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주택 디자인요인의 가격영향 -서울특별시 한강이남 강남권 아파트의 10년 전・후를 비교하여-

        이인화Lee, In Hwa,이상직(Lee, Sang Jik) 대한부동산학회 2016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4 No.2

        본 연구는 매매가격기준으로 10년이 지난 상황에서 심미적 디자인 요소가 주택가격형성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따라서 매매가격 기준 2006년 서울특별시 강남권 고가아파트를 대상으로 분석한 2008년 연구자료를 가지고 2016년 매매가격을 적용하여 디자인가치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내용은 첫째, 심미단지와 비심미단지의 집단 간 가격의 평균차이가 있는지, 10년전과 어떻게 다른지 둘째, 심미요인이 저가지역보다 고가지역에서 더 많은 가격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셋째, 2008분석결과와 비교하여 디자인요인이 아파트 가격형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심미특성변수별로 아파트가격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관한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특성가격함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심미특성요인으로 인하여 고가지역에서는 심미단지와 비심미단지 간 가격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가지역에서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2008년 연구결과와 같은 분석결과이다. 둘째, 아파트가격형성에 대한 심미변수의 영향력 분석결과, 2008년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고가지역과 저가지역 모두 디자인가치의 가격영향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가지역과 저가지역 모두 공간성, 조형성, 경관성 측면에서 가격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써 아파트의 디자인가치의 가격영향이 10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aesthetic design factors are still affecting the formation of housing prices after 10 years from the 2006 sale price. Therefore, it analyzed design value by applying the price of sale in 2016 with the 2008 study data which analyzed the high price apartments in Gangnam zone in 2006 based on the sale price. And then it compared the result of 2008 study result with 2016 study result. It analyzed the following contents of study: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ice of apartment housing between the aesthetic complex and the non-aesthetic complex: whether there was the higher price effect of aesthetics in high price apartment housing: whether there was still the impact of aesthetic factor compared with the 2008 study. It analyzed how much effect each trait had on the price by using hedonic function model. It was found that the price difference of apartment housing between the aesthetic complex and the non-aesthetic complex existed in high priced apartment housing and it didn t exist in low priced apartment housing. This result is the same of that of 2008: The influence of the aesthetic variables on the formation of the apartment price showed that the price effect of the design value greatly increased in both the high and low price zone compared with the 2008 results: It has been analyzed that it has various price influences on spatiality, formability, and landscape.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price influence of the design value of apartment still exists even after 10 years.

      • 테마연재 /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원리

        이인화,Lee, In-Hwa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원 2003 디지털콘텐츠 Vol.8 No.-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0l Storytelling)'이란 디지털 기술을 매체환경 또는 표현 수단으로 수용해 이루어지는 스토리텔링이다. 영화를 비롯한 미디어 영상물은 대개 6단계의 표준 제작 공정으로 만들어진다. 1)기획개발단계(Develop) 2)제작준비단계(Pre-Production)3)제작단계(Production) 4)후반작업단계(Post-Production)5)배급단계(Distribution) 6)상영단계(Exhibition)가 그것이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이란 1)에서 6)에 이르는 매체 환경전체에 디지털 기술이 수용되거나, 최소한 1)에서 4)에 이르는 스토리에서 담화까지의 창작에 표현 수단으로 디지털 기술이 수용된 경우를 말한다.

      • KCI등재

        PISA 2018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활용 경향과 읽기 성취의 특성 : PISA 2009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인화 ( Lee¸ Inwha ),구남욱 ( Koo¸ Namwook ),전지혜 ( Jeon¸ Jihye )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 No.61

