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공 신고 어플리케이션 사용의 문제점과 디자인 대안 탐색에 대한 연구

        이은솔(Eunsol Lee),박주연(Jooyeon Park),이다영(Dayoung Lee),이문환(Moon-Hwan Lee)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의 시민 참여를 확대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공 문제를 제보할 수 있는 신고어플리케이션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민원 신고를 적극 홍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만족도는 상당히 떨어지고 있으며,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사용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공공신고 어플리케이션의 문제점을 탐색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 대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에서는 사용자 리뷰를 수집하여 신고어플리케이션의 민원 처리 과정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연구방법 2 에서는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직접 신고를 해보게 함으로써 실제 신고 상황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고 어플리케이션의 실질적인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및 사용성에 대한 문제점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 속에서 자연스러운 신고 행동을 유도하고 신고에 대한 보상과 격려를 강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SCOPUS

        고령자의 정서적 안정을 위한 친밀성 형성 기반의 AI 돌봄 로봇 디자인 연구

        이은솔(Eunsol Lee),이강현(Kanghyun Lee) 한국디자인학회 2024 디자인학연구 Vol.37 No.1

        Background : This burgeoning trend, as the nation transitions towards a super-aged society, has lead to an escalating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ies. The necessity for emotional care, potentially delivered through advanc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like robotics, is increasingly recognized for the elderly.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es that focuses on the aesthetics, which is the key factor that influences face-to-face interaction. This study analyzed which design elements of the AI care robot and feedback elements of the interaction were more involved in building intimacy with the elderly. Methods :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a basic theory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ir emotion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elderly people, intimacy, AI care robots, and senses. We selected Hyodol and Dasom robots as samples, and conducted task-based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on design elements and feedback elements, and analyzed them using behavioral frequency analysis and AEIOU methodology. Results : The following factors contributed to triggering intimacy. First, anthropomorphic onscreen character shapes, white and green colors, and fabric were the most intimacy-enhancing materials. Second, among the feedback elements of interaction, smiling and moving facial expressions, childs voice, multi-sensory feedback, dynamic movement, and various movements were the most involved in creating intimacy. Third, Hyodol’s-dols emotional and cognitive types were more involved in intimacy, while Dasoms play and cognitive types were more involved in intimacy. Fourth, Hyodol-dol was found to be a negative factor because of its simple doll-like appearance, while Dasom was found to be a negative factor because of its simple and mechanical movements. Conclusions : As the market for AI care for seniors is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design direction suitable for seniors using AI care robots. In the futur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AI design for seniors in various fields such as AI care robots and facilities.

