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보상금의 지급을 구하는 소송의 형태에 관한 소고

        李殷相(Rhee Eun-Sa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0 행정법연구 Vol.- No.27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administrative litigations involving the request for compensation to former pro-democracy activists in Korea, and in this case, the main problem posed is which lawsuit to file. In other words, when a person asserting himself as one of the victims of pro-democracy movement demands the administrative agency to pay compensation and the request is not accepted, it is debatable whether he should file a revocation suit on the refusal against the agency or a suit against the state directly, demanding a reasonable sum of money in compensa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examination on how the Supreme Court of Korea and administrative lower court in Korea deal with this problem and some issues arising from each type of lawsuit. In addition this article suggests solutions thereto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In conclusion, it entirely depends on what is the core dispute with compensation whether a plaintiff files a revocation suit against the administrative agency or a compensation suit against the state. When the agency refuses to accept the request for compensation on the ground that it can not recognize the claimant to be qualified for compensation, the plaintiff should file a suit against the agency for revocation of the refusal. On the contrary, when a qualified person is not satisfied with the amount of compensation allotted by the agency, the plaintiff should file a suit against the state for increase in the compensation.

      • KCI등재

        거부처분에서의 신청권은 사명을 다하였는가

        이은상(RHEE, Eun-sa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0 행정법연구 Vol.- No.63

        우리나라 대법원 판례는 “행정청이 국민의 신청에 대하여 한 거부행위가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 되려면, 행정청의 행위를 요구할 법규상 또는 조리상 신청권이 국민에게 있어야 한다.”고 판시하여 거부처분의 대상적격 요건으로서 ‘신청권’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유력한 학설은 원고에게 신청권이 있는지 여부는 원고적격 요소에 가깝다는 점에서 대법원은 대상적격과 원고적격을 혼동하고 있고, 행정소송법 명문의 규정에 없는 ‘신청권’을 거부처분 인정요건으로 요구함으로써 국민의 권익구제를 축소 제약한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취소소송의 대상이 되는 거부처분을 논리적으로 분석해보면 국민의 ‘신청’이 전제되지 않은 행정청의 거부행위는 상정하기 어렵다. 또한 우리나라 행정사건전담법관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관계로 행정법원에서 가능한 사건처리 능력을 고려한다면, ‘남소(濫訴) 방지의 필요성’을 -개별당사자의 주관적 구체적 사정을 심리해야 하는 원고적격 단계보다는 앞선- 관계법령의 객관적 해석 차원인 대상적격 단계에서 미리 확보할 필요성은 여전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거부처분의 성립요건으로서 ‘신청권’을 요구한 대법원 판례의 태도는 수긍이 된다. 그러나 관계법령의 해석을 통해 신청권이 도출되기는 어렵지만 원고의 개별적 사정을 고려하여 권익구제의 필요성이 있음을 이유로 ‘조리상 신청권’을 인정하여 거부처분의 대상적격을 확대하는 대법원 판례는, 인정될지 여부가 불확실한 ‘조리’를 내세운다는 문제점과 함께 대상적격과 원고적격의 구분을 혼동시키고 무너뜨린다는 점에서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일차적으로는 대법원 판례에서 조리상 신청권을 쉽게 내세우기보다는, 관계법령의 범위 확대와 합리적 해석을 통한 신청권의 적극적 해석이 요청된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한정된 행정영역에서 남소를 방지하기 위해 등장했던 거부처분에서의 ‘신청권’ 개념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에 관하여 대법원에서 진지하게 재검토를 할 것이 요구된다. 이와 함께 입법부에서도 개별법에서 국민에게 행정처분을 신청할 수 있는 근거와 절차, 요건을 명확히 함으로써 선제적 실질적으로 권익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입법태도가 변화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Korean Supreme Court"s precedent ruled that “in order for a refusal disposition by an administrative agency in response to an application filed by a party to be a subject matter of appeals suit, the party must have the right to apply for the exercise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in accordance with the laws and regulations or sound reasoning.” As a requirement for refusal disposition, a subject matter of appeals suit, the right to apply is required. In this regard, the influential theory is that whether or not the plaintiff has the right to apply is close to the element of the standing to sue, and the Supreme Court confuses the standing to be a subject matter in a suit with the standing to sue. It is criticized for reducing or restricting the protection of rights and interests by demanding the right to apply as a requirement for refusal disposition, which is not prescribed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However, if we logically analyze the refusal disposition, a subject matter of a revocation suit, it is difficult to assume the refusal to exercise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that does not presuppose the application of the citizens. And,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preventing excessive litigations, it is necessary to request the right to apply at the stage of standing to be a subject matter in a suit that precedes the standing to sue. Because the former is derived from objective interpretation of related laws, while the latter can be judged by examining the subjective and specific circumstances of individual parties. Considering the above circumstances,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s precedent can be reasonable. On the other hand, it is not reasonable in the following respects that precedents have recognized the right to apply under sound reasoning, thereby expanding the eligibility for refusal disposition. As for sound reasoning, it is unclear whether the right to apply under sound reasoning will be granted.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precedent, the distinction between standing to be a subject matter in a suit and standing to sue can be confused and broken. Therefore, in the first place, rather than granting the right to apply under sound reasoning easily in the Supreme Court case, an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right to apply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related laws and their rational interpretation is required. More fundamentally, the Supreme Court is required to seriously review whether it is reasonable to continue to maintain the concept of the right to apply in the refusal disposition that appeared to prevent excessive administrative litig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legislative attitude will change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the rights and interests preemptively and practically by clarifying the grounds, procedures, and requirements for applying for administrative disposition.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방역 위반 관련 국가소송의 몇 가지 공법적 쟁점 검토

