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티의 네오프래그머티즘과 민주주의

        이유선(Yu Sun Lee) 철학연구회 1999 哲學硏究 Vol.45 No.-

        논자는 이 글에서 `철학에 대한 민주주의의 우위`를 주장하는 리차드 로티(Richard Rorty)의 사회철학적 입장을 서술하고, 그 이론적 적대자들의 입장과 비교검토해 봄으로써 그의 주장을 분명히 드러내고자 노력했다. 먼저 논자는 자아, 언어, 공동체의 우연성을 강조하는 그의 입장이 그의 사회철학의 이론적 배경이라고 생각하고 그와 같은 입장을 검토함으로써 그가 말하는 개혁적 좌파로서의 `리버럴 아이러니스트`의 관점을 서술해 보고자 했다. 그의 `리버럴 아이러니스트`가 꿈꾸는 자유민주주의 내지 사회민주주의적 유토피아는 한편에서는 하버마스(J. Habermas), 매카시(T. McCarthy), 제라스(N. Geras) 등 보편적 합리성을 근거로 삼아야 한다는 철학자들로부터, 그리고 다른 한편에서는 무페(C. Mouffe), 라클라우(E. Laclau), 등과 같이 다양성을 극대화하는 급진적 민주주의를 주장하는 포스트모더니즘 계열의 철학자들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논자는 로티가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을 구분하고, 이론과 실천을 분리시킴으로써 그들의 비판에 어떻게 대처하며, 어떠한 대안을 내놓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논자의 관점은 로티의 네오프래그머티즘이 민주주의 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일차적 요소로서 구체적 제안의 실천적 효과와 유용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 무엇보다 주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론적 근거에 매달리면서 현실의 정치적 연대에 대한 의무를 소홀히 할수있는 지식인들에게 로티의 네오프래그머티즘은 매우 중요한 화두를 제시했다고 생각한다. 논자가 로티에서 아쉽게 생각하는 점은 그가 철학 전반에 대한 그의 냉소주의를 불식시키기에 충분할 만큼의 `공적인` 철학의 가능성에 대한 서술을 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에,테,아, 호프만의 <모래사나이>연구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융합된 문학인간학을 위한 시론

        이유선 ( Yu Sun Lee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5 독일어문학 Vol.68 No.-

        Die vorliegende Abhandlung befasst sich zunachst mit der Interpretation derhoffmannschen Erzahlung "Der Sandmann", im Kern jedoch mit einer Uberlegungzur literarischen Anthropologie, die diese als eine geistes- und naturwissenschaftlichhybridisierte Methode der Romantik auffasst. ?Der Sandmann" war ein boserMann aus einem Ammenmarchen, er raubte die Augen von nicht schlafengehenden Kindern. Der von seiner Mutter allabendlich apostrophierte Ausruf: ``DerSandmann kommt!`` regte die Phantasie der Hauptfigur Nathanael an undmodifiziert seine Kindheitserlebnisse. Aus ihnen entsteht ein Traumafigur, die ihnin den Tod sturzt.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den Entwicklungspeozessvon einer kindlichen Empfindung uber ausschweifende Phantasien bis zum Wahnsinn. Die Erzahlung betont Emotionen, Empfindungen und Gefuhle, die imZeitalter vor ihrer Entstehung im Schatten des Verstandes lagerten. Der Ubergangvon der Spataufklarung zur Romantik zeichnet sich als hochster Zeit derAnthropologie aus, die als Leitwissenschaft so verschiedene Disziplinen wiePhilosophie, Medizin, Asthetik und Experimentalphysik unter sich zu vereinigenweiß. Der ganze Mensch steht zur Disposition - als untrennbare Einheit vonEmpfinden und Erkennen, Leib und Seele, Sinnlichkeit und Vernunft, Natur undKultur, Determination und Freiheit. Hoffmann gilt mit seinem spezifischambivalenten Menschenwesen als jemand, der mit einem Bein in der Romantikund mit dem anderen Bein im Realismus steht. Jedoch stellt die vorliegende Arbeitsein neues Erzahlkonzept heraus: Es zeigt eine neue Moglichkeit literarischerNarration als Erkundung des Wirklichen, getreu dem neumannschen Konzept der``Romantik als Form der Aufklarung``. Dieses Erzahlkonzept lasst sich mit heutigenhumanwissenschaftlichen Methoden erfassen: den hybridisierten Verfahren derliterarischen Anthropologie.

