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사전 이용 실태

        이은경(Yi, Eun-gyeo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의 사전 이용 실태를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총 29개국 출신의 한국어 학습자 475명에게 17개 항목의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조사 대상 한국어 학습자는 대부분 20대였으며 여성이 85퍼센트를 차지하였다. 국적별로는 중국, 일본, 베트남, 태국의 학습자가 80퍼센트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였다. 기본적으로는 한글로 작성된 설문지를 이해할 수 있는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일부 초급 학습자에게는 자국어로 번역된 설문지를 제시하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이 주로 소유한 사전은 스마트폰에서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었다. 주로 이용하는 사전은 앱사전과 인터넷사전이었다.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무료로 제공되는 사전을 주로 이용하였는데 이들 앱은 인터넷에 접속해서 검색하도록 해서 인터넷사전과 구별하기 어려운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들 사전을 사용하는 이유는 검색이 빠르고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정보의 양이 많다는 점도 장점으로 제시하였다. 사전 이용 교육을 받지 않은 학습자가 더 많았으나 본 설문 결과에서는 사전 이용교육의 유무가 특별히 사전 이용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학습자들이 매일 사전을 이용한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사전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사전은 주로 읽기나 쓰기를 위해 검색하며 검색하는 정보는 의미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표기, 용례, 문법 정보가 그 뒤를 이었다. 학습자들은 이용하고 있는 사전에 대개 만족했으며 찾는 단어가 없거나 본인이 찾는 의미를 정확하게 사전에서 검색할 수 없다는 점이 문제라고 응답하였다.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막론하고 앱사전이나 인터넷사전을 많이 사용하였고 단일어사전보다는 이중어사전을 선호하였다. 읽기의 경우에는 한국어-자국어 이중어사전을 주로 사용하였고 쓰기의 경우에는 자국어-한국어 이중어사전을 선호하였다. This study aims at obtaining the dictionary user profiles with regards to dictionary use, users’ preference for certain dictionaries and which kind of dictionaries they consult when they need to find linguistic information of Korean language. For these aims a survey was performed to 475 learners of Korean language from 29 countries. According to the survey many Korean learners have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and consult application dictionaries or internet dictionaries because they are easy to carry and convenient to consult. Many learners consult dictionaries more than once a day. They prefer bilingual dictionaries to monolingual dictionaries.

      • KCI등재

        한국어 연결 어미의 의미 기술에 대하여

        이은경 ( Yi Eun-gy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8

        본고는 한국어 연결 어미의 의미를 기술하기 위한 원칙을 제시하고 연결 어미의 의미 체계를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 연결 어미의 의미를 기술할 때 고려할 점으로 제시한 것은 다음과 같다. 연결 어미는 선행절에 결합되어 있어 후행절에 대한 선행절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연결 어미의 의미는 종속적인 접속의 경우에는 선행절의 기능을 중심으로 기술하되, 대등적인 접속의 경우에는 선ㆍ후행절의 관계를 기술한다. 연결 어미의 의미를 기술하는 용어는 체계적인 기술을 고려하여 선택할 필요가 있다. 동일한 범주에 속하는 연결 어미는 공통된 용어로 기술해야 하며, 연결 어미의 의미는 모호하지 않게 기술해야 한다. 용어의 언어적인 쓰임새를 고려하여 술어성을 갖고 있거나 관계를 기술하는 용어의 경우에는 논항구조를 반영하여 용어를 선택한다. 개별 연결 어미의 의미를 기술하는 것보다는 의미로부터 연결 어미에 이르는 과정을 고려한 용어를 선정하여 기술한다. 본고에서 설정한 연결 어미의 의미 체계는 다음과 같다. 사태와 사태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는 연결 어미가 대부분이나 담화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 어미도 있어서, 연결 어미를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사태와 사태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는 연결 어미는 선ㆍ후행절이 비의존적인 관계인지 의존적인 관계인지에 따라 두 부류로 나누었다. 비의존적인 관계는 시간, 대립, 비대립, 배타로 나눌 수 있고, 시간은 다시 동시와 선행으로 나눌 수 있다. 의존적인 관계는 조건, 원인, 목적으로 나눌 수 있고, 조건은 다시 관여적인 조건과 비관여적인 조건으로 나눌 수 있다. 담화 기능을 하는 연결 어미는 배경의 연결 어미와 부연의 연결 어미로 나눌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meta language for the meaning of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and to classify semantic relations on clause linking in Korean. There are many connective endings which express various syntactic and semantic relations on clause linking in Korean. When we define the meaning of connective endings, we must consider semantic relations on clause linking. If the two clauses are semantically independent from each other, we can describe the mutual relations of the two linked clauses. But if one clause is semantically dependent on the other, we describe the function of the dependent clause, usually of the preceding clause. There are 4 independent relations on clause linking; time, contrast, non contrast, alternative. There are 2 subtypes in the time relation; simultaneity, succession. There are 3 dependent relations on clause linking; condition, cause, purpose. There are few connective endings which express discourse functions on clause linking in Korean. Some connective endings express background information and some express amplification.

