 한국과학철학회 2007 과학철학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and analyze feministic view on cyberspace on the base of the opinion of Dana J. Haraway and Sadie Plant so that assess feministic implication of cyberspace. Haraway has the view that human being is a cyborg, the hybrid of machine and organism in cyberspace, and the gender dualism is broken up in the cyborg. Plant suggests that the system of cyberspace is feminine so it is feministic system for woman. However unlike their theory, the cyberspace is ruled by gender dualism at present and there is patriarchal phenomenon. I think that this phenomenon shows the flaw of Haraway`s theory which prospects breaking of boundary between female and male through breaking of boundary between machine and organism. And I understand that there is a fault in Plant`s assumption which insists feminine system imply anti-patriarchal system. In this process of study, I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the view of Haraway and Plant, which understands cyberspace as feministic utopia, is too optimistic and so review cyberspace to see how much it has feministic implication at present.

      • KCI등재

        치과분야 영상검사 피폭선량모니터링을 통한 선량 최적화 방안

        이채 대한치과의사협회 2024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62 No.2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dental x-ray equipment, the use of diagnostic radiation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concerns about radiation exposure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imaging examinations in the dental field have a low individual radiation exposure. However, the frequency of the examinations is high. Also, due to the abundant usage of dental CBCT, concerns has been widely spread across the users and the nation. In response to this, there has been a need to establish a dose monitoring system for dental x-ray equip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of a national dose monitoring system for imaging examinations in the dentistry. For the system establishment, the structure of intraoral, panoramic radiography and CBCT system was surveyed and the integrated data collection plan was prepared. Based on this, dose monitoring system, which can be utilized for nation-wide, was established and a pilot operat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continuously expand the system in the future, system supplements should be confirmed through gathering expert opin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