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독어독문학과 번역

        안인경 ( In Kyoung Ahn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한국의 독어독문학은 1990년대 대학 학부제 실시와 전통적 제 이 외국어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위기의식을 갖게 되었고, 독어독문학의 정체성과 새로운 방향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이러한 논의는 2008년 한국독어독문학회가 창립 50주년을 맞으면서 더욱 활발해졌다. 관련 논의에서 번역이 자주 언급되었지만, 단편적 언급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한국 독어독문학의 역사를 다룬 논문들에서 번역은 주로 문학번역과 관련하여 등장했다. 그러한 논문들은 문학작품의 번역을 한국 독어독문학의 주요 업적 중 하나로 꼽고, 짧게나마 정확한 번역의 중요성, 오역 문제, 번역과 번역비평의 활성화 필요성 등을 지적한 경우가 많다. 독어독문학의 미래, 특히 교육의 미래와 관련한 연구에서도 번역은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었다. 문학 및 문화 분야 번역의 중요성에 상응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주장, 독어독문학도들이 문학 이외에도 경제, 법, 기술 등 모든 분야에서 번역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 등이 있었으며, 번역학과의 모델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가 구체적으로 활발히 진행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글에서는 연구자들이 한국의 독어독문학 역사 서술에서 번역을 어떻게 자리매김하고 있는지, 미래와 관련하여서는 어떠한 제안을 하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또 독어독문학 관련 학회지에 실린 번역 관련 논문을 조사함으로써 번역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진단해보았다. 번역 일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과 관련하여서는 기존 연구결과를 인용하였다. 번역 관련 현실을 알아보기 위하여서는 37개 대학 41개 독어독문학 관련 학과의 홈페이지 조사를 통해 교육목적, 졸업생 진로, 교과과정의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또, 독일어 번역사들이 어떠한 일을 얼마나 하고 있는가를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독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대한출판문화협회의 번역 도서 출판통계와 한국문학번역원의 번역지원 통계를 통해서는 독일어가 번역과 관련하여 여러 외국어들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번역에 대한 논의나 태도가 번역교육 및 번역실제와 괴리를 드러내는 원인을 짚어보고, 번역교육 및 번역학의 활성화가 가져올 수 있는 이점을 간단히 진단 해보았다. 이러한 조사분석 결과가 번역교육과 번역실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 독어독문학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 바란다.

      • KCI등재

        한국어와 독일어 댓글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대조 연구

        조국현 ( Kuk Hyun Cho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0 獨逸文學 Vol.114 No.-

