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방목초지 돈분액비 시용이 목초 생산성 및 방목한우 증체에 미치는 영향

        고서봉(S. B. Ko),박남건(N. G. Park),황경준(K. J. Hwang),이종언(C. E. Lee),강승률(S. Y. Ka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3 No.4

        제주 화산회토 방목초지에서 돈분액비 시용이 목초 생산성 및 한우 방목축의 증체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화학비료구(N-P-K=150-150-12kg/ha)와 화학비료구의 N을 기준한 돈분액비 100%, 150% 시용구 등 3처리 단반복(구당 1.4ha)으로 하여 2000년 가을에 조성된 혼파초지에서 2001년부터 2002까지 2년간 한우 육성우를 이용하여 방목기간 동안 연속방목 방법으로 실시하여 목초생산성 및 방목축 증체효과 등을 비교 분석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처리별 ha당 목초 건물생산량은 화학비료구가 16,291kg인데 비해 액비 100%구 15,632kg, 액비 150%구 16,320kg으로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목초 식생 구성율은 파종 이듬해 생육초기에는 perennial tyegrass가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2년차에서는 perennial rye-grass, orchard grass 등 화본과 목초가 60~70%, 두과인 red clover가 20~30%로 적정한 식생을 보였다. 2. 토양의 화화적 성분인 pH, T-N 등은 화학비료구나 액비 시용구간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K, Ca, Mg 등은 액비 시용구가 높게 나타났다. 3. 방목축의 두당 일당 증체량은 0.562~0.580kg으로 액비 150%구, 화학비료구 등에서 다소 높았으나 처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ha당 총 증체량도 540~555kg으로 액비 150%구가 다소 높은 증체량을 나타냈다. 4. 방목축 혈액내 화학성분인 백혈구수. 적혈구수, 총 단백질 및 알부민 등은 화학비료구나 액비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방목초지에서 목초의 적정 생산과 방목을 위하여 돈분액비 시용량은 화학비료 N수준의 100-150%(N; 150~225kg/ha) 인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농가생산 원유의 유질 및 위생진단에 관한 연구

        진신흠,고문석,이종언,이현종,김은주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2 한국축산학회지 Vol.44 No.1

        본 시험은 제주도내 92개 낙농가중 3지역 8개 낙농가 착유우 262두에서 생산되는 우유의 품질을 분석하고, 고품질 우유생산에 저해 요인이 되는 유방염 원인균을 분석 처방하여 체세포 수가 낮은 신선한 고품질의 우유를 생산코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6∼10월 중 일일 1두당 평균 산유량은 22.4㎏, 평균 유지율은 3.69%였다. 우유내 평균 세균수는 15천/㎖로 대체로 양호 하였으며, 체세포 수는 농가 평균 254.6천/㎖ 였고, 착유우 742분방에 대한 6∼10월간 체세포수의 분포 비율은 우유 ㎖당 20만 이하 68.8%, 20∼50만 18.8%, 50만 이상 12.4%였다. 유방염 원인균별 발생분포는 포도구균성이 47분방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쇄상 구균성 17분방, 바실러스성 12분방 등으로 분석되었다. 산유량, 유지율, 세균 수, 체세포 수를 적용한 농가별 월간 조수입은 두당 평균 407천원이였으며, E와 A 농가에서는 456∼445천원으로 높은 반면, H농가는 314천원으로 낮아 농가간에 큰 소득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낙농소득 향상을 위해서는 사양체계 개선에 의한 산유량 및 유지 율을 높이고, 위생적인 사양관리로 세균 수를 낮추며, 유방염의 예방 및 정기 검진에 의한 적정 처방으로 체세포 수를 경감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ilk quality produced from dairy farms in Jeju province and to analyze the variety of pathogenes and the number of somatic cells in the milk. Data were collected from 262 lactating cows from 8 farms of three regions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daily milk yields and milk fat contents from June and October were 22.3 ㎏ and 3.7%, respectively. 2. The average number of bacterial counts in raw milk was 1.5×10^4/㎖, but that in farm A was over 3.0×10^4/㎖. 3. The somatic cell counts were 2.5×10^5/㎖ in average and those in farm G and H were higher than those in other farms. Their distribution in 262 lactating cows from June to October was as follows; less than 2.0×10^4 /㎖ in 68.8% of cows, 2.0-5.0×10^4/㎖ in 18.8% of cosws and more than 5.0×10^4/㎖ in 12.4% of cows. 4. Of the 113 isolates (compartments of cow udder) from mastitic milk, Staphylococcus aureus was found in 47, Streptococcus ogalatiae in 17 and Bacillus in 12. 5.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rmers was 407 thousand won/head, and that in farm A or E was higher than that of farm H (456-475 thousand won vs. 314 thousand won) In conclusion, to improve income dairy farmers should reduce the somatic cell counts in the milk and mastitis infection through regular disinfection and inspection

      • KCI등재

        돼지의 출하일령, 수송시간 및 계류시간에 따른 PSE 발생율 비교

        박범영,이종언,김일석,조수현,김용곤,이종문,윤상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3 한국축산학회지 Vol.45 No.3

