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은비 ( Lee Eunbe ),김정규 ( Jungkyu Kim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3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과 문제행동의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군포시의 ㅎ 위탁형 대안교육기관에 위탁된 학교부적응 청소년 10명이었다. 통제 집단은 타위탁형 대안교육기관의 청소년 10명을 무작위 선정하였으며,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와 청소년 자기행동평가 척도(K-YSR)를 측정하였으며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둘째, 실험집단의 정서조절곤란척도의 사전, 사후, 추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사전-사후 비교에서는 정서 비수용성의 하위 척도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고, 사후-추후 비교에서는 충동통제곤란, 정서적 명료성의 부족, 정서조절 전략에 대한 접근 제한의 하위 척도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셋째, 문제행동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정서조절 곤란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stalt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GRIP) on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behavior problems of school maladaptive adolescent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10 school maladaptive adolescents who charged to the charging type alternative education institutions in Gyeonggi Gunposi. The control group, who charged to the other charging type alternative education institutions, were selected randomly and didn't have any treatmen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youth self report scales were used and pre-test, post-test and later-test were carried out both o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Gestalt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GRIP) decreas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scale of school maladaptive adolescents. Secondly, the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scales of the experimental group's pre-, post- and later scores were compared, emotional non-aqueous sub-scale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pre-post comparisons, and impulse control difficulties, lack of emotional clarity, limited access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ub-scal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ost-later comparison. Third, behavior problem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GRIP can be a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of school maladaptive adolescents.

      • 복합재 구조물 유지 보수 매니퓰레이터의 기구학적 설계 연구

        이은비(E. B. Lee),김남훈(N. H. Kim),안효훈(H. H. An),송근수(G. S. Song),신광복(K. B. Shin)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21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월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 구조물의 파손 부위를 보수하기 위해 복합재 구조물 유지 보수 매니퓰레이터의 설계를 진행하였다. 현재 다양한 산업에서 복합재료 적용 증가에 따라 복합재 구조물의 보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보수에는 높은 비용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 차이에 의한 보수 효과의 차이 등 여러 가지의 작업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수작업이 아닌 로봇을 이용한 복합재 구조물의 보수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복합재 구조물 유지 보수 매니퓰레이터의 설계를 진행하기 위해 보수 가능한 작업반경을 500 × 500 mm 로 설정하였다. 복합재 보수가 요구되는 작업 반경에 적합한 매니퓰레이터를 도출하기 위해서 정기구학(Forward Kinematics) 해석과 역기구학(Inverse Kinematics) 해석을 통해 해를 구하여 매니퓰레이터를 설계하였다. 무게 측면을 고려하여 매니퓰레이터의 적용 소재는 알루미늄으로 선정하였고, 설계된 매니퓰레이터는 5 자유도를 갖고 링크 길이의 합은 1,500 mm 로 설계되었다. 정적 하중 조건을 적용하여 복합재 구조물 유지 보수 매니퓰레이터의 구조안전성을 검증한 결과 최대 von-Mises 응력이 알루미늄의 항복강도를 넘지 않아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설계된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로, 매니퓰레이터의 앤드 이펙터 설계를 진행하여 스프레이 방식을 통해 복합재 구조물의 보수와 롤러 방식을 통해 적층형 보수를 진행할 경우와 수작업으로 진행한 경우의 실험을 통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 KCI등재

        아동기 외상과 분노행동: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이은비 ( Eun Bi Lee ),장은영 ( Eun Young Jang ),이선미 ( Soun Mee Lee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5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0 No.2

        Objectiv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motional di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nurses in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focused to anger expression of nursing students.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anger expression of nursing students and the mediational role of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Participants (122 nursing students; 138 students of other majors) indicated their gender, age and year, major, and then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he childhood abuse, anger express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Results: Nursing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lower level of physical abuse during childhood than students of other majors. SEM showed direct link between neglect and physical confrontation, physical abuse and impulsive reaction, emotional abuse and verbal aggression. Also, emotional abuse associ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related to four types of anger expression in tur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harmful effect of childhood trauma on difficulties in controlling anger in youths including nursing students.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potential mediator which could relieve childhood abuse experience.

