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7차 유치원 언어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차숙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1

        This study is to review the 7th national kindergarten language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is a general guideline of what to and how to teach kindergartners. So the guideline should be precise and easily understandable statements about educational objectives, scope, standards, contents, teaching method, and assessment etc. By reviewing the curriculum, I found it failed to present a clear structure and necessary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with relevant curricular perspectives.  The main problem of the curriculum is that there is no division of scope and learning standards in it. The first task of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s to structualize and systematize of it.  And then, the contents to achieve the learning standards established should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scope. An overall problem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not to enable the teachers to understand and follow the guideline of the curriculum. To develop a good quality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should be closely examined and structualized first. And then the ideas, concepts, skills, and attitudes to foster should be selected and well arranged 이 연구는 제 7차 유치원 언어 교육과정을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한 것이다. 교육과정은 크게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교실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일반 교사들이 교실 수준의 교육과정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기준과 지침들을 제공해야 한다. 기준과 지침을 제공하되 교사들이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성격, 교육목표, 내용, 교수방법, 평가방법 등을 쉽게 이해하고, 이를 따를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잘 구조화하고 체계화하여 제시해야 한다. 제7차 교육과정은 우선 교육과정의 구조화와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교과의 전체적인 성격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고, 그에 따라 영역 구분과 영역에 따른 학습 성취 기준이 제시되지 못했다. 따라서 일반 교사들이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 그리고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쉽게 이해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교과의 성격이나 학습 성취 기준이 명확해야 적절한 교육내용과 교수 방법이 제시될 수 있는데 7차 교육과정은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구조화와 체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교과의 성격 규명이 미흡하여 당연한 귀결로서 교육내용과 교수 방법들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못했다. 교육과정은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고 늘 새롭게 변모해 가야 하기 때문에 향후 교육과정 개발자들은 교과의 성격을 잘 아는 사람들과 현장의 교사들이 중심이 되어 교과의 성격을 먼저 잘 규명하고, 이를 체계화하여 교사들이 쉽게 이해하고 따를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만들어내야 할 것이다.

      • 유아 언어교육의 이론적 체계화를 위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

        이차숙 경원전문대학 1998 論文集 Vol.20 No.-

        It is the thesis of this review that a sound theory make valuable contributions to practices in the field of language teaching for young children. To build up a theory it is needed to work interdisciplinary. This may be appear to be restating a truism, but it is a necessary reminder in the context of reviewing this work. For this, it should be, first, argued the concept and multiple factors of language teaching. It is argued that the concept of language teaching for young children as fostering language skills. The skills are required higher order mental functioning which affected by many factors. We need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affect language teaching for young children. Researchers in the field identified a few factors in related to ①learner, ②language, ③the process of language use and ④teaching. Those factors are not equally added to language teaching but interacted each other and newly structured. To explore their interactions is very important to build up a theoretical system of language teaching. To do this, it is needed to work interdisciplinary. Many factors should be explained in the same context of the perspectives of linguistics, Psychology, Pedagogy, and philosophy. Educational practices rooted in a systematic theory will be revealed as consistent and logical ones.

      • 大學生의 飮酒 喫煙에 관한 實態 調査 硏究

        李且淑 원광대학교 상업교육과 1983 상교논총 Vol.2 No.-

        This thesis is desisned to make a fact-finding survey on the problem of drinking and Smoking of College Students. Drinking liquor and smoking cigarettees of college students is not a new phonomenon that has not been seen before, but the increase of co-educational schools tend to enlarge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who drink and smoke as well as male students. This situation destroys not only our traditional, and Oriental womanly virtue, but also can be thought of that drinking and smoking came from a distorted views regarding as a matter of course for the equal rights for both sexes. The question asking how many male students drink within the rauge of writer's investigation indicates 268 students(96.8%) while female students show 80 (72.7%). Number of male students who smoke indicates 198 (71.5%), whereas number of female students show 10.9%. The writer came to feel seriously that evil effect of drinking and smoking will bring about a grave situation for the national health as well as the increase of parents' burden of school expenses, degradation of personality, and a bad influence on society which should not go unheeded. In this respect, the writer, with students as companions, distributed questionnaire, made a research for fact-finding, grasped the actual situation, and made them as data for proper guidance of students. Accordingly, this thesis was mad with the heart wishing to earnestly beg to establish advice and proper measures against the problem of drinking and smoking of college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forming a trinity―home, school, and society.