      • KCI등재

        <蔚珍鳳坪里新羅碑> 書體 硏究

        이은솔(Lee, Eun-sol) 한국서예학회 2013 서예학연구 Vol.22 No.-

        본고는 <봉평리비>(524)의 장법과 결구 분석을 통한 서체의 특징을 알아보고 <봉평리비> 이전ㆍ이후 신라비와의 연관성을 통해 6세기 신라비의 서체 변천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봉평리비>는 1989년에 발견된 후 다수의 역사학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 5-6세기 신라 역사를 조명하는 자료뿐만 아니라 한국 금석학의 정립에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봉평리비> 건립 당시 법흥왕 때에는 지증왕의 업적을 토대로 군부의 설치, 율령의 반포, 불교의 공인, 연호 사용 등 국가체제의 정비와 왕실의 권위를 높이는 정책들을 실시하였다. 또 중국과의 교섭으로 다양한 문화가 들어옴으로써 6세기 신라의 사회적 분위기도 많은 변화가 일어남과 동시에 20점이 넘는 금석문이 나오기도 했다. 이러한 급변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건립된 <봉평리비>의 서체는 예서에서 해서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해서’이나 전서로 쓰여진 글자도 있어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봉평리비>는 예서의 필의가 있는 글자도 다수지만 대부분의 글자들은 직선의 필획을 이루며 해서의 특징인 우상향의 결구, 鉤劃ㆍ撇劃ㆍ捺劃 등을 볼 수 있어 예서보다는 해서에 더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글자의 형태면에서도 北朝의 해서 자형을 갖추고 있어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그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봉평리비>의 서체를 바탕으로 6세기 신라비들의 서체 변천 과정을 <봉평리비> 이전ㆍ이후 비들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봉평리비>와 이전 비인 <중성리비>ㆍ<냉수리비>는 모두 예서의 기운을 가지고 있는 해서이다. 그 중에서 <중성리비>는 예서의 필의가 가장 많고, <냉수리비>와 <봉평리비>는 예서와 해서 필획 비율이 비등한 편이나 <봉평리비>가 해서의 필획들이 더 많이 나타난다. 이를 통해 <봉평리비>가 6세기 신라 해서의 시작을 열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봉평리비>와 <봉평리비> 이후 비들을 비교해 본 결과 <봉평리비> 이후로 점차 해서의 자형과 필획들을 갖추면서 완전한 해서로 발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 이러한 변천과정을 지나 신라가 통일한 후에도 더욱 성숙된 해서로 전개되었다. 본고에서는 ‘과도기적 해서’에서 ‘성숙한 해서’ 단계로 나아가는 과정 중 <봉평리비>가 그 과정의 중심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Uljinbongpyeongribi, its origin, and the influence on the later Siila stelae of 6th century. It is basically written in the transitional regular script with the brush touch of seal, official, and even running scripts. In harmony with the elongated shape of the stele, its composition is vertically straight and that of the lower part is slant to the right side according to the wide space. The structure of the characters is rectangular, and they are written in straight brush. Its overall calligraphic style is similar to those of the Ponghang Jungseongnibi and Yeongil Naengsuribi, which were erected prior to the Bongpyeongribi, although the shape of character and brush technique are different to them. Compared to the later stelae such as Danyang Jeokseongbi, Jingheungwang sunsubi, and Namsansinseongbi, the composition, structure, and brush technique are different in some parts, and at the same time similar in the other parts. Despite its differences, the overall calligraphic style of the Bongpyeongribi is similar to those of later stelae in the 6th century. Bongpyeongribi shows the unique calligraphic style of Silla by taking over those of the early stelae in many ways and handed it over to the later ones. Thus Silla stelae of 6th century was written in unadorned and free style showing the national character of Silla people and Bongpyeongribi is one of them.

      • KCI등재

        김정희 금석학과 추사체 형성의 연관성 연구

        이은솔(LEE, Eun-sol) 한국목간학회 2023 목간과 문자 Vol.- No.31

        This research paper aims to focus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usa Kim Jeong-hee who is known as a scholar and a calligrapher in epigraphy in the Late Joseon Dynasty. Kim Jeong-hee is the person who developed a unique Chusa writing style after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which influenced Weng Fang-Gang(翁方綱) and Ruan Yuan(阮元). He has led the field of epigraphy and calligraphy. It has been widely proven in academia that his writing was developed based on epigraphy. However, a detailed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has never been discussed. Focusing on this subject,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Jeong-hee’s epigraphy and writing style.

      • KCI등재

        공중보건 위기대응을 위한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 제도의 개편 방향

        이은솔 ( Lee¸ Eun Sol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고려법학 Vol.- No.102

