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스코드 주제를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 경고 분류 방법

        이정빈,Lee, Jung-Been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9 No.11

        자동화된 정적분석 도구는 소스 코드상에 잠재된 결함을 개발자들이 적은 노력으로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이러한 정적분석 도구는 수정할 필요가 없는 오탐지 경고들을 무수하게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소스코드 블록의 토픽 모델을 이용한 인공신경망 기반의 경고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소프트웨어 변경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버그를 수정한 리비전들을 수집하고, 개발자들로부터 수정된 코드 블록들을 추출한다. 토픽 모델링을 이용하여 수집된 코드 블록의 토픽 분포 값을 구하고, 코드 블록의 리비전 간 경고들의 삭제 여부를 표현하는 이진데이터를 인공신경망의 입력 값과 출력 값으로 사용하여 심층 학습을 수행한다. 그 결과, 인공신경망 기반의 분류 모델이 높은 예측 성능으로 진성 또는 오탐지 경고를 분류하였다. Automatic Static Analysis Tools help developers to quickly find potential defects in source code with less effort. However, the tools reports a large number of false positive warnings which do not have to fix. In our study, we proposed an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warning classification method using topic models of source code blocks. We collect revisions for fixing bugs from software change management (SCM) system and extract code blocks modified by developers. In deep learning stage, topic distribution values of the code blocks and the binary data that present the warning removal in the blocks are used as input and target data in an simple artificial neural network, respectively. In our experimental results, our warning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neural network shows very high performance to predict label of warnings such as true or false positive.

      • KCI우수등재

        607년 고구려 동돌궐 교섭의 배경과 목적

        이정빈(Lee, Jeong-Bin) 역사학회 2015 역사학보 Vol.0 No.225

        The existing body of literature has noted that the negotiation in 607 had been instrumental for the outbreak of Goguryo-Sui War in 612. Sui was alert to the strategic alignment between Goguryo and Eastern Turks. In conjunction with its own assessment that Goguryo posed a potential threat to its security, Sui apparently figured out that Goguryo’s attack on Sui was imminent. Such conventional wisdom, however, neglects Eastern Turks’ foreign relations and thus warrants reconsideration. Eastern Turk in 607 was totally subordinate to Sui. Eastern Turks were in needs for Sui’s support, in order to compete against Western Turks and Tiele(鐵勒). Accordingly, in order not to jeopardize its relations with Sui, Eastern Turks informed the Sui of Goguryo’s attempts to open negotiations. It suggests that Sui needed not to be overly concerned with the alignment between Goguryo and Eastern Turks. In 607, Goguryo increasingly became wary of Sui. Emperor Yang(煬帝) asked Peiju(裴矩) to collect military information about Goguryo who then wrote Goryeopoongsok(??高麗風俗』). In 607, Emperor Yang conducted an inspection tour around its northern territories, and tried to win over tribes and states under the Goguryo’s influence. From Goguryo’s perspective, Emperor’s such inspection tour was a real threat. Under such context, Goguryo may not have expected forming a military alliance with Eastern Turks, but probably tried to avoid conflictual relations with them. More specifically, Goguryo was thought to have attempted stabilizing Western frontiers through developing relations with Eastern Turks.

      • Bayesian Belief Network를 이용한 아키텍처 전술 품질 평가 방법

        이정빈 ( Jung-been Lee ),이동현 ( Dong-hyun Lee ),김능회 ( Neung-hoe Kim ),인호 ( Hoh Peter 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7 No.2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 초기에 아키텍처를 분석하고 평가하지 않으면, 점점 품질결함을 발견하고 수정하는 비용이 증가한다. 기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분석 및 평가 방법은 아키텍처라는 상당히 추상화된 수준에서 분석 및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평가기준이 주관적이며, 선택된 아키텍처 후보들만으로 서로에게 미치는 품질속성의 영향을 파악하기 힘들다. 따라서 품질 속성 시나리오나 아키텍처 전략을 구현하기 위한 세부적인 아키텍처 전술들의 품질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아키텍처 전술의 품질 평가를 위해, Q-SIG(Quantified Softgoal Interdependency Graph)을 이용한 품질속성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아키텍처 전술의 관계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표현한다. 또한 Bayesian Belief Network(BBN) 모델 구축을 통해 Q-SIG에서 표현할 수 없는 다수의 품질속성을 만족하는 아키텍처 전술들 간의 조합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하여 아키텍트가 소프트웨어 디자인 단계에서 높은 품질속성을 달성할 수 있는 아키텍처 전술들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단보 : 웹 기반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시범구축 및 성능평가

        이정빈 ( Jung Bin Lee ),김정현 ( Jeong Hyun Kim ),박용남 ( Yong Nam Park ),홍석영 ( Suk Young Hong ),허준 ( Joon Heo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5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1 No.5