        PISA는 OECD가 주관하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 연구로서, 3년 주기로 인지적 영역에 대한 평가와 교육맥락변인에 대한 조사를 병행한다. 표집된 만 15세 학생들로부터 도출된 인지적 영역의 평가 결과가 한국 학생들의 성취를 대표하듯이, 교육맥락변인에 대한 조사 결과 역시 교육에 관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응답으로서 한국 교육의 현황을 알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PISA가 수집하고 있는 ICT 설문 결과를 통해 한국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활용 경향성을 파악하고 그러한 경향성이 읽기 성취와 어떤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 밖 디지털 기기 사용 방식과 읽기 성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집단에서는 전체 집단이나 중·하집단과 달리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밖 디지털 기기 사용 방식과 읽기 성취는 PISA 2018, 2009 동일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밖 게임 참여 빈도와 읽기 성취’는 하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ISA 2009 하집단을 제외한 두 주기 모든 집단에서 게임 참여 빈도와 읽기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교 밖 디지털 기기에 대한 태도에 따른 읽기 성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수준 집단별로 살펴보면, 상집단에서는 부적 상관, 중 · 하집단에서는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안 국어 수업에서의 디지털 기기 사용과 읽기 성취’ 측면에서는 PISA 2009와 PISA 2018의 비교를 통해 학교 국어수업에서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과 성취수준 집단별로 수업에서의 디지털 기기 사용의 영향을 다르게 받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교 수업에서의 컴퓨터 사용 시간과 읽기 점수는 PISA 2018과 2009의 전체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ISA 2009에 비해 2018에서 더 큰 효과 크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디지털 기기 사용 빈도, 디지털 기기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과 비판적 사용이 필요하다는 점, 디지털 기기의 유용성을 잘 인식하고 학교 교육에서 다양한 텍스트 읽기 경험을 제공하고 교육 방안을 구안하고 효과적으로 디지털 기기를 국어 수업에서 사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PISA is an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study hosted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which conducts assessments of cognitive domains and investigates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every three years. Just as the assessment results of the cognitive domain derived from the sampled 15-year-old students represent the achievements of Korean students, the survey results on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are also the responses of various actors involved in education, constituting important data that reveal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ducation. In this study, the tendency of Korean students to use digital devices was identified through the ICT survey results collected by PISA, and the relationship of such a tendency with reading achievement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out-of-school digital device use and reading achiev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high achievers’ group, unlike the overall or middle/lower achievers’ group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digital devices outside of school and reading achievement in the same way on the PISA 2018 and 2009.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ut-of-school game participation and reading achievement in all groups except the lower achievers’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am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reading score in all groups except the PISA 2009 lower achievers group. Next, reading achievement according to attitude toward out-of-school digital device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ading achievement. When looking at each achievement level group, a negative correlation was confirmed in the high achievers’ group and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middle and lower achievers’ groups. Lastly, in terms of digital device use and reading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classes in school, a comparison between PISA 2009 and PISA 2018 shows that the time spent using digital devices in school Korean classes is increas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digital devices in class has different effects for different achievement levels. In particular, computer use time and reading scores in school classe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ll achievement groups in PISA 2018 and 2009. It is estimated that there is a larger effect size in 2018 than in PISA 2009.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requency of use of digital devices, the need for awareness and critical use of the usefulness of digital devices, and the usefulness of digital devices are well recognized, suggesting that various text reading experiences are provided in schoo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use such devices for educational methods devised and effectively digitalized in Korean language classes.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학 영역 구성의 국제 비교 - 한국, 호주, 싱가포르, 캐나다 온타리오주를 중심으로 -