        코로나19와 같이 국민의 생명·신체를 위협하는 감염병의 대유행은 국가적 차원의 대응이 필요한 공중보건 위기에 해당한다. 공중보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핵심적 수단은 공동체의 집단면역을 형성할 수 있는 백신으로, 백신의 신속한 개발과 안정적 공급을 확보하고 많은 국민들이 백신을 접종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정책이 요구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 제도는 공중보건 위기 상황의 특수성이 반영되지 않고 일원적으로 운영되어 보상 심의기준, 보상 범위 및 백신 제조업자 등의 면책권 수용에 한계가 있으며 위기대응 수단으로서 적절하지 않다. 이에 기존 제도를 이원화하여 ‘공중보건 위기대응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을 도입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동 제도가 적용되는 경우 첫째, 다른 원인에 의해 중증 이상반응이 발생했음이 명백한 경우가 아닌 한 접종자에게 보상이 지급되어야 하고, 둘째, 유족과 피해자의 생활 영위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연금 보상을 추가하는 등 기존 보상범위가 조정되어야 하며, 셋째, 피해자가 이상반응에 대한 손해배상을 백신 제조업자 등에게 청구하기 이전에 반드시 국가보상을 먼저 신청하도록 하고, 고의나 중과실이 없는 제조업자 등에 대해서는 법적 책임을 면제하여야 한다. 한편 미국은 ‘공중보건 비상사태 대비법(Public Readiness and Emergency Preparedness Act)’에 따라 관련자를 면책하고 별도의 보상체계를 채택하여 공중보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코로나19와 같은 경우 피해자에 대한 보상이 실제로 이루어지기 힘든 한계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의 국민에 대한 백신 이상반응 관련 보상 책임을 강화하는 대신, 백신 제조업자 등이 부담할 가능성이 있는 법적 책임을 일정 범위에서 면제하여 공중보건 위기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신속하게 극복하기 위한 법제가 마련되기를 바란다. A pandemic disease such as COVID-19 is a public health emergency requiring national response. It is critical for each country to accelerate vaccine development, achieve stable supply of vaccines and recommend vaccination in that vaccines protect communities by inducing population immunity. However, the National Vaccine Injury Compensation of Korea do not differentiate a public health emergency from non-emergency situations; the program has limitations regarding causality criteria, range for compensation, liability immunity of vaccine manufacturers and etc. Therefore, the 'Public Health Emergency Response National Vaccination Compensation Program' needs to be instituted. Under the Program, ⅰ) patients severely injured after vaccination should be able to receive national compensation in all circumstances except in the cases concluded as 'definitely not related', and ⅱ) lawsuits against entities and individual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manufacture, use and etc. of vaccines are needed to be limited unless intentional unlawful act or gross negligence is presumed and an injured person fails to receive national compensation. A legislative system distinct from non-emergency situations is required to cope with a public health emergency promptly and efficiently.

      • KCI등재
      • KCI등재

        제품-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서비스블루프린트 수정모형의 제안

        이은솔 ( Lee Eun Sol ),연명흠 ( Yeoun Myeong Heum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3

        서비스 블루프린트(Service blueprint)는 새로운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하는 단계에서 고객을 중심으로 각 서비스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한 눈에 보여 주고 서비스 전체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온라인 비즈니스가 개발되기 전인 1980년대에 제안된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서비스는 제품 서비스 시스템(PSS)으로 확장되거나,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채널이 다양해져, 기존의 서비스 블루프린트는 이를 표현하기에 불충분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각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서비스 블루프린트 유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에 활용될 PSS사례 137개를 수집한 후 비즈니스 매트릭스를 제작하여 사례를 분류하고, 대표사례를 선정하여 총 두 차례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매트릭스에 대응하는 6가지의 서비스 블루프린트 유형인 온라인 서비스형, 온라인 원격지원형, 셀프렌탈형, 온라인 주문형, 전통적 유형, 오프라인 지원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후 해당 유형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검증을 진행하여 제안한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6가지 유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PSS디자인 또는 개발 시 비즈니스의 특성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고,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서비스 블루프린트의 유형이 클라이언트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템플릿이 되길 바라며 서비스 디자이너나 개발자, 기획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Service blueprint is used to show the interaction between each service element at a glance and to understand the flow of the whole service centering on the customer at the stage of proposing a new service system. It was proposed in the 1980s before online business was developed. However, current services are changing in a way that provides various forms and channels, and the service blueprint seems to be not enough. To reflect this problem consciousness, we selected PSS among diversified service business models and propose a service blueprint type optimized for each business. After collecting 137 PSS cases to be used in the research, we made a business matrix and classified the cases and selected two representative cases to conduct two experiments. As a result, six types of service blueprint corresponding to the matrix could be derived: online service type, online remote support type, self rental type, online order type, traditional type, and offline support typ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types of service blueprint was verified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those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