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통합으로 인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변화요인 분석

        이창길(Lee, Chang Kil) 서울행정학회 201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3 No.1

        Focusing on comparing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employees’ change in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mergers. Despite the abundance of literature on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mergers, few studies focus on investigating how individual employees adapt themselves during the period of organizational change. Data was collected from a survey of 104 middle managers working in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which was formed from the merging of Korea Land Cooperation and Korea Housing Corporation.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individual factors show that job position significantly affects the change in commitment and satisfaction while expectation of promotion or increasing performance pay does not significantly do so. More importantly, soci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 on the change in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employees who are more connected informally with colleagues are likely to have greater decrease or lesser increase in commitment and satisfaction resulting from radical organizational changes. In other words, the social relationships of employees significantly affect the degree of change in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o achieve a successful post-merger integration among employees, this paper recommends designing strategies based on their social relationships.

      • KCI등재
      • 시민 중심의 안전관리 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도시의 화재재난을 중심으로

        이창길(Lee, Chang Kil) 충북대학교 위기관리연구소 2018 위기관리연구논총 Vol.2 No.2

        도시에서는 급격한 인구증가와 산업화, 도시화, 구도심의 쇠퇴화 등으로 인해 화재 위험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관련 법⋅제도 및 정책의 실효성 저하, 소방안전시설의 미흡, 시민에 대한 적극적 교육 및 홍보의 부족 등과 함께 재난취약성은 계속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도시재난의 가장 중요한 유형인 화재를 중심으로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분석결과 도시 화재재난 위험에서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는 시민 중심의 안전관리 대책이 필요하며, 찾아가는 안전위험 요인에 관한 교육 및 홍보의 적극성이 중요하다. 또한, 유관기관 의 협력적인 자율안전 감시 및 점검, 시민 스스로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생활안전 교육도 강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은 시나리오 중심의 사례기반으로 되어야 하며, 시민의 내생적 재난학습 정착을 위한 학교교육과의 연계, 시민이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는 안전정보 공유체계 마련, 수요자 중심의 재난 특성을 반영한 안전관리 매뉴얼 개발, 신속한 재난 대응을 위한 스마트 관리시스템의 확산 등을 제시하였다. In cities, the risk of fire disasters is increasing due to rapid population growth,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decline of old towns. The damage caused by the disaster is expended due to the ineffectiveness of related laws and systems, insufficient fire safety facilities, and lack of education and publicity for citizens.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case study to search for alternatives to urban fire disaster prevention policy. As a result, citizen-centered safety management policy is needed. And citizen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ctivities are also required.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n autonomous monitoring system with relevant institutions and a scenario-oriented disaster education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safety information system that can be utilized by citizens and a smart information system for rapid disaster response should be constructed.

      • KCI등재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성과관리도구 도입이 조직성과향상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분석

        이창길(Lee Chang-kil)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7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y understand the causes and effects influencing adoption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tool through the analysis of BSC(Balanced Scorecard system) systems actual difference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 This study accumulates the evidences regarding the challenges of design and implement of the BSC system as a tool of performance management. Before introducing performance management tool,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have to be deliberated including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lenty of time for design, renovation technical bas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quantitative indicators and non-quantitative indicators, concrete measurement standard, agreement and sympathy among stakeholder, and functional ability for the fair evaluations and rewards. Also, th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should be characterized. It must constitute the performance standard which is more appropriate to measure the actual performance from the high level goals to low level goals reflected organizations policy priorities and adjusted weight and target. This study presents the actual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ology such as using the information system. The outcome of this study should be utilized in both theoretic and practical ways to operate current performance evaluation schemes.