        이인화 ( Lee¸ In-wha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2

        이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2015 개정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교육내용이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서 갖는 특징과 한계점을 국제비교 및 내용 분석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한국을 비롯한 호주, 싱가포르,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문학 영역 구성의 양상과 특성을 알아보았다. 한국과 호주는 문학을 별도의 영역으로 설정하고 고유의 교육내용을 생성한 반면, 싱가포르와 캐나다 온타리오주는 언어기능과 언어 지식을 중심으로 영역을 설정하고 있었다. 호주와 싱가포르는 역량과 교과 간 연계성에 대한 고려가 두드러졌는데, 특히 호주는 역량과 세부 교육내용과의 연관성을 촘촘하게 체계화하였다. 교육 내용은 학생의 수행을 중심으로 범주화되었고 세부 내용은 나선형으로 배열하며 반복과 심화를 가시적으로 드러낸 것이 호주, 싱가포르,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특징인바, 한국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제시 방식과의 차이점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각국의 자국어 교육과정 문학 영역을 검토한 결과로부터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문학 영역이 담당하는 역할과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역량의 총체성이 역량의 인문주의적 성격과 분리될 수 없는바, 자국어 교육과정에서 문학 영역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은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행동주의 적 접근과 인문주의적 접근에 균형을 잡고 역량의 총체성을 추구해 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해외 사례를 참고하여 문학 영역이 담당할 수 있는 역량의 종류, 범위 등에 대한 논의를 심화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특성을 드러낼 수 있는 문학 영역의 교육내용 제시 방식과 성취기준의 배열 방식을 구안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related to future curriculum revision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ommon curriculum literature domain. For this purpose, using the methods of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content analysi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 of literary domains in the curriculum documents of Korea, Australia, Singapore, and Ontario, Canada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re as follows; (1) Korea and Australia set literature as a separate domain and created their own educational content. On the other hand, Singapore and Ontario, Canada, set their domains centered on language skills and language knowledge. (2) Australia and Singapore have strong links between competency and literary domains. In particular, Australia tightly system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detailed educational content. (3) In the curriculum of Australia, Singapore, and Ontario, Canada, educational contents were categorized based on student performance, and detailed contents were equipped with sequence. These characteristics need to be benchmarked by the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 presentation method of the curriculum in Korean literature domain. As described above, from the results of examining each country’s curriculum literature adomain, it was confirmed that the literary field plays a unique role and value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totality of competenc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humanistic character of competence. Therefore, actively considering the literary domain in the curriculum can contribute to the pursuit of the totality of competency while balancing the behaviorist and humanistic approache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addition, Korea needs to deepen the discussion on the type and scope of competence that the literary domain can take charge of by referring to overseas cas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method for presenting educational content in the literary domain and arranging achievement standards that can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 KCI등재

        토양세척법에 의한 클레이사격장 납 오염토양의 정화에 관한 연구

        이인화,설명수,Lee, In-Hwa,Seol, Myung-Soo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0 지하수토양환경 Vol.15 No.5

        For an efficient remediation of Pb-contaminated soil (S-1) in a clay shooting range, a soil washing test was performed with mineral acid, organic acid, chelating agent, and chloride. The Pb extraction efficiency of extractant (0.1 M) used in the washing test showed the order of HCl > $Na_2$-EDTA > NTA > DTPA > citric acid > malic acid > succinic acid > acetic acid > $CaCl_2$ > $MgCl_2$, for S-1 soil. As compared to initial Pb concentration, extraction efficiency by the concentration of extractant was 93.35%, 80.80%, 73.92%, and 24.57% in S-1 soil for HCl (0.5 M, pH 1.10), $Na_2$-EDTA (0.01 M, pH 3.99), citric acid (0.5 M, pH 1.27), and $MgCl_2$ (0.1 M, pH 8.82), respectively. S-1 soil had 56.83% of residue form and 43.17% of non-residue form (18.04% of exchangeable form), respectively. Although the concentrations of these fractions sharply decreased after HCl washing, since the exchangeable forms with relatively large mobility are still distributed as high as 18.78% (to Pb total content in residual soils) in S-1 soil, it is necessary to devise a proper management plan for residual soils after soil washing applic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묘사 관련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인화 ( In Wha Lee ),주세형 ( Se Hyung Jo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문학교육학 Vol.45 No.-