      • KCI등재후보

        인권문제에 대한 로티의 실용주의적 관점

        이유선(Lee Yu-S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5 사회와 철학 Vol.0 No.9

        Those who believe that human rights is related with our universal human nature, think that there exists what distinguishes essentially human being from animal. However, it is not so clear what it means to say that man has human rights. Does it mean that every man has something innate in him or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someone is suffered from the unjust power? On the one hand, most kantian philosophers, who agree with the former, believe human rights is based on the universal human nature such as reason and morality. On the other hand, darwinian pragmatic philosophers, who agree with the latter, do not think there is such a thing. In this article, I have reviewed Rorty´s pragmatic point of view on human rights and the critics of the kantian philosophers such as N. Geras and B. Willims. Rorty regards A. Baier as his supporter, who believes the moral progress of humankind will be possible only when we expand our moral sentiment. Rorty does not think that we should know the universal truth in order to make a moral judgement. Critics of Rorty argue that his view on human nature break down the moral foundation that gives us a superiority to Nazi. However, I agree with Rorty in that we do not need knowledge but sentiment to our colleagues´ suffering in order to achieve moral progress. In this article, I just wanted show the reason why Rorty believes so. 로티는 인권문화가 확산되어야 한다는데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그것이 보편적인 철학적 정당성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에는 이의를 가지고 있다. 이런 관점은 형이상학적인 인간본성에 대한 규정을 거부하는 그의 반본질주의적인 실용주의의 입장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 글에서는 이런 그의 입장이 결코 파시스트나 반인륜적인 범죄자에 대한 비판을 약화시키는 것이 아님을 주장해 보고자 하였다. 로티는 우리가 올바른 실천에 나서는 데 필요한 것이 그 실천에 대한 선험적이며, 철학적으로 보편적인 이론적 정당화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인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인간본성에 대한 차가운 이론적 지식이 아니라, 타자의 고통에 대한 감수성이며, 새로운 정체성을 구성해 낼 수 있는 상상력이라고 하는 것이 로티의 실용주의적인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론적 작업을 사적인 완성과 관련시키고, 실천적인 연대를 공적인 영역에 한정시키는 로티는, 인권의 문제를 공적인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연대의 문제로 보기 때문에 보편적인 인간성에 대한 이론적 작업을 불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 KCI우수등재

        은유와 실재

        이유선(Yu-Sun Lee) 한국철학회 2004 철학 Vol.79 No.-

        은유가 문자적인 의미 이외의 특별한 의미를 갖는가 하는 물음과 관련하여 리차드와 블랙은 은유의 의미를 원의(原義)와 매체(媒體)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은유에 대한 언어학적 철학적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이 글에서는 은유의 의미에 대한 물음을 언어가 실재를 표상내지는 반영하는가 하는 인식론적인 물음의 틀에서 고찰해 보려고 하였다. 그러한 관심에서 은유가 어떠한 의미도 갖지 않는다는 데이빗슨의 입장 및 인지과학의 성과를 받아들여 적극적으로 은유의 인지적 의미를 주장하는 레이코프와 존슨의 입장을 살펴보았다. 논자는 인과와 정당화의 맥락을 구분하는 데이빗슨의 입장에 동의하는 한편, 형이상학적 실재론을 비판하는 레이코프와 존슨의 입장에도 동의한다. 그러나 데이빗슨이 은유에 관한 적극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고, 레이코프와 존슨의 경우에는 은유형성의 신체적 메커니즘에 주목한 나머지 은유가 받아들여지는 사회적 맥락에 대한 고찰이 결여되어 있다고 보아, 브랜덤의 추론주의적 관점을 통해 언어와 세계의 관계에 대한 대안적인 관점을 탐색해 보았다.

      • ‘공’과 ‘사’의 구분과 민주주의

        이유선(Lee, Yu-Su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3 동서사상 Vol.14 No.-