        이은상(Rhee, Eun-sang) 유럽헌법학회 2021 유럽헌법연구 Vol.- No.35

        코로나 19의 감염 전파를 차단하고 예방하기 위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여러 조치가 취해지면서 이와 관련하여 방역 위반을 이유로 한 각종 소송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 19 방역에 관련된 사항을 위반하였음을 이유로 한 국가소송 중 실제로 소가 제기된 사안을 유형화하고 공법적 시각에서 쟁점을 검토한다. 여기서 다루는 ‘국가소송’은 국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가 원고 또는 피고가 되는 민사소송으로 그 범위를 정한다. 국가 등이 원고가 되는 소송유형으로서 코로나 19 방역 조치 위반을 이유로 한 구상금 청구나 국가배상청구 소송은, 그 실질이 민사소송을 통해 행정상 의무위반의 제재조치를 우회적으로 창설하는 것으로서 법치주의적 관점에서 문제가 있고, 그 청구액수가 과도하다는 점에서 비례원칙과 평등원칙에 위반될 수 있다. 국가 등이 피고가 되는 소송유형에서는 코로나 19 집단 감염 발생에 대한 국가 등의 조치의무 위반의 위법성, 선별적 집합제한ㆍ금지 조치의 평등원칙ㆍ비례원칙 위반의 문제, 광범위한 역학조사와 위치정보 강제제공의 기본권 침해와 위법성이 쟁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가 실제 소제기 사안의 구체적 유형화와 공법적 검토를 통해 코로나 19의 사회적 재난상황에서 공법학의 역할을 강조하고 후속 연구를 촉진하는 데에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various measures have been taken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o block and prevent the spread of the infection of COVID-19, various lawsuits have been filed for violations of quarantine in this regard. This thesis focuses on categorizing the actually filed cases in the state litigation for violating matters related to the COVID-19 quarantine, and reviewing the issues from a public law perspective. The scope of ‘state litigation’ herein shall be determined by civil lawsuits in which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becomes the litigant. As a type of lawsuit in which the State is the plaintiff, the lawsuit seeking reimbursement or state compensation for violations of COVID-19 quarantine measures has a problem from the standpoint of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as it is indirectly creating sanctions for administrative violations through civil lawsuits. Also, this lawsuit may violat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equality in that the amount of the claim is excessive. In the case of lawsuits in which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is the defendant, the following points can be controversial: the illegality of the violation of the State s obligation to take action against the outbreak of the COVID-19 mass infection, the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proportionality due to selective collective restrictions or prohibitions, infringement on fundamental rights and illegality due to extensiv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and forced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through categorizing actual cases and reviewing them from a public law point of view,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mphasize the role of public law in the social disaster situation of COVID-19 and contribute even a little to promoting follow-up studies.