      • KCI등재

        영어회화 학습 도구로서의 AI 스피커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이은비 ( Lee¸ Eun Bee ),윤재영 ( Yun¸ Jae Young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5

        현재 많은 개발사들이 AI 스피커를 통해 영어회화 학습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교육과 기술이 융합한 새로운 교육 흐름에서 인공지능을 통한 영어회화 학습은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 초기 단계이기에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실력에 따라 각 언어학습유형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조사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언어학습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사용자에 적합한 인터랙션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AI 스피커의 대화 주도 방식에 집중해 AI 스피커 주도형 학습, 사용자 주도형 학습으로 유형을 나누었고, 기존 동영상 학습과 함께 비교하여 영어회화 학습 사용자의 경험요소(흥미성, 유용성, 적합성, 지속 사용성)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AI 스피커의 언어학습유형(AI 스피커 주도형, 사용자 주도형)이 동영상 학습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영어실력에 따라 사용자 경험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영어실력이 높을수록 사용자 주도형 학습 유형이 높은 평가를 받았고 영어실력이 낮을수록 AI 스피커 주도형 학습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Currently, many developers offer programs that enable learning of English conversation through AI speakers. Learning English conversation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is drawing attention in a new educational trend that combines education and technology, but since it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design considering user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ser experience for each type of language learning based on English proficiency, see what types of language learning users prefer, and present an interaction design strategy suitable for users. Accordingly, we focused on conversation-driven methods of AI speakers and divided the types into AI speaker-led learning, user-led learning, and measured user experience factors(interest, usefulness, fit, and persistence) compared with existing video lear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nguage learning type (AI speaker led, user led) of AI speakers was highly evaluated compared to video learning.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user experience depending on English skills, the higher the English proficiency, the higher the user-led learning type, and the lower the English proficiency, the higher the AI speaker-led learning.

      • KCI등재

        대학의 특성 및 전공계열에 따른 등록금 수준 분석

        이은비(Lee, Eun-Bi),한유경(Han, You-Kyu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8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4년제 대학의 등록금 자료를 기초로 대학의 특성 및 전공계열에 따른 등록금 수준을 분석하고, 각 변인이 대학 등록금 수준을 얼마나 설명해주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1)국공사립대학 모두에서 수도권 대학, 8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대학, 질적 수준이 높은 대학이 그렇지 않은 대학보다 등록금 수준이 높았으며, (2)대학의 규모, 공대 및 의대 설치 여부는 사립대학에서만 유의미한 집단 차를 보였다. (3)전공계열별 등록금은 의학, 예체능, 공학, 자연과학, 인문사회의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인문사회 계열과 의학계열은 타 집단과 매우 뚜렷한 등록금 차를 나타내었다. (4)각 변인과 대학 등록금 수준과의 회귀분석 결과, 대학의 소재지와 전공계열은 국공사립대학 모두에서 등록금 수준을 설명해주는 핵심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 대학 등록금 수준이 일부 변인에 의해서만 영향 받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학교육이 가져오는 혜택에 근거할 때, 대학 등록금이 더욱 차등화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특히 사립대학보다는 국공립대학에서 이러한 노력이 더욱 시급하다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haracteristic of university and study field influence level of tuition. Result of study is as described below. First, in general, tuition level tended higher in university, greatly qualified,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with over eighty years histor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uition level among private universities by characteristics i.e. the no. of students and if there are the engineering and medical schools or not. Third, analysis on tuition difference by field of study showed that medical education cost the most and arts/athletes, engineering, natural science and liberal arts followed respectively. Above all, tuition difference was noticeable in both fields of medical and liberal arts. Last, multi-regression with variables used for this study and tuition level analyzed that the location and field of study were stronger influences on tuition leve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university tuition level in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certain variables. Considering benefits from university education, however, tuition needs to be graded more in the future. The matter seems to be more pressing among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y than among private school.

      • AI 스피커를 통한 영어회화 학습유형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이은비(Eun Bee Lee),윤재영(Jae Young Yun)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AI 스피커는 언어 사용 환경에 자연스럽게 노출되기 좋고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영어회화 학습 도구가 될 수 있다. AI 스피커를 통한 영어회화 학습 시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터랙션이 적용된다면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AI 스피커의 대화 주도 방식에 집중해 AI 스피커 주도형 학습, 사용자 주도형 학습으로 유형을 나누었고, 기존 동영상 학습과 함께 비교하여 영어회화 학습 사용자의 경험요소(흥미성, 유용성, 적합성, 지속 사용성)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AI 스피커의 언어학습유형(AI 스피커 주도형, 사용자 주도형)이 동영상 학습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영어실력에 따라 사용자 경험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영어 실력이 높을수록 사용자 주도형 학습 유형이 높은 평가를 받았고, 영어 실력이 낮을수록 AI 스피커 주도형 학습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