      • KCI등재

        BSC(balanced score-card) 시스템의 공공부문 도입에 있어 변화와 적용에 관한 연구 - 중앙행정기관의 BSC 시스템의 적용을 중심으로

        이창길(Lee Chang Kil) 한국국정관리학회 2006 현대사회와 행정 Vol.16 No.1

          본 연구는 공공부문에서 급격하게 도입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민간부문으 성과<BR>  관리기법인 BSC 시스템 적용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적합한 변화와 적용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중앙행정기관의 성과관리기법으로 도입되고 있는 BSC 시스템 도입에 따른 이슈들과, 시스템의 효과적 적용방안으로써 BSC 시스템을 통한 평가의 통합 및 연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BR>  민간부문의 성과관리가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한 효율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공공부문 성과관리의 근본적인 취지는 정책 및 사업, 업무 추진의 외부 효과성, 내부 효율성과 대국민 정책수준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다. 이에 공공부문에서 민간부문의 성과관리기법 적용의 경우, 민간부문과는 다른 방향으로 전략과 목표, 지표 등을 설정하여야 하며, 이를 각 평가에 대응하여 통합적ㆍ연계적 운용을 하며, 공공부문 성과관리 문화를 효과적으로 전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궁극적으로 전략적인 성과관리를 위해 투입되는 정부 인력과 예산의 낭비를 최소화함으로써 행정의 비용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공기관 공직가치의 특성과 현실: 민주적 가치의 갈등상황을 중심으로

        이창길 ( Lee Chang Kil ) 한국행정연구원 2017 韓國行政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공직가치를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공공기관 공직가치의 내재화 정도, 공직가치 갈등상황에서 민주성의 선택 정도, 그리고 공직가치유형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2017년 4월 공공기관 종사자 500명에 대해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실시한 공공부문 종사자의 직무 인식조사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공공기관 및 종사자들은 중앙부처보다 윤리적, 민주적, 전통적 가치의 내재화 정도가 약하고, 혁신적, 전문적 가치의 내재화정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직이나 개인이 윤리적 규범적 가치가 높으면 민주성보다는 효과성을 선택하였으며, 셋째, 조직과 개인의 민주적 가치나 전통적 가치의 내재화 정도가 차이가 클 경우 민주성보다는 효과성이나 혁신성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은 공공기관의 공직가치강화를 위한 기관노력과 조직과 개인의 민주적 가치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윤리적이고 규범적 공직가치의 지나친 강조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embedded public values and their conflicts with democracy in public employees and organizations of Korea. The public values a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including ethical, democratic, innovative, professional, traditional valu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 from 500 public institutions` employees in 2017. The result of the descriptive analysis, first, is that public institutions` employees are more strongly embedded in innovative and professional values than government employees and vice versa in ethical, democratic, and innovative value. Secondly, a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public institutions as an organization as well as their employees as individuals both tends to choose the value of effectiveness rather than that of democracy in the conflict between them if those are s trongly embedded i n e thical v alues. T hirdly, i f t he g ap o f v alues i n d emocratic a nd traditional values is bigger between the organizations and their employees, the employees are likely to choose the value of effectiveness and innovation rather than that of democracy. The paper implies that stronger emphasis on ethical values may impair the selection of democratic values in their decision making.

      • KCI등재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 서비스의 효과성 증진방안

        이창길(李昌吉)(Chang Kil Lee),남승연(南丞姸)(Seung Yeon Nam),이영범(李榮範)(Yeong Beom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2 Crisisonomy Vol.8 No.5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수요의 급증과 이에 대한 정부 재정의 한계라는 현실 상황을 인식하고, 보다 안정적인 사회서비스 확대의 중요함을 제기하는 탐색적인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인 사회서비스인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서비스를 중심으로 정책과정에서 정책효과와 연관된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중점적 정책방향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제행동아동 조기개입서비스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결과를 통하여 향후 서비스 확대에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서비스 부가시장의 활성화와 각 사회서비스 별로 연계산업을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형식적인 인력 등의 자원확충 보다는 질적 내실을 기한 서비스 제공인력 양 성과 서비스 성과의 명확한 피드백이 중요하다. 셋째, 서비스 제공인력에 따라 공급자 위주로 서비스가 결정이 아닌 대상자의 욕구에 따라 서비스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사회서비스의 효과성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서비스의 확대와 안정 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기관에 대한 전문적인 컨설팅 기관을 설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earching study is to realize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surge in demand on social service and government financial limitation and to pose the importance of expanding more stable social service. This paper attempted to suggest the focused policy analyzing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involving the policy impacts on policy process focused on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 for the children with ADHD as a representative social service. In addi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olicy implication on expansion of service in the future through an analysis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 for the children with ADHD.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vitalization of added market in social service and affiliated industry by social service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training of service providers for qualitative internal stability and the definite feedback of service performance-based, not for expansion of resources like perfunctory labor force, are important. Third, The service should be decided according to the recipients' desire not focused on providers depending on service providers. Fourth,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tools to grasp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ervice. Lastly, for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 and provision of stable servic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 consulting institutions as a service providing organ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관료제의 위기: ‘정치화’의 역설