      • KCI등재

        참조문법에서의 어말어미 기술에 대하여

        이은경(Yi, Eun-Gyeong) 한국어학회 2017 한국어학 Vol.75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descriptions about the word final endings in Korean language which are found in reference grammars such as Sohn(1999), Martin(1992), Chang(1996) and Ramstedt(1935). Ramstedt(1935) has a feature of describing Korean in accordance with the inflectional language, but many of the language phenomena that were described in Ramstedt(1935)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Martin(1992) also presented a lot of historical Korean phenomena. The reference grammars except for Ramstedt(1935) present the sequence of the endings and analytically describe the endings. A detailed analysis of the endings should add work to describe the coocurrence constraints between them. But the reference grammars analyzed in this paper did not provide precise information on coocurrence constraints. In addition, the analytic approach to the endings has become similar to historical description.

      • KCI등재

        언어,교육 : 외래어의 표준 발음과 어문 규범

        이은경 ( Eun Gyeong Yi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to decide pronunciation of loanwords in Korean language. There has not been a regulation for pronunciation of loanwords in Korean language. Even the dictionary published by the government does not provide any information about the pronunciation of loanwords. In this paper, some actual solutions are suggested for the pronunciation of loanwords. Korean language has Regulations of Standard Korean, Korean Orthography, Regulations on Hangeul Transcriptions on Loanwords and Pronunciation Methods of Standard Korean. These language standards could help to decide pronunciation of loanwords. Some pronunciations which could not be regulated by them must be presented in the standard pronunciation dictionary. For example, glottalization rule of ``s`` in many loanwords could be presented in the description of each loanword in the dictionary. However the pronunciation of loanwords must be similar to the spelling. If various pronunciations are allowed to one spelling, then people will be so confused by the discrepancy between pronunciation and spelling of loanwords.

      • KCI등재

        준말과 관련된 몇 문제에 대하여

        이은경 ( Yi Eun-gy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9

        Abbreviations are formed by the omission of a phoneme or the abbreviation of a syllable in a word or a construction. Abbreviations formed by reducing a phoneme can be called phonemic abbreviations, and abbreviations formed by decreasing the number of syllables can be called syllabic abbreviations. A typical abbreviation is a syllabic abbreviation.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yllables due to the reduction of the syllable itself cannot form the abbreviation.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phonemes or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yllables should be caused by phonological procedures. If a word is formed by a reducing a morpheme of a word or a phrase, it cannot be included into an abbreviations. Morphological reduction is the term used to describe cases where phonological reduction is not. Only those formed by phonological procedures or phonological rules are included in the abbreviation. Abbreviations formed by phonological procedures can be divided into synchronic abbreviations and diachronic abbreviations. The synchronic abbreviations represent the difference of surface forms. If a abbreviation is a new word, it is to be registered as a different lexeme from its original word. It is called a diachronic abbreviation. If a abbreviation is a different surface form of the original word, it is called a synchronic abbreviation. A synchronic abbreviation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its original word because they are the different surface forms of the same lexeme. But a diachronic abbreviation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its original word or may have the different meaning from its original word. There may also be differences in the syntagmatic relations between abbreviations and their original words. These phenomena show that the formation of diachronic abbreviations is a diachronic process.

      • KCI등재

        대등 접속문의 시제 표현

        이은경 ( Yi Eun-gyeong ) 국어학회 2015 국어학 Vol.73 No.-

        본고는 대등 접속문의 시제 표현 방식과 그 양상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접속문의 선행절 사건시, 후행절 사건시, 발화시 사이의 시간 관계를 고려하여 총 열세 가지의 시간 관계 유형을 설정하였다. 3장에서는 대등 접속문에서 선행절 사태와 후행절 사태의 시간 관계를 표현하는 시제 표현 방식을 검토하였다. 첫 번째는 화자가 선행절과 후행절에 시제 표지를 결합하여 표현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후행절에만 시제 표지를 결합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다. 4장에서는 대등 접속문의 시제 표현 양상을 검토하였다. 선ㆍ후행절 시제 표현 방식의 결과 여섯 가지 시제 표현 양상이 나타났고, 후행절 시제 표현 방식의 결과 세 가지 시제 표현 양상이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expression of tense in coordinate sentence in Korean. In chapter 2, we can classify time relations of coordinate sentence into thirteen types in consideration of event time of antecedent clause, event time of following clause and speech time. In chapter 3, we examine methods of tense expression in coordinate sentence. The first method is that speaker express a tense marker on antecedent clause and following clause. The second method is that speaker express a tense marker on following clause. In chapter 4, we analyze aspects of tense expression in coordinate sentence. As a result of first method application, six aspects of tense expression are analyzed. As a result of second method application, three aspects of tense expression are analyzed.

