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道德經 2장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의 해석에 관한 一考

        이종상,이동아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2 大東漢文學 Vol.73 No.-

        The chapter Two in Wang Bi version(王弼本) corresponds to chapter One of Chu bamboo Chujian version(楚簡本) because Chu bamboo Chujian version(楚簡本) does not include a chapter equivalent to chapter One in Wang Bi version(王弼本). Accordingly, the chapter Two would be very important one in Daodejing(道德經). But the interpretations for the first sentence of the chapter Two,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are very different each other according to translator so that whole meaning of the chapter Two might be varied depending upon how to interpret the sen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signed to newly interpret the sentence,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after suggesting the causes for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sentence in the past and the problems. For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its interpretation can be varied according to in what meanings ‘Wei(爲: to become)’ and words just before ‘Yi(已)’ are figured out, and according to thing to be pointed out by demonstrative pronoun ‘Si(斯: this)’.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right interpretation in existing way. The subject of ‘天下皆知美之爲美.’ is Jie(皆: all) and Tianxia(天下: under heaven) is a modifier for Jie(皆). Zhi(知: to know) is main verb and ‘美之爲美’ is a final clause. In the final clause, the subject is Mei(美: beauty), Zhi(之) is subjective case particle, Wei(爲) is a verb meaning ‘to become ~.’, and Mei(美) is a complement. Accordingly, a new interpretation on the sentence says, ‘all the people under heaven know that beauty becomes beauty.’ And demonstrative pronoun ‘Si(斯: this)’ points out ‘Weimei(爲美: to become beauty)’, ‘E(惡: ugliness)’ is a complement. Accordingly, ‘斯惡已’ is interpreted as ‘to become beauty is ugliness.’ That is, ‘惡之爲美: ugliness becomes beauty.’ Therefore, the sentence,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can be interpreted as ‘when all the people under heaven know that beauty becomes beauty, to become beauty is ugliness.’ 道德經 楚簡本에는 王弼本의 1장에 해당되는 부분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2장이 楚簡本의 첫 장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2장 또한 매우 중요한 장이다. 그런데 번역자에 따라서 2장의 첫 문장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에 관한 해석은 매우 다르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2장 전체의 의미는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에 관한 기존 해석의 차이점이 발생하는 원인과 문제점을 제시한 후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데 있다.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의 문장에서 ‘爲’의 뜻과 지시대명사 ‘斯’가 가리키는 것, 그리고 ‘已’자 앞을 어떤 의미로 파악하느냐에 따라서 해석을 다르게 할 수 있다. ‘天下皆知美之爲美.’의 주어는 皆이며 天下는 皆를 수식하는 용어이다. 知는 본동사, ‘美之爲美’는 목적절이다. 목적절 속에서 주어는 美이며, 之는 주격조사이고, 爲는 ‘~이 된다.’의 의미를 가진 동사이고, 美는 보어이다. 따라서 이 문구를 새롭게 해석하면 ‘세상 사람 모두가 아름다움이 아름다움으로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가 된다. 그러면 지시대명사 斯는 ‘爲美’를 지칭하고, ‘惡’는 보어이기 때문에 ‘아름다움으로 되는 것은 추함이다’가 된다. 즉 ‘惡之爲美’이다. 따라서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의 문장은 ‘세상 사람 모두가 아름다움이 아름다움으로 되는 것으로 아는 데, 그것은 추함이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도덕경 의 논증 구조 분석 — 윌리엄스⋅콜럼의 모형을 중심으로

        이종상,이동아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4

        Lao-tzu’s core philosophy has been known as the rule of the king since the first generation of scholars. Later, by several scholars recognized that Tao Te Ching was a text for rulers; the readers of Tao Te Ching were the rulers, and the Tao Te Ching was said to have been written to persuade the ruler. If the purpose of writing Tao Te Ching is to persuade the ruler, it can be inferred that it would have been based on a grounded claim, that is, an argument. Therefore, Lao-tzu’s writing is not simply a sequence, but it can be proposed that all chapters have a certain argumentation system. In this article, Tao Te Ching was viewed as writing for persuasion, that is, argument accompanied by evidence, and the way in which Tao Te Ching was constructed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argument. The structure of the argument used at this time adopted the Williams & Colomb model. Among 81 chapters of Tao Te Ching, there are 9 chapters that contain all four elements, such as evidence-reason-claim-warrant, and when considering the order of arrangement of elements, there are three types. There are 49 chapter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such as reason-claimwarrant, and there are 8 types when considering the order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There are 16 chapters composed of evidence-reason-claim, and there are 5 when considering the order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addition, there are two chapters representing two reasons and arguments for one warrant, and one chapter representing two reasons and arguments for each reason. There is one chapter with one claim for three evidences and three reasons, and seven for the other five types. In examining the argument structures considered to be the most widely used in Tao Te Ching, five chapters for each type were examined,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rgument structure, it was possible to more clearly interpret the problem compared to the previous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e interpretation of Tao Te Ching by argumentation and analysis results using existing analysis methods such as argumentation method and rhetoric method were compared for Chapters 13, in which both were commonly present. As a result, the analysis frame of the argument structure adopted in this article is more effective for understanding Tao Te Ching, compared to other analytical frames. 2,500여 년 전에 노자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도덕경 은 도경과 덕경으로 구분되며 총 8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판본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약 5,100여 자, 모두 한자로 만들어진 책이다. 노자의 핵심철학은 한나라 이후부터 제왕의 통치술이라고 알려져 왔다. 이후에여러 학자에 의해서 도덕경 은 통치자를 위한 텍스트로 인식되었고, 그 독자는 통치자이며, 통치자를 설득시키기 위해서 노자는 도덕경 을 집필하였다는 것이다. 도덕경 의 집필 목적이 통치자를 설득하는 것이라면, 근거가 있는 주장, 즉 논증 형식으로 되어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도덕경 의 문체는 단순히 나열식이라기보다는 모든 장이 일정한논증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도덕경 이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한 글쓰기, 즉, 증거가 수반된 주장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고, 그 논증 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도덕경 을 이해⋅ 해석할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한 논증의 구조는윌리엄스ㆍ콜럼의 모형이다. 도덕경 총 81장 중에 근거-이유-주장-전제와 같이 4개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장은 9개인데, 구성 요소의 배열 순서를고려할 경우 3가지의 유형이 있다. 이유-주장-전제와 같이 3개의 구성 요소로 구성된 장은 51개인데, 구성 요소의 배열 순서를 고려하는경우 8가지 유형이 있다. 근거-이유-주장으로 구성된 장은 15개인데, 구성 요소의 배열 순서까지 고려하면 5가지가 있다. 또한, 하나의 전제에 2개씩의 이유와 주장을 나타내는 장도 2개가 있고, 하나의 근거에 2개씩의 이유와 주장을 나타내는 장도 1개가 있다. 3개의 근거와3개의 이유에 1개의 주장이 제시된 장도 1개가 있고, 기타 4개의 유형은 7개의 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덕경 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고 생각되는논증 구조들 가운데서 유형별로 5개의 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논증 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이전에 해석상에 오류가 있다 생각된부분을 보다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논증 구조에 의한 도덕경 의 해석 결과와 기존의 분석 방법인 논증 방식, 변증법 등을 이용한 분석 중에 서로 공통되는 부분인 13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른 분석 방법보다 논증 구조 분석방법이 도덕경 을 이해하는 데 더욱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