      • KCI등재

        行政訴訟에서의 調停의 可能性과 限界

        이은상(Rhee Eun Sang)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7 행정법연구 Vol.- No.17

        This article aims to study on ADR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which is managed by the court in Korean Law. That is compromise and meditation. The former is expressly stipulated in the text of the law of administrative procedure, that is applied correspondingly to the law of civil procedure, but the latter is not provided in the law. However the necessity of the mediation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a important problem. Thus this study suggests a prospective for a legal basis on the mediation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Although there is no provision of the mediation in the administrative law, at theoretical standpoint the mediation is possible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Because the mediation is not contradictory to the attribute of the administration and the separation of powers principle. In the long view an express legislation of the mediation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required in the law of administrative procedure or special law. And the mediation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has the limit as a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ed third persons and agency. So the approval of them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령자의 삶을 위한 임대차 계약에서의 차별금지 방안 연구

        윤태영(Tae-Young Yoon),이은상(Eun-Sang Rhee) 한국재산법학회 2023 재산법연구 Vol.39 No.4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혼자 사는 노인 가구 비율뿐만 아니라 월세 거주 비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는 고령이라는 이유로 임대차 계약을 체결할 때 거절당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임대차 계약에 있어 누구와 계약을 맺을 것인지에 관한 상대방 선택의 자유는 계약자유 원칙의 핵심 내용 중 하나이므로 마땅히 보장받아야 한다. 그런데 고령이라는 이유로 상대방으로부터 계약 체결을 거부당하고 결국 존립의 기본이 되는 삶의 터전을 잃고, 나쁜 환경으로 내몰리는 것도 사회적으로 결코 바람직한 모습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인권위원회법이 폭넓게 차별금지를 규정하고 있지만 법적 구속력이 없어 실효성이 미흡하다. 이에 반해 장애인 차별, 고령자 고용 등 개별법 차원에서 규율이 이루어지는 분야에서는 합리적이지 않은 차별에 대한 권리구제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다. 이 때문에 사법(私法)적 구제 내용을 포함한 내용을 담은 차별금지에 관한 일반법 제정이 요청되는 것이다. 그러한 법이 없다면 계약의 무효나 불법행위책임을 통한 해결을 도모할 수밖에 없는데, 계약자유 원칙과의 관계에서 이러한 차별에 대한 위법성을 인정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독일에서는 ‘일반평등대우법’(Allgemeines Gleichbehandlungsgesetz, AGG)을 제정하여 이 문제를 해결해 왔다. 독일 내에서도 이러한 일반법 제정에 대해 제정 당시에 많은 비판이 있었지만, 이 법은 지금까지 차별금지와 관련하여 공동체 구성원의 의식 전환에 기여하고, 민법의 일반조항으로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점에서 큰 역할을 해 왔다. 이 연구에서는 ① 일반평등대우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임대차 계약의 범위, ② 임대차 계약에서 차별이 정당화되는 요건, ③ 불합리한 차별이 있는 경우 인정되어야 할 법적 효과 등 세 가지 사항에 대해 비교법적으로 검토해보았다. As Korea is facing super-aged society, the rat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increasing along with their rate of living by monthly rent. Recent social problem is that some people get rejected to make a lease contract only because of their old age. Regarding lease contract, freedom of choice in selecting whom to make contract with must be guaranteed, for it is one of the core contents of liberty of contract. It is not socially desirable for the elderly to get rejected for the conclusion of contract and lose their base of existence, which could drive them into a noxious environment. Korea regulates discrimination b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ct; however, there is no legal binding power and therefore insufficient of actual effect. Meanwhile, relieving rights against unreasonable discrimination is more efficient in areas where regulations are enforc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laws such as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and employment of the elderly. This is why the enactment of general law regarding private law remedies in antidiscrimination is being requested. Without a general law about antidiscrimination, it is inevitable to seek resolution through invalidation of contracts or liability for illegal activities; however, it is not easy to admit the illegality of such discrimination in relation to the freedom of contract. Germany has solved this problem by legislating ‘General Act on Equal Treatment’ (Allegemeines Gleichbehandlungsgesetz, AGG). Although there was a lot of criticism at the time of enactment of this general law, this law has played a major role in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members’ conversion of awareness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general provisions of civil law. This study comparatively reviewed a) scope of lease contracts subject to the General Equal Treatment Act, b) requirements for the justification of discrimination in a lease contract, and c) legal effect to be recognized in the event of unreasonable discrimination.

      • KCI등재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서 가압 골시멘트 압박고나사 내고정시 대전자 안정화 금속판 보강의 효과에 대한 분석비교

        이경진 ( Kyung Jin Rhee ),이은상 ( Eun Sang Lee ),김태균 ( Tae Gyun Kim ),우영균 ( Young Kyun Woo ),권순용 ( Soon Yong Kwon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4

