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휴식 및 집중 환경에서 방향 제품의 감성적 영향

        석현정 ( Hyeon Jeong Suk ),이은솔 ( Eun Sol Lee ),김곡미 ( Gok Mi Kim ),한상호 ( Sang Ho Han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3

        최근 가정용 방향제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향과 감성을 접목하는 차별화 전략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방향 제품 시장에서 가정용 방향 제품으로 선호되는 오렌지향과 솔잎향에 대하여 방향 제품의 감성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가정에서의 휴식 환경을, 실험 2에서는 공부방 환경을 조성하여 방향 제품의 감성적 효과에 대하여 심전도와 뇌파 반응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실험 1과 실험 2에 총 18명의 대학생들이 방향제가 없는 환경, 오렌지향, 그리고 솔잎향이 비치된 환경의 순서로 총 3회에 걸쳐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1에서는 실험참여자들의 심전도 변화를 기록하여 부교감 신경계의 활성화 정도를 분석하였고, 실험 2에서는 태스크를 수행하는 동안 발생되는 뇌파를 기록하여, 집중과 관련된-Sensory Motor Rhythm 파 및 Mid Beta파-뇌파 발생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솔잎향 제품의 경우 거실환경에서의 긴장 완화 및 공부방 환경에서의 집중력 증가, 즉 편안한 집중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험 2에서는 사칙연산 문제와 도형 문제에 따라 실험참여자들이 좌뇌와 우뇌를 서로 다른 정도로 활용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공간지각능력 및 창의적 사고와 관련이 있다고 밝혀진 우뇌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도형 문제 학습을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the consumer market for odor products grows, companies producing healthcare products are beginning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motional aspect of an odor product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ir products from competitors. In the following research, the affective effect of odor product was investigated while focusing on relaxation and working contexts using orange and pine scents, since these are typical odors in current domestic market. Two empir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First, in experiment I, 18 subjects, all of whom were university students, spent 20 minutes sitting comfortably on a sofa while electrocardiogram assessments were made. After a five-minute break, in experiment II, the same subjects were provided with both arithmetic and geometric questions and their electroencephalogram readings was recorded from eight channels.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three sessions - no odor, an orange scent, and then a pine scent - with a minimum time interval of 24 hours.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context of a pine scent, both the activation ratio of subjects` parasympathetic system and those of the Sensory Motor Rhythm waves and Mid Beta waves were at the highest peak. Therefore, the pine scent helped the subjects to feel more comfortable and more focused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it gave them a state of meditated atten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ight brain was activated twice the intensity when the subjects worked through the geometric questions, whereas both sides of the brain were activated in equal magnitude during the process of arithmetic tasks. This replicates previous studies of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right brain - being responsible for spatial and creative thinking.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통화 연결 음악이 통화 상대자의 개성 판단에 끼치는 영향

        석현정 ( Hyeon Jeong Suk ),김보민 ( Bo Min Kim ),권문영 ( Moon Young Kwon ),정상훈 ( Sang Hoon Jeong ) 한국감성과학회 2007 감성과학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실험 연구를 통하여 통화 연결 음악(Ring-Back-Tone)의 개성이 통화 상대자의 개성을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통화 연결 음악과 통화 상대자의 퍼스널리티를 측정하기 위해, 성격 5요인 모델에서 음악의 특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3가지 요인인 개방성(Openness), 외향성(Extroversion), 신경성(Neuroticism)에 대하여 각 요인에 속하는 4가지 하위 특성(trait)들을 평가 도구로 사용하였다. 실험 1(N=15)에서는, 17가지의 통화 연결 음악의 퍼스널리티를 측정하였으며 이 중 3 가지를 선정하여 실험 2에 적용하였다. 실험 2(N=60)에서는 통화 연결 음악의 변화에 따라 동일한 통화 상대자에 대한 퍼스널리티를 측정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3가지 통화 연결 음악 및 음악을 설정하지 않은 대조군에 각각 15명의 피실험자들이 참여하였다(N=60). 실험에 적용된 모든 3가지 퍼스널리티 요인에 있어 피실험자들은 통화 상대자 퍼스널리티를 측정하는데 통화 연결 음악의 개성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또한, 개방성(r=0.722, p<0.01)과 외향성(r=0.753, p<0.01) 요인에서는 통화 상대자와 통화 연결 음악의 퍼스널리티 간에 높은 양의 상관 관계가 도출되었다.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ing-Back-Tone(RBT) music on the evaluation of the phone-call receiver`s personality in dimensions of Openness, Extroversion, and Neuroticism. In a preliminary experiment, the subjects listened to 17 RBT music stimuli in random order and assessed the personality associated with liking for each music using the 12 personality traits(N=15). Among the 17 RBTs, three were selected to be used in main experiment and they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 tree personality dimensions(p<0.001). In main Experiment,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evaluation of phone-call receivers` personalities would be influenced by the personality of RBT music. Therefore, in the main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each listened to one of the three RBTs or to a plain ringing tone(control group) until the receiver(the experimenter) answered the call. After interviewing the receiver, subjects evaluated her personality using the 12 traits. The empirical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the RBT influences the judgment of phone-call receiver`s personality in terms of the three personality dimensions(p<0.001), supporting the hypothesis.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sonalities of RBT music and the phone-call receivers` personalities elaborating the affirmative result for the hypothesis(r=0.753, openness, p<0.01; r=0.753, extroversion, p<0.01; r=0.265, neuroticism).