        미국, 유럽 등 해외 선진국에서는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작물 생산량 예측, 기상 변화 및 이상치 관측, 작물 재배지 분류 및 면적 산정 등 작물 생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정보 취득과 분석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오픈소스 및 상용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웹 기반 시스템이며 원격 탐사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을 위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는 GeoServer, ArcGIS Server를 이용하여 Map Server 및 Web Application Server가 구성되었으며 응답시간 및 데이터 전송량 평가를 통하여 향후 농업생산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구성과 이에대한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동일한 조건에서 구축된 시스템은 응답시간 및 초당 데이터전송량에서 GeoServer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USA and Europe, agricultural monitoring system is developed and utilized in various fields in order to predict crop yield, observe weather conditions and anomaly, categorize crop fields, and calculate areas for each crop. These system is Web Map Service(WMS) which utilizes open source and commercial softwares, and various information collected from remote sensing data are provided. This study will utilize tools such as GeoServer, ArcGIS Server, which are widely used to monitor agricultural production, to publish Map Server and Web Application Server. This enables performance test study for future agricultural production monitoring system by making use of response time and data transfer test. When tested in identical condition GeoServer showed a better result in response time and data transfer for performance test.

      • KCI등재후보

        소형산업용 인덕션 히터의 최대에너지 전달에 관한 연구

        이정빈(Jeong-Bin Lee),김태명(Tae-Myoung Kim),김영완(Young-Wan Kim) 한국전기전자학회 2021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5 No.3

        본 논문에서는 유도 가열코일의 인덕턴스 변화 환경에서 스위칭주파수를 가변하여 최대 가열 전력이 전달될 수 있는 유도 가열 방식을 제안하였다. 가열코일내 피 가열체 종류 및 가열코일과의 근접도에 따라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가 변화하게 되며, 공진주파수와 스위칭주파수 관계에 따라 유도가열기 소자의 파손 또는 손실이 발생하여 최대 전력 전달이 어려울 수 있다. 공진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가열 전력을 감지하여 최대 전력 전달이 유지되도록 스위칭주파수를 가변하도록 하였다. 공진주파수 변화에 대응하는 스위칭주파수 가변에 따라 요구하는 출력 변화 범위내로 제어될 수 있는 제안된 방식의 결과를 통하여 거의 일정한 출력전력(0.43 dB 이내) 전달이 가능한 스위칭주파수 가변특성을 갖는 유도가열기의 전력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Induction heating method that allows the maximum heating power to be delivered by varying switching frequency in the inductance change of the work coil of induction heater was proposed in this paper.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piece in the work coil and proximity to the work coil,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resonant circuit will be changed. It may be difficult to deliver the maximum power due to the damage of the induced heater element or switching loss depending on the resonance frequency and switching frequency operating relationship. The switching frequency was variable to maintain the maximum power transmission by sensing the heating power due to the change of the resonance frequency. Through the result of the proposed method that can be controlled within the required output change r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witching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resonance frequency, the induction heater having a variable switching frequency characteristic that can transmit almost constant output power (within 0.43 dB) power efficiency was achieved.

      • 객체기반 영상분류를 위한 영상분할 가중치 비교

        이정빈(Jung-Bin Lee),허준(Joon Heo),손홍규(Hong-Gyoo Sohn),윤공현(Kong-Hyun Y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6

        객체기반 영상분류를 위한 영상분할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는 분할축척(Scale), 분광 정보(Color), 공간 정보(Shape) 등이 있으며 공간 정보에 해당하는 공간 변수는 평활도(Smoothness)와 조밀도(Compactness)가 있다. 이들 가중치의 선택이 최종적으로 객체기반 영상분류의 결과를 좌우하게 된다. 본 연구는 객체기반 영상분류의 준비 과정이라 할 수 있는 영상분할에 있어서 다양한 가중치를 적용을 통하여 영상을 분할하였다. 영상분할을 위해 적용한 가중치는 10, 20, 30의 분할축척(Scale)과 분광 정보(Color)와 공간 정보(Shape)간의 가중치 조합, 공간 변수인 평활도(Smoothness)와 조밀도(Campactness)의 가중치 조합을 사용하였다. 각 가중치 조합을 통하여 분할된 영상의 분석은 Moran's I와 객체 내부 분산(lntrasegment Variance)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객체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 Moran's I를 계산하였으며 분류된 지역의 동질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객체 면적을 고려한 객체 내부 분산(Intrasegment Variance)값을 계산하였다. Moran's I가 낮은 값을 가질수록 객체 간의 공간상관관계가 낮아지므로 이웃 객체 간의 이질성은 높아지며 객체 내부 분산(Intrasegment Variance)이 낮은 값을 가질수록 지역간의 동질성은 높아지게 된다. Moran‘s I와 객체 내부 분산(Intrasegment Variance)의 조합을 통하여 객체기반 영상분류 시 가장 높은 분류 정확도가 예상되는 밴드별 영상분할 가중치를 얻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