        이 논문은 프래그머티즘의 관점에서 ‘공과 사’가 어떻게 구분되는지, 그리고 공사 구분이 프래그머티스트들의 실천적 과제인 민주주의의 기획과 어떠한 관련을 갖는지에 대해 논하기 위한 글이다. 논자는 공적인 것, 혹은 공공성은 어딘가에 이미 완성되어 있어서 우리가 이론적으로 발견하거나 합리적 이성을 작동시킴으로써 밝혀낼 수 있는 종류의 것이 아니라, 사적인 관심을 가진 공동체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소극적 자유를 확보하기 위한 사회적 제도와 관행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부단한 사회적 실천 속에서 형성되고 역사적 조건에 따라 수정되어 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듀이는 공과 사가 어떤 행위나 판단이 미치는 영향의 방식과 범위에 의해 구분된다고 생각했다. 듀이를 계승하고 있는 로티는 공사 구분을 실천적인 것과 이론적인 것의 구분에 상응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들에게 있어서 공통적인 것은 민주주의 프로젝트의 완성을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공동체의 목표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는 일, 즉 공공성올 되살리고 실천적인 논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자유의 영역을 최대한 확장시켜나가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이런 태도는 공공성의 철학적 기초를 찾으려는 본질주의 철학자들의 시도를 무의미한 것으로 간주하게 한다. 이론의 다양성을 최대한 보장하는 일이 곧 자유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실천의 프로젝트에 부합한다는 것, 그리고 그런 태도에 있어서 듀이보다는 로티가 더 철저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 이글에서 논자가 논하고자 했던 요지이다. In this paper, I intended to explain and discuss how to draw a line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from a pragmatist’s viewpoint, and also which meaning the distintion between them has in relation with the project of democracy. From an anti-representational viewpoint of pragmatism, there is no such a thing as the public itself which we could find out, if we give our full play to our rationality. The public can only be found and revised in the process of our practice to improve and make better the social institutions and practice in order to keep our passive freedom. Dewey thought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way and range of effects which can be resulted from our action and judgement. Rorty’s distinc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is corresponded to the distinction between the practice and the theory. They have common faith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enlarge the realm of freedom. For accomplishment of project of democracy, we have to revive the discussions on the public and have common concerns on the goal of our community. My argument is that it is needed to secure the maximum diversity of theory for the project of democracy and in this regard Ratty was more thorough going than Dewe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영미철학의 수용방식과 우리철학의 가능성

        이유선 ( Lee Yu-su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56

        본고에서 논자는 한국에서의 영미철학 연구현황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철학 전공자가 단순한 수입상의 역할을 벗어나 ‘우리철학자’가 되기 위해서 어떤 조건이 선행되어야 하는지 논구했다. 듀이에 의하면 철학의 문제는 사회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탐구 과정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철학적인 문제는 지역적인 것이고, 맥락의존적인 것일 수밖에 없다. 아무리 추상적인 것으로 보이는 철학의 문제라 하더라도 그 문제의 뿌리는 사회적인 삶의 환경에서 발생하는 곤란함과 연관되어 있다. 만약 ‘우리철학’에 대한 요청이 ‘반본질주의자’의 관점에서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한 철학적인 문제 및 그에 대한 탐구에 대한 요청이라면 역사성을 고려하지 않는 영미철학의 탐구 주제와 방법론 자체가 그와 같은 요청에 부응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러나 철학적 사유가 보편적인 영역에 가서 닿더라도 그것은 초역사적이거나 초월론적인 어떤 것은 아닐 것이다. 철학은 역사적인 맥락을 초월하는 보편학이라기보다는 지역적인 담론들이 소통하여 탄생한 문화적 혼종의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철학’이란 아마도 지역적인 공통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관심을 가진 유동하는 탐구자 공동체가 형성되었을 때 가능할 것이다. 그런 탐구자 공동체는 적어도 영미철학의 영역에서는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국내의 영미철학 연구자들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성장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영미철학의 주제들과 관련하여 지역적인 특수성을 다루고자 하는 시도는 많지 않다. ‘우리’의 형성은 자신이 이해한 이론을 자신이 창안한 새로운 메타포로 재서술하는 자율적인 이론가가 탄생할 때 가능할 것이다. 그런 이론가의 탄생이 문화적 혼종을 낳는 과정일 것이다. 따라서 논자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 : ‘우리철학’을 하려면 맥락이 형성되어야 하고, 창의적인 글쓰기가 이루어져야 하며, 담론의 공동체로서 ‘우리’가 형성되어야 한다. In this paper, I have reviewed prior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Anglo-American philosophy research in Korea, and discussed what conditions should be preceded in order for a major in philosophy to become a 'philosopher', out of the role of a simple importer of knowledge. According to Dewey, the problem of philosophy arises in the process of inquir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refore, philosophical problems are local and context-dependent. No matter how abstract the philosophy seems to be, the root of the problem is related to the difficulties that arise in the social life environment. If the request for 'our philosophy or Woori-philosophy' is a philosophical question that reflects local peculiarities from the viewpoint of 'anti-essentialist', the theme and methodology of Anglo- American philosophy has aspects that are difficult to respond to the requests. However, even if philosophical thought reaches the universal realm, it is not something that is transcendental. Philosophy should be viewed as a result of cultural hybridity that is created by communicating with local discourses rather than universalism that transcends historical contexts. 'Our philosophy' will probably be possible when a fluid inquiry community is formed that is interested in addressing a common regional problem. Such a community of inquirers has at least not be formed in the domain of Anglo-American philosophy. The researchers of Anglo-American philosophy in Korea have grow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However, there are not many attempts to deal with regional specificities in relation to the themes of Anglo-American philosophy. The formation of 'us' will be possible when an autonomous theoretician who rewrites the theory he understands into a new metaphor that he has created will be possible. The birth of such a theorist would be the process of producing cultural hybridity. Therefore, the argument of the writer is as follows: In order to do 'our philosophy', context should be formed, creative writing should be made, and 'we' should be formed as a community of discourse.