        목적: 골시멘트 보강 압박고나사(RCHS) 단독 내고정 및 대전자 안정화 금속판(TSP)을 병용한 내고정 방법으로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의 치료 시, 두 술기에 대한 방사선 추시 결과 및 술 후 기능 평가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단독 내고정 방법으로 수술한 23명, 23예 및 TSP를 병용한 내고정 방법으로 수술한 24명 2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으로 골절의 분류, 골절 부위의 압박 정도, 하지 길이 단축 정도, 골절의 유합 기간을 평가하였으며, 술 후 기능평가는 Koval 분류를 이용하였다. 결과: 골절 부위 압박 및 단축 모두 단독 내고정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유합 기간의 차이는 단독 내고정군이 5.3개월 대전자 안정화 금속판을 병용한 군이 6.6개월 이었다. 보행 능력 평가 상 대전자 안정화 금속판을 병용한 내고정 군에서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고정 실패는 단독 내고정 군에서만 1예 발생하였으며, 모든 예에서 수술 전 후 전신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골 전자간부 골절의 치료 시, 단독 내고정 방법으로도 압박고나사의 골두 천공 및 해리는 방지할 수 있지만, 하지 단축을 초래하는 과도한 골절부의 압박은 불가피하다. 특히 심한 골다공증을 동반한 경우나 골절 부위 직경이 가는 경우, 잠재 골절이 있는 경우에는 대전자 안정화 금속판의 병용 사용이 권장된다. Purpose: We analyzed the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of osteosynthesis using a Richard compression hip screw (RCHS) alone or RCHS with a trochanteric stabilizing plate (TSP) in patients with an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8, 23 patients (23 cases) underwent osteosynthesis using only RCHS and 24 patients (25 cases) underwent osteosynthesis using RCHS and TSP. We evaluated the classification of fractures, the amount of collapse and shortening, and the duration of fracture union. We used a Koval classification for the evaluation of clinical outcomes. Results: The amount of collapse and shortening in the RCHS-only group was statistically greater than the amount in the RCHS-with-TSP group. The union duration of fracture was 5.3 months in the RCHS-only group and 6.6 months in the RCHS-with-TSP group. The clinical outcomes in the RCHS-with TSP-group were better than the RCHS-only group. We had one case of fixation failure in the RCHS-only group and none in the RCHS-with-TSP group. There were no perioperative systemic complications or death. Conclusion: In patients with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 can prevent the cut out of the lag screw or screw loosening with the use of pressurized PMMA-augmented RCHS. However, we cannot prevent excessive collapse and shortening, especially in patients with severe osteoporosis, a small diameter of the femur neck, or concealed fractures. In the case of these patients, we recommend you to use RCHS with TSP for the prevention of excessive collapse and shortening.

      • KCI등재

        장애인의 인권 보장과 통합

        권건보 ( Kwon Geonbo ),이은상 ( Rhee Eun-sang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서울법학 Vol.30 No.4

        오늘날 장애인은 모든 기본적 인권에 있어서 주체성이 된다. 특히 헌법 제34조에 의하면 장애인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의 특별한 보호를 받는다. 이에 국가는 장애인의 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을 시행할 책무가 있으며, 이를 위해 가능한 한 모든 역량을 투입하여야 한다. 장애인의 기본적 인권을 효과적으로 보장하려면 국가가 장애인의 인간존엄권과 안전권을 확보하고, 장애인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을 금지하며, 장애인의 접근권을 실효적으로 보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특히 장애인의 접근권은 ‘완전한 참여와 평등’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는 모든 유형의 장애인을 위해서 물리적 환경은 물론, 정보와 통신수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는 물리적 환경에 있어서 참여를 제약하는 각종 장애물을 제거하는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또한 도로, 건물, 공공운송서비스 등 각종 야외 환경에 있어서 접근성과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을 개발하고, 관련 법제들을 지속적으로 정비해 나가야 한다. 한편 장애인이 인간다운 존재로서 생활하는 데 필요한 각종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도 누릴 수 있도록 적절한 편의를 충분히 제공하여야 한다.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entitled to a life worthy of human beings and protected by the State under the conditions as prescribed by Act. And we have recognized that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the subject of all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So the State shall have the duty to implement policies for enhancing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actically ensured by making the most of one's abilities. For an effective security for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e concluded that the right to human dignity, the right to safety, the right to equality, and the right on accessibility should be secured for the disabled. Especially the right on accessibility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a precondition for actualizing their ‘full participation and equa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of any kind, the state needs to introduce programs of action which make the physical environment accessible; and undertake measures which provide acces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o the state should initiate measures to remove the obstacles to participa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improve relevant legislation to ensure accessibility and mobility to various public facilities, such as street, building, public transport services etc. And also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able to enjoy the right to acces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a life worthy of human beings. Such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in forms accessible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 진행된 장관골 골육종의 수술 및 비수술적 강력 집속 초음파 치료의 장기 추적 결과