        이창길 ( Chang Kil Lee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20 정부학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정치적 중립성과 정치적 대응성 측면에서 민주화 이후 한국 관료제의 정치화를 분석했다. 관료제 정치화의 유형을 정책, 인사, 행태의 정치화로 구분하고, 한국 관료제의 정치화 현상을 진단했다. 관료제 정치화의 유형이 정치적 중립성과 정치적 대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했다. 분석 결과, 인사의 정치화가 심화되면서 정책과 행태의 정치화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정책의 정치화 측면에서 국회법안발의 증가와 개별정책의 정치화가 나타나고, 인사의 정치화 측면에서 개방형 직위, 정잭보좌관, 공공기관장의 정치적 임용을 분석했다. 행태의 정치화 측면에서 정치적 중립 의무와 복종의무의 준수를 위해 비공식적이고 자발적인 정치행동이 나타났다. 관료제의 정치화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역설적인 처방으로 관료제의 정치화를 제시했다. 고전적 관료제에서 벗어나 민주적 거버넌스의 구축을 위한 정책과정상의 관료제의 역할 강화, 정치적 임용의 제도화, 정치적 기본권의 강화 등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iscuss the politicization of bureaucracy in Korea after democratization in the late 1980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responsiveness, rather than that of political neutrality. Redefining the meaning and range of politicization and its cause and effect, it analyzed three types of politicization: policy process, personnel affairs, and bureaucratic behavi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politicization has been significantly expanding and that the politicization of personnel affairs leads the other two. To overcome the crisis of politicization and promote political responsiveness, this paper paradoxically suggests the politicization of the bureaucracy including relaxing political neutrality, reinforcing political rights, institutionalizing political appointments, and reducing hierarchical obeyance.

      • KCI등재후보

        생활안전 분야의 표준화 및 성과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이창길(Chang Kil Lee)(李昌吉)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1 Crisisonomy Vol.7 No.1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발전에 따라 주변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생활안전 분야의 표준화와 통합적이고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시작하였으며, 생활안전 분야의 표준화와 성과관리체계구축에 대하여 향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시론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안전 분야 표준화의 필요성에 대하여 행정적, 경제적 측면에서 제시하였으며, 표준화 단계를 7단계로 설정하였다. 표준화 유형은 현실적인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매트릭스 조직 개념을 도입하여 서비스 대상별, 업무과정별 분산된 유형분류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생활안전 분야의 성과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방안으로는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평가, 전략기획이 기반이 되고 대도시의 변화와 성격이 반영된 생활안전 성과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설정,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변화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자유로운 자체평가체계에 속한 생활안전 분야 성과평가의 중요성 확대, 생활안전 분야와 관련된 성과평가결과의 공개와 공유를 통한 긍정적 변화 유도, 전반적인 성과중심 조직문화 확대와 기관장의 관심을 통하여 조직 전체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생활안전 분야의 성과관리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y suggest the standardiz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of the Life Safety(Sexual Crimes, Traffic Safety, School Violence, Food Safety, Workplace Safety, Juvenile Delinquency and Safety, Banking crimes, Fire and so on) directly affecting our life. Up to now, there have been only a little confirmatory researches that analyzed the Life Safety Standardiz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necessity aspect of administration and economics, standardization steps of the Life Safety. For the making types, it introduces the concept of Matrix Organization. Also, the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should be characterized including the consumer-based performance evaluation, strategic planning structure, big city and local government centered change, opening the evaluation result, performance culture and lead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