        인터넷의 등장과 함께 정보 생산 및 소비의 새로운 형태로 정착된 텍스트종류 가운데 하나가 `댓글`이다. 댓글은 인터넷 상에서 이용자가 타인의 미디어 콘텐츠(신문 기사, 논평, 게시글 등)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글로서 이를 통해 이용자들 사이의 쌍방향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이러한 편리성과 장점으로 인해 온라인 신문에서는 댓글이 점차 전통적인 독자 편지의 기능을 대신하는 경향을 보인다. 댓글은 한편으로 텍스트종류 특유의 보편적인 구성 요소와 자질을 갖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그러한 구성 요소와 자질이 언어문화 공동체에 따라 상이하게 언어적으로 실현되는 특정을 보인다. 이런 점에서 한국어와 독일어 댓글을 대조 분석함으로써 그 속에 나타나는 문화적 특성을 추출하여 차이점을 밝히는 일은 문화 연구의 관점에서 의미 있는 작업이다. 댓글은 항상 선행텍스트(기사, 논평 등)와의 연관 속에서만 출현하는 반응적인 성격의 텍스트에 속한다. 이에 따라 상호텍스트적 연관성과 대화적 속성은 댓글의 구성적 자질에 해당한다. 이 두 가지 속성 가운데 대화적 속성, 특히 `말걸기 형식`이 댓글의 문화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보다 중요하다. 그 속에는 청자에 대한 화자의 태도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특정한 사안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논증 방식이 사용된다. 따라서 댓글 분석을 통해 논증 방식의 문화적 특성을 밝히는 일이 가능하다. 댓글 분석을 위해 한국과 독일 일간지에서 각각 3개의 게시글을 선정하고, 그 게시글에 달린 한국어와 독일어 댓글을 각각 60개씩 추출하여, 총 120개의 댓글을 분석자료로 삼았다. 분석 결과, 독일어 댓글의 경우 공개된 장소에서 낯선 사람과의 대화에서 통용되는 존칭 대명사 `Sie` 형식 외에도, 친칭 대명사 `ihr` 및 `du` 형식도 자주 나타난다. 독일 댓글에서 상대방에 대한 호칭으로서 이러한 친칭 대명사의 사용은 무례한 것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오히려 상대를 친숙한 의사소통 파트너로 간주하여 자연스러운 대화를 이끌어나가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다른 한편으로 매번 상대방을 호명하는 대신에, 글머리에 `an+이름` 혹은 `@+이름`을 제시하여 수신자를 밝히는 편지글의 전통적인 방식을 택하기도 한다. 한국어 댓글에서는 독일어 `Sie` 형식에 해당하는 존칭 2인칭 대명사 `당신`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대화 상황에서 `당신`은 청자를 가리키는 이인칭 대명사이나 존칭으로 사용되는 예는 대화자가 부부인 경우에 한하며, 제3자에 대해 `당신`이라고 부르는 것은 주로 말싸움을 할 때처럼 특수한 상황에서 마지못해 존대하는 의미를 내포하므로, 댓글에서 이를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공손하지 못한 표현이 된다. 이와 더불어 상대에 대한 극존칭인 `귀하`가 댓글에 등장하는 예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대체로 상대를 조롱하는 반어적 의미를 갖는다. 한국어 댓글에서도 친칭 2인칭 대명사인 `너`와 `너희`가 사용되는데, 독일어 댓글과 달리 친숙한 표현이 아니라 예절에 어긋나는 무례한 표현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와 `너희`가 자주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대부분 논쟁적인 상황에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면서 상대를 무시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이밖에 명사적으로 상대를 존중하는 접미사 `-님`이나 존칭어 `분`을 사용하는 경우와 상대의 `이름/ID`를 그냥 부르거나 `사람`이라고 칭하는 비존대 형식이 공존한다. 댓글에서 자주 사용되는 논증 방식에서도 한국어와 독일어 사이의 차이점이 드러난다. 중심적인 텍스트기능에 따라 댓글의 3가지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i) 사실의 옳고 그름을 전달하는 사실중심적 댓글, (ii) 청자를 겨냥하여 행위를 유도하는 호소중심적 댓글, (iii) 사실 관계에 대한 화자의 감정을 표현하는 정서중심적 댓글이 그것이다. 분석 결과, 독일어 댓글에서 사실중심적 댓글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호소중심적 댓글이 그 다음 자리를 차지했으며, 정서중심적 댓글은 비중이 매우 낮았다. 반면에 한국어 댓글의 경우 사실중심적 댓글과 거의 동등한 비중으로 호소중심적 댓글이 많았으며, 정서중심적 댓글도 적지 않음이 드러났다. 한국의 독자들은 상대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관철하려는 논쟁적인 글쓰기를 좋아하며, 댓글을 통해 자신의 억눌린 감정을 표출하는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Fokusprojektion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Lee, Minhaeng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獨逸文學 Vol.86 No.-

        본 연구는 독일어와 한국어의 초점투사 현상을 대조언어학적인 시각에서 논의한다. 일반적으로 강세언어로 알려져 있는 독일어나 영어를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되어 왔던 초점투사 현상이 강세가 변별적인 기능을 갖지 못하는 한국어에서도 관찰가능한 지를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동기였는데, 연구의 결과 한국어에서도 초점투사가 규칙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먼저, 독일어의 초점투사 현상을 비교적 잘 설명하는 것으로 평가될 뿐만 아니라,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교육에도 응용가치가 높은 Uhmann (1988, 1991)의 논항구조에 기반한 초점투사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어서 독일어와 한국의 초점투사 현상을 적절히 기술하기 위해서는 술어논항 구조를 세 가지 유형, 곧 술어/논항-구조, 수식어/중심어-구조 그리고 주어/술어-구조로 확대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 독일어의 초점투사와 관련한 보다 포괄적인 언어자료를 설명할 수 있는 방향으로 새로운 이론을 제안한다. 그런 다음, Uhmann의 화자중심의 초점토사 이론을 분석의 틀로 삼아 한국어의 여러 유형의 논항구조에 나타난 초점투사 현상을 독일어의 대응구조와 비교한다. 한국어 초점투사의 논의는 118개의 질의-응답 쌍으로 구성된 초점코퍼스의 음성분석결과에 기초하고 있다. 음성분석의 경우, 표준한국어를 구사하는 남녀 아나운서에게 읽게 한 후 녹음을 한 디지털 음성자료를 음성분석프로그램 Praat를 이용하여 강세분석을 시도했다. 초점투사 현상과 관련하여 독일어와 한국어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데, 술어/논항-구조가 관여된 구문의 경우 두 언어 모두 논항에 강세가 주어지며, 능격술어가 나타나는 주어/술어-구조가 관여된 구문의 경우 두 언어 모두 주어에 강세가 주어진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반면, 수식어/중심어-구조의 경우 독일어에서는 후행하는 요소에 강세가 주어지지만 한국어에서는 중심어에 강세가 주어진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두 언어간의 다른 차이점들을 들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체층위의 술어가 나타나는 주어/술어-구조가 관여된 구문의 경우 독일어에서는 술어에 강세가 주어지나 한국어의 경우 주어에 강세가 부여된다. 둘째, 무대층위의 술어가 나타나는 주어/술어-구조가 관여된 구문의 경우 독일어와 한국어 모두 주어에 강세가 주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논의의 대상을 중립초점 구문으로 한정했으나, auch/도 nur/만 sogar/조차 등 초점불변화사가 나타나는 구문으로 논의를 확대하면 초점투사에 관한 보다 일반화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카프카 『변신』의 한국어 번역본 번역비평 – 한국어 번역본(1957­-2022) 비교연구