        이승구,강용구,박원종,정양국,허성우,이은상,Rhee, Seung-Koo,Kang, Yong-Koo,Bahk, Won-Jong,Chung, Yang-Guk,Huh, Sung-Woo,Lee, Eun-Sang 대한골관절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1

        목적: 장관골의 골육종 치료로써 한국에서 시행된 항암제 치료 및 수술적 치료 후의 결과와, 중국에서 시행된 비침습적인 초음파 치료(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간의 다국적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한국에서 1993년 이래로 통상적인 항암요법과 사지구제술을 시행한 총 67예(IIA; 4 cases, IIB; 58 cases, III; 5 cases)와, 중국에서 1997년 이래로 초음파 치료를 시행한 총 71예(II; 57 cases, III; 14 cases)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에서는 총 67예 중, 66예에서 수술 전 선행 화학치료를, 반면 중국에서는 총 71예 중, stage II의 34예에서 9회 이상의 full protocol 화학치료가 시행되었고, stage II의 23예와 stage III의 14예에서 8회 이하의 부분 화학치료를 시행하였다. 한국의 67예는 모두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56예에서 국소 재건술을 병행하였다. 5예에선 국소 재건 없이 광범위 절제만 시행하였고, 6예에선 절단술만을 시행하였다. 반면 중국의 총 71예는 평균 1.5회(1~4회)의 초음파 치료가 시행되었다. 결과: 한국의 stage II의 5년 생존율은 평균 92.7%(IIA 100%, IIB 85.5%), 반면, 중국의 5년 생존율이 평균 78.7%로써 항암제를 병행한 군은 91.8% 및 항암제 치료를 못 받은 군은 56.6%였다. Stage III의 3년 생존율은 한국 20%(5예중 1예 생존), 중국은 7.1%(14예 중 1예 생존)였으며, 전 예의 평균 생존율은 한국 65.2%, 중국 51.8%였다(Table 2). 한국 환자들의 ISOLS에 의한 최종 기능 평가 결과는 평균 24.3(81%)였고, 중국 환자들은 19.8(73%)였으며, 치료의 합병증은 한국 25.4%(17/67 cases), 중국 31%였다. 결론: 한국에서 시행한 수술적 치료전후 화학요법을 시행한 결과는 초음파 치료를 이용한 비침습적 열괴사 방법보다 양호하였으나, 골종양에 대한 초음파 치료도 적응증을 잘 선택한다면 장관골 골육종의 치유 및 국소 재발율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nd results between the surgical treatment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in Korea and non-invasive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technique in China for osteogenic sarcomas. Materials and Methods: The surgical treatment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total 67 cases (4 IIA, 58 IIB, and 5 III) in Korea since 1993 and the HIFU therapy for total 71 cases (57 II and 14 III) in China since 1997 was performed. In Korea, neo-adjuvant chemotherapy in 66 cases out of total 67 patients, but the adjuvant chemotherapy in only one case was done. On the contrary, in China, full chemotherapy for more than 9 times for 37 patients with stage II out of total 71 cases, but for less than 8 times of partial chemotherapy for 23 patients (stage II) and 14 patients (stage III) was done. The surgical treatment in total 67 Korean patients was done with wide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for 56 patients, but wide resection without reconstruction for 5 patients and amputation for 6 patients. In china, total 71 patients was treated with average 1.5 times (1~4 times) of HIFU, and if there are some evidences of residual tumor after HIFU with following MRI, the second HIFU therapy was given 2~4 weeks later. After then, the bony defect was in no touch, keep bracing for long time expecting regeneration. All of them were followed for average 46 Mo (12~150 Mo) in Korea, but followed for average 22 Mo (9 years~8 months) in China. Results: The 5 year survival rate (stage II), was average 92.7% (IIA 100%, IIB 85.5%) in Korea series, and average 78.7% (full chemotherapy 91.8%, part chemotherapy 56.6%) in China series. The 3 year survival rate (stage III) was 20% in Korea and 7.1% in China. So, the final overall survival rate was 65.2% in Korea and 51.8% in China. The overall functional outcome score by ISOLS was 24.3 (81%) in Korea and 19.8 (73%) in China. There are 25.4% (17/67 cases) of complications in Korea and 31% (27 complications in 22 patients out of total 71 cases) in China after each treatment. Conclusions: The end results of Korea series which was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 and surgical methods are better than that of non-invasive thermal ablation in china. But we also believe the HIFU, as one of, was also effective to decrease the local recurrence and symptomatic releaf for stage II or even in III of osteogenic sarcom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