        PSE 발생원인을 규명하고자 제주소재 J 도축장에 출하된 돼지에 대하여 PSE 발생원인을 규명한 결과 도축전 돼지의 취급이 돼지 출하일령을 180일 이상과 이하로 미만은 24.9%. 180일령 이상은 18.9%로 비육일령 연장에 의한 PSE 발생율 감소는 6%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두수 50두 이상 농가의 농가별 PSE 발생율을 조사한 결과, 가장 낮은 농가가 17.30%, 가장 높은 농가가 80.36%로 63.06%의 큰 차이를 보였다. 수송 소요시산별 PSE 돈육 발생율은 30분 미만, 30분~1시간 미만에서는 각각 46.66%, 45.65%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1시간 이상 수송시는 35.44%로 수송시간이 증가됨으로 약 9%의 PSE 발생율이 감소하였다. 절식과 계류 유무에 따른 도체율은 당일 도축 72.68%에 대하여 계류시 72.67%로 조사되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축전 돼지의 계류 유무에 따른 PSE 발생율은 무계류시 55.66%, 계류시 33.88%로 전일 계류를 실시함으로서 PSE 발생율은 21.74% 감소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출하일령의 연장, 도축전 적절한 계류는 돈육의 품질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도축전 돼지의 관리와 계류의 중요성에 관심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incidence of PSE(Pale, Soft, Exudative) pork by slaughter weight and handling conditions at preslaughtering stage such as fattening period, transport and lairage time were compared. The incidence of PSE pork were 24.9% when pigs were fed under 180days and 18.9% when pigs were fed over 180 days for fattening. In the transport time from farm to slaughter house, the incidence of PSE pork were 46.6% for shorter than .0min and 45.65% for 30 min~60 min and 35.44% for longer than 60min. The incidence of PSE pork were 55.6% for pigs had no lairage before slaughter, 33.9% for pigs held in lairage overnight. Therefore, the incidence of PSE pork were decreased by 6% with the extension of the fattening period and 9% with the transport time of longer than 1hr and 22.1% with lairage treatment before slaughter. The incidence of PSE pork were different in different location of farm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live weight, carcass weight and carcass yield between groups of lairage treatment. In conclusion, handling condition at preslaughtering stage such as extension of fattening period and lairage time were important to control pork quality and lairage treatment was not decreased the carcass yield.

      • KCI우수등재

        NonChanges in Serum Vitamin E end Trace Mineral Levels and Other Blood Parameters in Growing Thoroughbred Horses During the Period of Pasture Grazing and Stable Feedin

        Lee, C. E.,Park, N. K.,Jin, S. H.,Kim, Y. J.,Kang, D. H.,Kim, K. I.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2 한국축산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는 Thoroughbred 육성마에서 계절별 사양체계에 따른 혈청 비타민 E, 미량광물질 수준 및 혈액 화학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사기간(이른 봄) 동안 50두의 육성마(암, 11∼14개월령)에게 농후사료(체중의 1.4%), 오챠드그라스 건초(0.62%)와 알팔파 건초(0.37%)를 급여하였다. 방목기간 동안 봄부터 초여름까지는 농추사료를 체중의 1.1% 보충급여 하였고 이 후 가을철 방목종료까지는 농후사료 1.1%와 알팔파 건초 0.5%를 급여하였다. 혈액을 이른 봄(사사기), 이른 여름 및 늦가을(방목기) 3회에 걸쳐 채취하였다. 방목사양은 혈청 비타민 E, 혈중 요소(BUN), GOT, GTP, T-bilirubin 및 D-bilirubin 함량을 증가 시켰다. (P<0.01). 혈청 Fe 및 Zn 함량은 가을 방목사양에서가 다른 사양체계에서 보다 높게 (P<0.01) 나타났다. Cu는 방목기간에 비해 사사기간 동안에 높았다(P<0.01). 혈중 glucose 및 creatinine 함량은 방목기간에 비해 사사기간에 높게 (P<0.01)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말 혈청 비타민 E 및 미량광물질 함량과 각종 혈액 화학치는 사양체계 및 급여사료에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비타민이나 미량광물질의 추가 공급은 계절별 사양체계 또는 급여되고 있는 사료내 함량 및 이용성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Nutritional adequacy of growing Thoroughbred horses raised in an alternate feeding system - grazing during late spring through late fall and stable feeding for the rest of seasons - was assessed by determining vitamin E and Trace mineral levels in the serum and blood chemistry related to nutrition and health. During the stable feeding in winter and early spring, 50 growing female horses were fed concentrates (1.4% of their body weight), grass hay (0.62%) and alfalfa hay (0.37%). For the grazing period, the same horses were fed supplementary concentrates (1.1%) during late spring through early summer, and concentrates (1.1%) and alfalfa hay (0.5%) during late summer through late fal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grazing in early spring, and during grazing in early summer through late fall. Serum vitamin E, BUN, GTP, total bilirubin and direct bilirubin levels were increased (P<0.01) by grazing compared to those measured before the initiation of grazing. Horses had lower (P<0.01) serum Fe contents in early summer than in late fall or in time of stable feeding. Stable feeding increased (P<0.01) serum Cu content compared to grazing in both early summer and late fall. In late fall, serum Zn level increased (P<0.01) compared to that found in the other seasons. Blood glucose and creatinine levels decreased (P<0.01) after grazing.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s of some minerals and vitamin E are not always necessary in diets for growing horses and should be done after careful evaluation of diets with regard to concentrations and biological availability of miner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