      • KCI등재

        안확의 ≪중등교육 대한문법≫(1910)에 대하여

        이은경 ( Yi Eun-gyeong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9 No.-

        본 논문은 안확의 ≪중등교육 대한문법≫(1910)의 체계와 내용을 학계에 처음으로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안확(1910)은 “서언, 제1편 총론, 제2편 언어론, 제3편 문장론”의 총 3편 1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편 총론에서는 문전의 의의, 음운, 문자, 정음의 변화, 어음의 변화를 다루었다. 제2편 언어론은 품사론에 해당하며 “명사, 대명사, 동사, 조동사, 형용사, 접속사, 부사, 감동사”의 8품사를 설정하고 각 품사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3편 문장 론에서는 문장의 의의, 문장의 조립법, 사구의 부분, 편장의 부분, 문장의 종류, 수사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안확의 국어문법서의 변천을 살펴보기 위하여 ≪조선문법≫(1917)과 체계 및 내용을 비교하였으며, 아울러 유길준의 ≪대한문전≫(1909)와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system of An Hwak(1886-1946)'s book Jungdeung Gyoyuk Daehan Munbeop(1910) and to introduce this book for the first time in the academic world of Korea. This book is composed of a preface, a general theory of Korean grammar, a theory of part of speech and a theory of sentence and text. In the first part, he described phonemes, letters, phonological phenomena and so on. In the second part, he described nouns, pronouns, verbs, auxiliary verbs, adjectives, conjunctions, adverbs and exclamations. In the third part, he described units of sentence and text, sentence components, text types and so on. In addition to this, I compare this book with his later book Joseon Munbeop(1917) and Daehan Munjeon(1909) written by Yu Giljun.

      • KCI등재

        쌍형어에 대하여

        이은경 ( Yi Eun-gye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50 No.-

        본고에서는 기존의 쌍형어 논의들의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쌍형어는 공통의 어원에서 갈라져 나온 단어들의 쌍을 가리키지만 공시적으로 의미가 같고 형식의 유사성을 보이는 단어들의 쌍이나 문법 형태소들의 쌍을 가리키기도 한다. 본고는 전형적인 쌍형어는 공통의 어원을 가지는 단어들의 쌍이라고 보았다. 쌍형어는 의미와 형식의 유사성이나 차이에 따라 하위 유형화가 가능하다. 전형적인 쌍형어에서 가장 멀어진 것은 공통의 어원을 가지지는 않지만 의미가 같고 형식이 유사한 단어들의 쌍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쟁점은 쌍형어가 단어들의 쌍을 가리키는가 하는 점이다. 공통의 어원을 가지는 단어들의 쌍이 전형적인 쌍형어이나 조사나 어미의 경우에도 쌍형어를 인정한다면 조사 쌍형어나 어미 쌍형어의 존재가 가능할 것이다. 접미사의 경우에는 접미사 쌍형어의 인정이 가능할 수 있으나 접미사가 결합한 파생어가 쌍형어를 형성하므로 굳이 접미사 쌍형어를 인정할 필요는 없다고 보았다. 어미의 경우도 해당 어미가 결합한 활용형의 쌍형어를 인정할 수도 있으나 한국어의 어미가 통사단위로서의 성격이 강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엄청나게 많은 활용형의 쌍형어를 인정하기보다는 해당 어미를 쌍형어라고 하는 쪽이 적절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어간 쌍형어나 어미 쌍형어 일부가 기저형 층위에서 일종의 이형태 관계를 이루는지에 관한 쟁점이 있을 수 있으나 본고에서는 하나의 어휘 항목 내에 속하는 경우에는 쌍형어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보았다. 이들은 일종의 복수 기저형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issues of the discussions on the subject of doublets. In general, as a definition, the use of doublets refer to a pair of words which have a common etymon, but also to a pair of words or grammatical morphemes that have the same meaning and similar forms of the word. In this paper, we have seen that a typical pairing word is a pair of words with a common etymology. Generally speaking, it is possible to divide doublets into subtypes depending on the identified similarities or differences in the meaning or form. The most distant type from the typical type of doublets is a pair of words that do not have a common etymon, but have the same meaning and are similar in form. The second issue about doublets is whether doublets include only words. For example, if some josas (postpositions or particles) have a common etymon, then it is noted that they can be accepted as a kind of doublets. In the case of suffixes, it may be possible to recognize the suffixes as doublets if they have a common etymon. In other words, it is not necessary to recognize the suffixes as doublets because the derivatives which are derived by the suffixes can be accepted as doublets. In the case of endings, it may be possible to recognize a pair of endings which have the same meaning and the common etymon as a doublet. Otherwise, the word forms to which the endings are combined can be accepted likewise as doublets.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ndings typically in use in the Korean language may have syntactic properties, the endings should be considered as doublets rather than the words which have the endings. Finally, we conclude that there may be some debate as to whether stem doublets or ending doublets belong to a lexical item in the lexicon.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plural underlying forms and may be deserving of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