      • KCI등재

        일반논문 : 글쓰기와 철학적 담론

        이유선 ( Yu Sun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9 인문학연구 Vol.37 No.-

        이 글에서 논자는 인문학적 글쓰기와 과학적 글쓰기를 구분해야 할 것으로 보는 하버마스, 철학적 글쓰기와 문학적 글쓰기의 경계를 없애 버린 포스트모더니스트, 그리고 양 극단을 경계하면서 프래그머틱한 대안을 제시하는 로티의 관점을 살펴보고 오늘날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가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에 대한 반성적이고 시론적인 고찰을 시도했다. 의사소통적 이성의 개념을 통해서 보편적인 진리에 관한 담론을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고자 하는 하버마스의 관점에서 글쓰기 영역은 진리를 발견하는 것과 관련된 글쓰기와 단지 주관적인 감정이나 정서를 표현하는 글쓰기로 구분될 수 있다. 오늘날 우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글쓰기의 분류는 그의 철학적 전제와 잘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말하자면 보편적 진리를 추구하는 철학 및 과학적 글쓰기의 영역과 심미적 자율성의 공간인 문학적 글쓰기가 구별되어야 하는 것이다. 한편 과학적 진리에 대한 주장 자체가 결국 서사에 의해서 정당화될 수밖에 없다고 보는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그런 구분의 정당성을 문제 삼으며, 데리다와 같은 경우에는 철학과 문학의 경계도 허물어 버린다. 궁극적인 진리를 발견함으로써 모든 철학적 물음을 종결시킬 수 있다고 생각해 왔던 철학자들의 꿈이 실현 불가능한 것이며, 철학적 글쓰기 역시 문학의 한 장르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프래그머티스인 로티는 데리다보다 한 발 더 나아가서 하이데거와 데리다가 공통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식의 크고 비밀스러운 문제를 설정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현재적인 관점에서 지나간 전통이 어떤 의도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을지 작고 실용적인 질문을 던질 것을 요구한다. 그의 관점에서 볼 때 글쓰기는 대상이나 형식에 의해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의도나 목적을 통해서 구분되어야 한다. 그의 관점에 따라 글쓰기를 구분하자면 사적인 자율성을 위한 글쓰기와 공적인 자유의 확장을 위한 글쓰기로 글쓰기의 영역을 나눌 수 있을 것이다. 논자는 격변하는 오늘날의 환경에서 대학은 기존의 규범을 뛰어넘는 대안을 만들어낼 창조적인 인재를 길러내야 하며 이런 목적에 대해서는 진리를 수평적 재서술의 확장이라고 보는 데리다와 로티식 담론이 더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I have just tried to find out for what purposes the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y should be practiced. For doing that, I have reviewed three philosophical discourses on writing such as Habermas`, which make a distinction between literary writing and scientific writing, Derrida`s, which blurs the boundary between philosophy and literary, and Rorty`s, which suggests some pragmatic alternatives. From Habermas` viewpoint, we can still hope to reach at the universal truth through the communicative reason. This let us divide two kinds of writings. One is the writing which makes it possible for us to explain objective facts of the world. And the other is one that just aesthetically express emotive feelings of the author. It seems to me that current division of writings in korea`s universities would reflect Habermas` point of view. On the other hand, post-modernists, who regard the assertion of scientific truth itself as something that should be justified by the other narratives, raise questions on the ground of that kind of division. According to Derrida, the philosopher`s dream that he or she could find final answer for the old philosophical question on truth, will never be realized and philosophical writing can be thought as a kind of literary writings. Rorty, as a pragmatist, thinks that there is no one big philosophical tradition like onto-theology that Heidegger and Derrida has assumed. He suggests that it would be better to ask little and pragmatic questions rather than try to overcome the assumed tradition. From his point of view, we should not make a distinctions between writings according to the object and form of writings but to our purpose or aim. I guess, Derrida and Rorty`s perspective, that regards truth not as a representation of something but as a never ending redescription of redescription, would be more useful for the writing education of korea`s universities which has to bring up creative intelligentsia who could produce practical alternatives in this rapid changing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