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교사와의 관계가 내재적 삶의 목표에 미치는 영향

        이의빈(Lee, Eui-Bhin),한창근(Han, Chang-Keu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9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의 내재적 삶의 목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동·청소년패널의 6차 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변수들의 결측치들을 제거하고 난 1,776명의 케이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진행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의 삶의 목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매개변수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Sobel-Test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중학생의 내재적 목표 지향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와의 관계가 내재적 삶의 목표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함의,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adolescents’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teacher relationship and the intrinsic life goals of adolescents. This study used 1,776 cases from the sixth-wave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This study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a Sobel test to examine whether the mediation effect was significant.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who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 were more likely to have better intrinsic life goals. Second, adolescents who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self-esteem. Third, the effect of adolesc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on intrinsic life goals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self-esteem. This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부정적 교우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의빈(Lee Eui Bhin),권서영(Gwon Seo Yeong),김유이(Kim Yuee),임수지(Lim Su J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의 과잉간섭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부정적 교우관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한국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의 초4 패널의 7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총 1,964개의 사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통해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 변수들의 경향을 살펴보았고, 상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변수들 간 관계의 방향성과 다중공선성 문제 여부를 대략적으로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한 경로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은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모 과잉간섭과 우울 간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부정적 교우관계는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부정적 교우관계의 순차적인 매개효과 또한 유의미했다. 이는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가 고등학생 자녀의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사회적 위축, 부정적 교우관계를 각각 통하여 간접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한,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는 고등학생 자녀의 사회적 위축을 증가시킴으로써 부정적인 교우관계 정도를 증가시키고, 이는 차례로 우울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의의와 함의를 논의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며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over-intrusiveness on adolescents’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negative classmate relationships. 1,964 cases, taken from the 7th wave data(high school 1st year) of KCYPS 2010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he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Parental over-intrusivenes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negative classmate relationships respec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over-intrusiveness and depression. The indirect effect of parental over-intrusiveness on depression via the sequence of social withdrawal and negative classmate relationshi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과잉간섭이 고등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의빈(Lee Eui Bhin),이보영(Lee Bo Young),전예지(Jeon Ye J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의 초4패널 7차년도 데이터(고등학교 1학년)에서 총 1,671개의 사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활용하였다.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에는 부트스트래핑 방법이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부모의 과잉간섭은 자녀의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자녀의 자기비난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은 자녀의 자기비난 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우울 또한 증가시킴을 가리킨다. 전술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더불어, 청소년의 우울 감소를 위하여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어떠한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rusive parenting on adolescents’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precation. 1,671 cases from the 7th wave (High school 1st year data)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2010) were used. In terms of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Moreover, bootstrapping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precation.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irect effect of intrusive parenting on adolescents’ dep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pre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parenting and adolescents’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의사결정 존중 양육태도는 어떠한 경로로 자녀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 가정 내 인권존중 경험과 자아존중감에 주목하여

        이의빈 ( Eui Bhin Lee ),노주은 ( Joo Eun Noh ),임수호 ( Su Ho Lim ),이서우 ( Seo Woo Lee )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1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chanism of how parenting attitudes respecting children’s decision-making rights (PCDMR) influence children’s human rights awareness (CHRA),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experience of children’s rights being respected in home (ECRRH) and self-esteem. This study used 6,230 case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rived from Children's and Youth Rights Survey 2019.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PCDMR on CHRA was significant. Second, ECRRH and self-esteem respec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CDMR and CHRA. Furthermore, the indirect effect of PCDMR on CHRA via the sequence of ECRRH and self-esteem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amily-focused intervention strategies such as parenting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CHRA. This study concluded with discussion,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학업중단예방을 위한 미국의 조기경보시스템(Early Warning System)에 대한 고찰

        이의빈 ( Eui Bhin Lee ),김동하 ( Dong Ha Kim ) 한국소년정책학회 2018 少年保護硏究 Vol.31 No.4

        In Korea, despite the enactment of the Law on Supporting Out-of-School Youth in 2014, school dropouts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school dropout policy in Korea is more focused on the post-intervention approach than the proactive and preventive approach. In contrast, the total number of US school dropouts declined sharply in just six years from 10.9 percent in 2000 to 6.1 percent in 201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arly warning system in the United Stated that has been solidified recently after a long period of trial and error. The Early Warning System is a system based on student data to identify students who exhibit behaviors, absenteeism or academic performance that puts them at risk of dropping out of school. Early warning systems help districts and schools pinpoint student achievement patterns and school climate issues that may contribute to students dropping out of school. A review of the early warning system in the United States will provide useful basic information that is needed to establish a policy to prevent school dropout in Korea.

      • KCI등재

        부모의 과잉간섭이 대학교 신입생 자녀의 우울을 매개로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이의빈 ( Lee Eui Bhin ),김진원 ( Kim Jinw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3

        본 연구는 부모의 과잉간섭이 대학생 자녀의 우울을 매개로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 2010) 중 1패널의 7차년도 데이터에서 대학생 1,139명의 사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활용하였고,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용하여 매개변수의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과잉간섭은 대학생 자녀의 신체화 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우울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자녀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에 대한 부모 과잉간섭의 영향을 감소하기 위하여 부모교육 및 가족체계에 대한 개입이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또, 대학 차원에서의 건강검진과 교내 우울 및 신체화 증상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개입 전략들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고,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intrusive parenting on somatic symptoms of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 total of 1,139 case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7th wave data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2010 (KCYPS 201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moreover,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 of intrusive parenting on somatic symptoms of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parenting and somatic symptoms in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was significant. Based on aforementioned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ortance of parenting education and family-based intervention in reducing the effect of parental intrusiveness which increases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in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providing health check up in university and related intervention strategies to reduce depression and somatic symptoms in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Last, this study concludes with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우수등재

        부모의 과잉간섭이 대학생 자녀의 삶의 목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의빈(Lee, Eui Bhin),엄명용(Um, Myung-Yong),김진원(Kim, Jinw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사회복지학 Vol.73 No.3

        본 연구는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가 대학생 자녀의 삶의 목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과잉간섭과 삶의 목표 지향성 간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 · 청소년패널조사 중1 패널의 7차년도 데이터에서 1,089개의 대학생 사례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활용하였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 검증은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는 삶의 목표 지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자아정체감은 부모의 과잉간섭적 양육태도와 삶의 목표 지향성 간 관계에서 부분 매개 역할(간접효과)을 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 그리고 함의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over-intrusiveness and life goal orientation of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This study used 1,089 case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seventh-wave of middle school 1st year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2010). For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us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method was conducted to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e primar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al over-intrusivenes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ife goal orientation. The result of bootstrapping indicated that the indirect effect of ego-identity was significant. Based on aforementioned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김동순(Dong-Soon Kim),박봉선(BongSeon Park),이의빈(Eui Bhin Lee),손가현(Ga Hyun Soh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4 No.-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CAP) 6차(2016년) 자료의 1,228명을 살펴보았다.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사회적 위축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신체만족도를 증가시키고,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cathexi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The participants were 1,228 adolescen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with data taken from the 6th year(2016) Multi-cultural Children and Adolescents Panel Study(MCAP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cathexis and depression among adolescent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 bootstrapping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body-cathexis was found to have negative impact on the depression. Further, partial mediating effect of withdrawal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cathexis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