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한국기업의 투자행태분석: 이론적 배경과 실증적 근거

        이종일 ( Johng Ihl Lee ) 기술경영경제학회 199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3 No.1

        전통적인 산업조직이론에서 널리 사용되는 시장구조-행동-성과 분석 도구 (The SCP Paradigm)는 시장성과가 가격정책, 기술개발투자(R&D), 광고투자, 생산 설비 변경 등 시장행동의 함수라는 압묵적 가정에 근거한다. 최근 시장행동 중에서 기업의 관심이 크게 높아진 R&D 및 광고투자가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부각되었으며, 시장성과를 구성하는 주요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R&D 및 광고투자의 성격과 행태, 그리고 시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상호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두가지 변수를 동시에 다룬 연구는 매우 드물다. 몇 안되는 연구들도 기업의 행태를 실증적으로 설명하는 데 치중함으로써 이론적 근거를 소홀히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논리의 전개상 이론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수리모형이 먼저 제시된 후에야 이를 검증하는 방법으로 통계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 논문은 기존의 SCP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기업이 한정된 재원을 어떤 원칙아래 R&D 및 광고에 분산투자하는 가를 설명하기 위해 수리모형을 설정한 후, 정태와 동학, 확실정과 불확실성, 단발성과 균등투자전략의 개념을 도입하여 다양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 R&D 및 광고투자 함수를 이론적 근거에 의해 도입하되, 각 모형에 균형이 존재하는가를 검증하였다. 수리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1) 기업의 투자는 R&D 및 광고투자간에 한 계원리(Marginal Principle)가 지켜지도록 분배할 때에 효율적임이 판명되었고, (2) 동학모형이 정학모형을 포함하는 일반모형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3) 투자는 확실성이 높을수록, 분산시킬수록 투자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모형추정은 앞의 수리모형 및 그 결과에 근거를 두었으며, 한국기업에 적절한 R&D 및 광고투자함수를 추정한 뒤 이를 이용해 업종, 기업규모, 상품유형별로 적합한 모델(Fixed Effects Model)을 결정하고, 각각에 해당 하는 통계모형을 구축하였다. 이 결과 (1) 업종 및 기업규모별로 그룹간에 유의한 특성이 발견되었으며, (2) R&D 및 광고투자는 기업의 시장성과를 설명 하는 중요한 변 수이나, (3) R&D투자의 경우는 광고에 비해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 수리모형에서 도출된 한계원리가 통계모형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후보

        R&D지원정책이 기술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종일(Lee Johng-Ihl),김찬준(Kim Chan-Jun) 한국기술혁신학회 2007 기술혁신학회지 Vol.10 No.1

        기술정책은 기술획득을 위한 민간투자가 적정수준 이하로 과소투자되는 성향을 보전하는 중요한 정책수단이다. 그러나 기술정책과 관련된 정부정책에 대한 정량적 평가는 아직도 초보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과제수준에서 기술개발지원제도의 성과를 계량경제학적 모형(Probit)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 민간부문의 대응 투자(현금과 현물), 기술개발과제 수행형태, 수행주체간의 역할 등이 기술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가설을 검증하는 형태로 살펴보았다. 총투자규모 보다는 투자의 구성 및 내용이 중요하고, 기업의 대응투자, 특히 현금투자의 정도가 기술적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기업의 현금투자와 현물투자는 대체재 관계라는 정책적 시사점이 높은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추가적인 연구와 더불어 새로운 국가기술 개발지원제도의 기획은 물론 그 효율성 평가에도 많은 도움과 함께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Among numerous policy influencers' and researchers' advices and policy suggestions, there is little opposition to the proposition that technology is essential to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role of technology has never been more emphasized than today in Korea as in any other countries. The effects of the government's innovation policy on corporate R&D activities and more broadly the economic welfare of a whole nation are widely recognized with intuitional and empirical evidence. That is, various R&D incentives reduce the marginal cost of a firm's R&D efforts, inducing as much increase of its R&D investment to result in a better chance to acquire target techn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R&D incentives on the technological outcomes by analyzing individual firms' investment behaviors subject to the government's R&D incentive policies. An econometric model of technological outcomes is estimated on a project level with cross-sectional data. "Probit model" is employed for estimations.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effectiveness of R&D programs by estimating policy impact by types of inves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928 different R&D projects completed between 1987 and 1993. With the single equation approach, we were able to find that the structure of investment is a far more Significant factor in technological outcomes than the total amount of investment.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two types of firms' matching investment, in-kind and cash, do not bear a complementary, but a substitutive relations to each other. It also reconfirms the proposition that R&D incentives increase firm's financial investment. Despite many supportive studies emphasizing the cooperation between innovation performers, it is also found that the larger the number of institutions involved in a project, the less likely it leads to a technological success, And meeting the proposed deadlines without postponing is estimated to be a good barometer to predict the outcome of an R&D project. Also the probabilities of success for major variables are represented for policy implications, after calculating marginal effects.

      • KCI등재
      • KCI등재

        A Feasibility Study of HRD Infrastructure Project on an African Public Corporation

        박문수(Mun-su Park),이종일(Johng-Ihl Lee),장순우(Soonwoo D. Chang) 한국통상정보학회 2020 통상정보연구 Vol.22 No.3

        국제 협력이 점차 중요 해짐에 따라 한국 정부는 국제기구와 협력하여 개발도상국의 경제 개발을 지원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과 가나의 협력을 통해 가나의 송변전 부문에서 전력 기술 인력 확보를 지원하고 인력의 엔지니어링 기술을 향상하기 위해 교육훈련기관 설립 프로젝트의 타당성의 필요성 제시합니다. 선행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검토한 바에 따르면 경제적 타당성 조사 뿐 아니라 환경적, 기술적, 사회부 합성 관련 타당성 등의 다각적인 타당성 조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면적인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고자 기술, 경제, 법률, 운영방식, 진행과정에 대한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가나에서 지속 가능한 훈련 센터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강사와 훈련생의 수요와 공급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훈련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과학자와 엔지니어를 위한 훈련 센터의 존재가 중요한 이유에 대한 증거를 제공했다. There have been studies focusing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RD and economic development. This study adds to the growing body of literature by examining the feasibility of a Ghana HRD project by assessing five factors (Technical, Economic, Legal, Operational, and Schedule). The study suggests that securing the supply and demand of lecturers and training personnel are keys to operating a sustainable training center. The study contributes and offers evidence as to why the existence of a training center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is vital. Furthermore, the analysis can provide a guide to political guidance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창업보육과 신기술 벤처기업 활성화

        이종일 한국중소기업학회 1998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 No.2

        The unpredictable trend of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uncertainty of R&D activity for innovation are among the key barriers to participating in emerging markets. As potentially significant players for new markets, new technology business firms(NTBFs) are increasingly important to building up a knowledge-based economy in that they can creak a number of jobs this country desperately need right now, and generate a significant amount of new wealth, restructuring industrial structure by innovation. Technology business incubators(TBI) provide various services that enhance these firms' opportunity for success and greatly contribute to the economy. From the point of government's view, this paper characteristically surveys the TBIs(or BI) in Korea and the typical TBI-related institutions and functions of the USA, Japan and Israel which are successfully playing their roles and are strategically important to their econom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four countries are presented and compared so that policy implications are derived as the lessons and policy sugg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