      • KCI등재

        소비자의 종이색 허용범위에 관한 연구

        석현정(Suk Hyeon-Jeong)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종이를 구매하고 사용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한 종이색으로 간주하는 색채 범위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그 선택의 과정에서 소비자 개인의 친환경 의식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총 30명으로 구성된 실험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주광(D65) 환경하에 색채팔레트를 제시한 후, 나열된 266가지 색채 견본에 대하여 종이색으로 허용할 수 있는 종이색의 허용범위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세 가지 상황적 요인- 구매 혹은 사용을 위한 “목적”인가, 사무용지 혹은 연습장종이의 “용도”인가, 그리고 종이가 재생이 되었는가에 대한 “재생여부”-에 따른 총 여덟 가지(23) 상황에서 실험참여자들의 종이색 허용 범위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실험참여자들은 구매보다는 이미 구매된 종이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사무용지의 용도보다는 연습장종이의 경우에, 그리고 종이가 재생된 사실을 인지하는 경우에 종이색의 허용 범위에 있어 관대함을 보였다 (삼원분산분석 결과 0.05 수준에서 유의함). 또한 초록색 계열에서 종이색 허용범위가 가장 넓고, 빨강색 계열과 보라색 계열에서 가장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EAI-24를 활용하여 실험참여자들의 환경보존과 문명이기적 관점에 대한 수준을 수치화하여, 개인의 친환경의식이 종이색의 허용 범위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개인의 친환경 의식과 종이 종이색 허용 범위 간의 유의한 관계를 파악할 수는 없었는데, 이에 대하여 친환경 척도로 활용한 EAI-24의 적절성 및 친환경 의식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설문 이외의 정확성이 높은 방법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In this study, the consumers" tolerance of accepting colored paper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find out how much influence environmental attitude has on color tolerance. Surveys were conducted that asked about the border colors the participants could tolerate as colors of paper dichotomously varied by three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intention (purchase versus use), usage (office paper versus notebook paper), and recycled status (not informed versus informed). For color stimuli, 266 samples were collected and displayed in A2 size panel. Based on the participants" assessments, four trend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hue category, intention, usage, and recycled status. For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environmental attitudes were assessed by facilitating EAI-24. The individual"s attitude toward environment was quantified in aspects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However, neither qualitative nor quantitative analyses provided any evidence to support our hypothesis that the attitude toward environment would affect consumers" tolerance of paper colors.