      • 勢時風俗에 대한 意識構造 調査 硏究 : 大學生을 中心으로 Centering on Collegians

        李且淑 圓光大學校 1986 論文集 Vol.20 No.2

        우리나라는 옛부터 季節에 따라 固有의 名節이 많았다. 이러한 것들은 親戚 相互間에 紐帶를 갖는 契機가 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 社會의 都市化 産業化 및 家族制度의 變化는 우리 固有의 名節이 漸漸 退色해 가고 있어 今般 大學生을 對象으로 設問 調査 하였더니 설과 秋夕은 大部分의 學生이 그 存續 價値를 認定하고 있었으며 우리 家庭에서 現在 實施하고 있는 것은 위의 二大 名節 外에 冬至와 寒食에 固有의 風俗대로 行事하고 있었다. 우리 大學生들은 이러한 固有의 慣習을 全的으로 否認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앞으로 이러한 우리의 渟風良俗은 우리 子孫들에게 傳承하여 우리의 獨特한 固有의 文化를 永久히 繼承케 하는데 도움이 되고저 本 硏究를 하기에 이르렀다. From ancient times, there have manry native festival days through four seasons in korea. They have given the opportunity for family ties. But the festive days are fading because of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our society and the change of family system. From the Collegians' Questionaires, it is known that most collegians recognize the existent value of the New Year's Day and the Harvest Moor Day, and the winter solstice and the 105th day after the winter solstice as same as same as two main festival days. Consequently, few collegians disapprove completely our old customs. This study has a purpose to hands down our customs to posterity and inherit our special culture to descendants.

      • 兒童들의 道德的 判斷能力의 特性과 發達 傾向

        李且淑 圓光大學校 1987 論文集 Vol.21 No.2

        兒童들의 道德的 判斷能力의 特質과 發達傾向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某國民學校 2,4,6 學年 地方 某國民學校 2,4,6 學年을 對象으로 設問紙를 配付하고 그 答紙를 回收하여 Coding을 거쳐 컴퓨터에 넣어 重多回歸分析法으로 處理한 結果 地域差와 學年差를 볼 수 있었다. 이들의 差異의 原因을 考察하면 兒童自身들의 內在的 要因과 家庭 및 學校生活에서 影響 받은바 크다고 본다. 이들의 要因이 復合的ㅇ로 作用하여 兒童의 道德性이 涵養된다는 것을 本 硏究를 통하여 알아볼 수 있었다. This study selected out variations such as quantity to Watch TV, Self-expectation in studies internal-external Control, time to live with adults amony a family and to join with friends excepting lesson hours at School, that have an influence on a growth tendency of moral judgement ability for children or the moral judgement for them. And then applied a mu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plain a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tions and moral jedgement ability. The result in as follows; 1. The level of moral judgement ability for children is a difference by grade or region. 2. The one of methods that can raise a level of moral judgement ability for Children is reduced a quantity to watch T.V and in raised a self-expectation of studies. 3. To raise a level of moral judgement ability in the 3rd(third)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they must form the habit that cause Some responsibility of action on their own fault. 4 In the 4th students, to raised a self-expectation for studies has relationship with what is raised a level of moral judgement ability. 5. In the 6th students, they must reduce time to join with friends and must get livable time with adults. 6. In the Children in a large City, They must raise a self-expectation and reduce time join with friends. 7. In the Children at a Country, they must reduce a quantity to watch T.V and raise a self-expectation The above mentioned result in as follows. If a growth tendency of moral judgement ability has a difference from inherent factors of themselves and influence of environment, the human relationship between adults at home and teachs of friends at school in too important to emphasis.

      • KCI등재

        초기 문식성 평가 방법 탐색

        이차숙 안암교육학회 2007 한국교육학연구 Vol.13 No.1

        본고는 초등학교 입학하기 직전까지 초기 문식성 발달 단계에 해당하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문식성 발달 평가 내용과 방법을 탐색한 연구이다. 초등학교 입학하기 전까지 유아들이 습득해야 할 문식 기술들은 무엇이며 그러한 핵심 기술들의 습득 여부를 어떻게 확인할 것인지 그 구체적인 내용과 전략과 방법들을 문헌을 통해 고찰했다. 초기 문식성 발달 단계에서 습득해야 할 문식의 핵심 기술들은 ①자·모 체계의 이해, ②음운인식, ③읽기 유창성, ④어휘, ⑤내용 이해 등 다섯 가지이고, 평가의 주요 전략과 방법은 유아의 학습 활동을 비형식적으로, 그리고 자연스럽게 관찰하거나 유아의 문식 활동 결과 생긴 작품들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들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Assessment," plays a vital role in education today. Teachers need to assess children's literacy so they can determine appropriate, challenging,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This paper exploratory study focused on the contents and method of assessment of beginning literacy stage. This paper proposed five essential skills of beginning literacy to assess and teach in kindergarten: the alphabetic principle, phonemic awareness, oral reading fluency, vocabulary, and comprehension. Teachers must decide who needs instruction on which of these five skills of each child. These decisions are crucial because research has shown that early diagnosis and remediation of literacy difficulties can improve literacy achievement. So It is important to know how these five literacy skills can be assessed in the classroom. This paper proposed to use informal observations of children's performance and collection of their works in daily literacy activities