        국어교육의 외연의 확장과 함께 국어 교과 내적 논리를 공고히 하는 일은 국어 교과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근래 들어 교과 간 통합 교육과정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데, 국어과의 도구 교과적 위상을 공고히 하는 일은 타 교과의 정체성 확립에도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하나인 묘사를 선택하여, 역대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관련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해당 내용이 국어 교과의 본질을 구현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검토 결과, ‘묘사 관련 교육 내용’에 대한 합의나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교육 내용의 학년별 위계가 혼란스럽고, 기능 영역에 교육 내용이 편중된 반면, 묘사 교육 내용에 대한 공통역이 설정되지 않아 영역별로 학습자들이 묘사에 대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익히기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교과서 검토를 통해서는 문학 영역에서는 장르에 따라 묘사에 대한 접근 방법이 상이하며, 시에서는 주로 기법의 하나로, 소설에서는 내용 전개 방식의 하나로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독서에서는 소설 감상 과정을 추론 기능을 익히는 과정으로 재편하여 일부만 다루고 있고, 작문에서는 내용 전개 방식 및 기법 모두를 교육 내용으로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그 정합성을 갖추지 못하였다. 이처럼 영역별로 교육 내용이 상이한 것은 문학 영역에서 묘사에 대한 명제적 지식, 방법적 지식을 명확히 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를 기능 영역에서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활동을 구성하는 데에 적용함으로써 생긴 문제점으로 판단된다. 요컨대, ‘묘사 관련 교육 내용’은 그 교육적 가치가 재발견·재탐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역대 묘사 교육의 내용으로서 지속적으로 제시해 온 문학교육 및 쓰기교육에서 중핵이 되는 개념 및 관련 개념들을 명확히 기술해 내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읽기교육 및 문법교육에서도 ‘묘사’의 교육적 가치를 발굴하고 관련 교육 내용이 국어과적 정체성을 갖추도록 구체화 하는 데에 기여해야 한다. In this thesis, we evaluat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description as part of knowledges and skills appearing in all textbooks approv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We find the following “stylized facts.” First, there is no general consensus on ``description`` as specialized knowledge; for instance, description in poetics is recognized as a sophisticated writing technique, while the one in novels as a content development scheme. Consequently, the hierarchy of its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range of its core elements are not well-posed across curricula. Second, achievement standards on description are mainly paid attention to the language art domain. Any consistent educational contents of description are not found in the writing domain; description tends to be dealt with inferences from reading, rather than with testable specialized knowledge.

      • 루소의 자연주의와 현대 음악교육 사상

        이인화 ( In Hwa Lee ) 한국음악학회 2012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48 No.-

        현대 음악교육에 자크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가 끼친 영향은 지대하다. 20세기 이후 이들의 음악교육 철학과 교육 내용, 교육 방법은 미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 음악교육의 기준이 되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내에서도 미군정 시기부터 2007 개정 교육 과정에 이르기까지 이들의 음악교육 사상은 교육 이념과 교육 과정,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그리고 교과서 편찬 등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신체 활동을 음악 리듬으로 사용한 스위스의 자크 달크로즈, 아동 발달에 근거한 음악 교수법을 개척한 헝가리의 졸탄 코다이, 신체 활동과 음악을 결합하여 극음악을 통한 음악교육을 추구했던 독일의 칼 오르프 등의 교육 사상과 교육 방법에는 곳곳에 자연주의 철학자 루소의 자연주의 음악교육 사상이 투영되어 있다. 이들은 특별히 더 많은 관심을 보였던 음악의 요소와 교육 활동 등에서는 조금씩 차이를 보이기도 하지만 학습자 중심 교육, 발달 단계에 따른 교육, 직접 참여하고 경험하는 교육을 중시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여 준다. 이는 학습자의 성장 과정에 따른 관심과 흥미를 학습의 원동력으로 하여 체험을 통한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 루소의 자연 교육관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 사상은 책걸상이 놓여있는 교실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교사의 일방적 주도 하에 움직임이 거의 없다시피 한 국내 음악교육의 현실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Modern music education has vastly influenced by the thoughts of Jaques-Dalcroze, Kodaly, and Orff. Since 20th century their philosophy on music education and educational method became a standard of world`s music education with USA as a center. In Korea, too, from USA`s reign to revised curriculum in 2007, their music educational idea have greatly affected educational ideology and curriculum,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method, and publishing the textbook. Rousseau`s thought on naturalistic music education is reflected in modern music educator`s education ideology and method. Jaques-Dalcroze from Switzerland used physical activity as a music rhythm. Kodaly from Hungary developed music teaching based on child development. Orff from Germany combined music and physical activity and pursued music education through drama music. They have a different interests on some musical facts and educational activity but they have a common in putting a value in a child-centered approach to teaching, education regarding to a developmental stage, education by a direct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This is a result from Rousseau`s nature education which applies passive education at early childhood and childhood, and active education after adolescent period. Rousseau suggest big issues to modern music education methods which is led by a teacher unilaterally in a limited space with desks and chair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