      • KCI등재

        LED 조명 색도에 따른 시간 인지에 대한 연구

        석현정 ( Hyeon Jeong Suk ),김곡미 ( Gok Mi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1

        최근 LED는 친환경적인 에너지 소비와 자유로운 조명 연출의 가능성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가운데, LED조명을 활용한 인간의 감성적 반응을 유도하는 감성조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 설치된 LED조명의 색도를 변화해가면서 실내 생활인들이 시간을 인지하는데 영향을 받는 것을 두 개의 실험연구를 통하여 밝히고 있다. 실험 1(N=28)에서는 3초~20초에 이르는 짧은 시간을 인지하는데 LED 색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난색 계열의 색채조명환경에서는 백색광 환경에 비하여 시간이 더 천천히 지난 것으로 인지한 반면 한색 계열의 색채조명환경에서는 백색광 환경에 비하여 시간이 더 빨리 지난 것으로 인지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주어진 시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동일한 실험환경에서 진행된 실험 2(N=39)에서는 실험참여자가 6가지 색채조명환경에서 별도의 인지 과제를 수행하는 동시에 90초의 시간을 가늠하였다. 실험참여자가 인지한 90초의 소요 시간과 실제 소요된 시간과의 차이에서, 색채조명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밝혀내었는데, 실험 1에서와 마찬가지로 난색 계열보다 한색 계열의 색채조명환경에서 시간이 더 빠르게 지난 것으로 인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선호색 계열의 색채조명환경에서는 시간이 더 빨리 가는 것처럼 인지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LED technology offers versatile lighting control while having a very low environmental impact. Consequently, increasing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emotional impact of LED lighting.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chromacity of LED lighting influences people`s time perception. To this end, two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in experiment I(N=28), the subjects compared their perception of the time duration, which was varied from 3s to 20s, for 6 chromatically nuanced lighting conditions, respectively, with that under a daylight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 warm-color nuanced lighting conditions, the subjects perceived time to pass more slowly than in the daylight condition. On the contrary, in cool-color nuanced lighting conditions, the subjects perceived time to pass more rapidly than in the daylight condition. Then, in experiment II(N=39), the subjects were asked to count for 90 seconds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some cognitive tasks. Confirming the results found in experiment I, the subjects perceived time to pass more rapidly in cool-color nuanced lighting conditions than in warm-color nuanced lighting condition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addition, the subjects tended to perceive the time to be shorter when the nuanced color of the light was closer to their preferred color.

      • KCI등재
      • KCI등재

        자세에 기반한 승객 개인 맞춤형 조명 - 우등 버스 적용에 대하여

        정진영(Jinyoung Jeong),김태수(Taesu Kim),이승원(Seung Won Lee),임희천(Hui Cheon Im),석현정(Hyeon-Jeong Suk) 대한인간공학회 2019 大韓人間工學會誌 Vol.38 No.3

        Objective: This study proposes a personalized lighting system to enhance the affective quality of passengers" experience in a premium bus. Background: As concerns about user centered aspect increases in public transportation, this study considers passengers" seating postures as the cue to optimally related the behavioral patterns to their desired emotion. Method: Empirical test and user workshop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personalized lighting in a premium bus. In an empirical test, 3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ir posture changes were measured with two angle joints- backrest and footrest. Eight types of given activity were narrowed down into four categories, and then during the user workshop, 26 college students explored and assessed the quality of lighting to best enhance affective experience for each of the activity category. Results: We found a noticeable difference across the activity types, and the changes were consistent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case of the backrest. In the case of the footrest, however, the representative data were not found as the angle varied a lot individually. Based on the observation we derived four categories of activities: Focus, Casual, Relax, and Sleep. Individual variations were observed as height and sitting habits of participants varied. In total, there are 108 different types of emotional lighting collected, and seven patterns of light distribution were proposed. Conclusion: Passengers are willing to adjust their sitting postures by changing the angles of backrest and footrest, where we can make a good assumption of their desired behavior and emotion based on their postures. Based on empirical studies, we suggest four types of lighting that optimally fits to the frequent activities in a premium bus, such as focus, casual, relax, and sleep. Application: Furthermore, we expect advancement of user-centered lighting design by achieving emotional satisfaction not only in a public transportation but also in any personalized space.

      • Affective Effect of Target Skin Color

        Yuchun Yan,Hyeon-Jeong Suk(석현정) 한국색채학회 2018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Skin color is a crucial feature for portraits. It has been widely used to enhance portrait quality, but the standard or reference for skin color are quite vague.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affective effect of target skin color for image quality. Target skin color are obtained from literature review of three aspacts of skin researches, measured real skin color, memory skin color and preferred digital skin color.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we could conclude that different target skin color setting could lead to different emotional image qu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