      • KCI등재

        유아들의 듣기 지도를 위한 이론적 탐색

        이차숙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21

        인간 생활에서 듣기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특별히, 듣기 기술은 음성 언어가 결정적으로 발달하는 유아기에 신경을 써서 지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의 유치원 현장은 듣기 지도를 매우 소홀히 하고 있다. 그것은 듣기는 지도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발달한다는 교사들의 잘 못된 인식과 듣기 지도 방법에 대한 무지 때문이기도 하다. 이에 본 고는 문헌을 통하여 듣기의 개념을 재규명 함으로써 듣기는 자연스럽게 발달하는 측면도 있지만 지도를 통하여 그 기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인식시키고자 했다. 아울러 효율적인 듣기 지도를 위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밝혀 놓은 능숙한 청자의 듣기 기술들을 중심으로 듣기 지도의 목표와 듣기 지도를 위한 교육 내용들을 추출했다. 그리고 이런 내용들을 실제 수업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생각해 보았다. 이상적인 듣기 지도는 학습의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해야 하며, 듣기 지도의 내용으로서 전략을 지도해야 하고, 듣기는 소리의 상징을 다루기 때문에 청각적 지각 훈련해야 한다. 뿐 만 아니라,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어휘력 향상에 신경을 쓰고, 어려서부터 좋은 듣기 습관을 지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들은 다양하고 적절한 듣기 자료들을 끊임없이 선정하고 개발하여 유아들에게 다양한 종류의 듣기를 가능한 한 많이 경험시키도록 애써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글의 특성에 따른 한글 해독 지도 방법 탐색

        이차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연구 Vol.23 No.1

        읽기에서 해독 기술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해독은 문자 언어의 체계나 유아 개인의 인지적 능력의 차이에 따라 그 발달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특별히, 문자 언어의 체계는 해독 과정의 방식에 중요한 변인이다. 한글은 세계의 어떤 글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한글의 특성에 맞는 해독 지도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본 고의 목적이었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먼저 한글의 특성을 고찰했고, 한국 유아의 해독 과정을, 해독의 발달 과정과 사용하는 해독 책략에 대한 개인적 관찰을 통하여, 영어권 아동의 해독 과정과 비교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해독 책략들을 중심으로 해독 지도의 방법들에 대한 제안을 했다. Decoding skills are essential components of reading processes. Children's decoding skills reveal various developmental variants depending upon the structure of the written language and their individual cognitive abilities as well. The structure of the written language especially influences as an important factor on the ways children processes the language to decode. In teaching the decoding skills to children, the teaching methods should be based, among other things, on the structures of the language children learn. 'Hangul', the Korean written language has, in many respect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other language in the world. With respect to decoding, this paper intended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angul and on the basis of them, develop proper methods for teaching.

      • KCI등재후보

        유아 체육교육에 대한 실태 분석 연구

        이차숙 한국보육학회 2011 한국보육학회지 Vol.11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current actual conditions of physical education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118 teachers who teach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was made by the researcher according to precedent studies and the end of this study.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st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perceived physical education 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matters, and they have good teaching efficacy in knowledge and skills of teaching. The physical activities were not planned by general teachers of young children, but by special instructor for physical education. The young children in the programs didn't have enough time to develop fundamental movement skills. Most of teachers felt necessity and development of new program of physical activities and want to manage the curriculum easily by themselves. And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e insufficiency of outdoor sports facilities and sporting goods. This study proposed that we need more research in searching for methods to foster young children's physical expression, movement skills, and physical strength.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체육교육 실태를 알아보고 유아체육교육의 문제점을 찾아 그 개선방안을 찾고자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111명의 유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체육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적 운영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기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일반 교사들은 유아 체육 활동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었으며, 체육교육에 대한 비교적 높은 교수 효능감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 체육교육은 대부분 체육전담교사가 담당하고 있었으며, 체육 활동에 할애한 빈도와 시간은 조사 대상 유치원과 어린이 집의 80%이상에서 한 달에 1-2회, 1회 체육시간은 20-30분 미만이었다. 체육활동은 전체 교육과정과 균형과 통합을 이루지 못하면서 시행되고 있었고, 바깥 놀이 활동의 빈도와 시간도 절대적으로 부족했으며, 바깥놀이 시설과 운동 기구들도 충분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체육교육의 중요성을 분명히 인식하고, 유아 체육교육이 현실적으로 신체 움직임이나 신체 표현기술, 그리고 체력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으로 진행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을 제안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