        이하늘 한국독어독문학회 2023 獨逸文學 Vol.64 No.3

        이 글은 65년에 이르는 방대한 한국어 번역의 역사를 갖는 카프카의 『변신』의 1957년 최초 한국어 번역에서부터 가장 최근의 번역에 이르기까지 각 시기를 대표하는 여덟 종의 번역 텍스트를 선정하여 그 특징을 살피고 비교 및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변신』의 한국어 번역사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살피는 통시적 접근법을 취하되 소설 전 범위에 걸친 미시적 문장과 단어 단위의 비교를 하였다. 번역본에 대한 이와 같은 폭넓고도 세밀한 분석을 통해 오역의 발생 원인은 물론, 어떤 번역어가 선택되고, 유지되고, 혹은 변화되어왔는지에 대한 생성사적 배경을 살핌으로써, 이 논문은 『변신』의 한국어 번역사를 훑는 동시에 번역을 통한 서구 문학 수용에 담겨 있는 한국의 격동적 근현대의 언어, 사회, 정치, 문화와 그 변화의 맥락을 추적한다. 분단 이전 일제 강점기에 유년기를 보낸 초기 번역자들의 번역본에는 일본어의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는 물론 북한어가 등장하기도 하고, 군부독재 시기의 번역에서는 그 시대상이 반영된 단어의 선택이 눈에 띄며, 최근의 번역본에는 현대 자본주의의 사회상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어휘가 등장하는등, 『변신』 번역본에는 한국 사회가 겪은 격동적 근현대의 굴곡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특히, 가족 및 사회관계를 반영하는 호칭과 말투의 번역에서는 초기 번역에서 나타나는 가부장제적·위계적 관계가 보다 평등한 관계의 가족관 및 사회관으로 변화하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생동하는 과정으로서의 문화간 소통의 결과가 번역인 것이다. Franz Kafkas Die Verwandlung wurde in Südkorea von 1957 bis 2022 zahlreiche Male ins Koreanische übersetzt. Aus diesen Übersetzungen der letzten 65 Jahre werden im vorliegenden Artikel acht repräsentative Übersetzungstexte dieses Werkes ausgewählt, um sie miteinander zu vergleichen, zu analysieren und profilieren. Dementsprechend wird die koreanische Übersetzungsgeschichte von der Verwandlung in frühe, mittlere und späte Phasen eingeteilt, in denen Sätze und Worteinheiten der jeweiligen Übersetzungstexte über das gesamte Werk hinweg verglichen werden. In dieser umfassenden und detaillierten Analyse wird der Text auf Fehlübersetzung, Wortwahl und Veränderungen in den koreanischen Übersetzungen untersucht. Dadurch bietet dieser Artikel einen Überblick über die Entstehungsgeschichte der Verwandlung in Korea, deren Übersetzungen die heftigen gesellschaftlichen, sozialen und kulturellen Veränderungen dieses Landes ab den 20. Jahrhundert prägend zugrunde liegen. Darin spiegelt sich der historische Wandel in Korea wider: In den früheren Übersetzungen, deren Übersetzer ihre Kindheit in der japanischen Kolonialzeit vor der Teilung Koreas verbracht haben, tauchen nicht nur vom Japanischen beeinflusste Wörter auf, sondern auch nordkoreanische. Während die Übersetzer in der Ära der Militärdiktatur Wörter verwenden, die diese Zeit widerspiegeln, fallen in den neueren Übersetzungen Wörter auf, die die kapitalistische Gesellschaft reflektieren. In den familiären bzw. sozialen Titeln und Redeformen der koreanischen Übersetzungen zeigt sich deutlich die drastische Veränderung von der früheren patriarschalen und hierarchischen Gesellschaft zur immer gleichberechtigter werdenden. Kurzum: Die Übersetzung kann als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und als lebendiger Prozess verstanden werden.

      • KCI등재

        한국문학의 해외 번역과 보급의 현황

        권세훈 ( Se Hoon Kwon ),김갑년 ( Kab Nyun Kim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한 나라의 문학을 외국어로 번역해서 현지의 출판시장에 내놓는다는 것은 단순히 상업적인 이윤추구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외국 독자는 문학을 통해 그 나라의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며 동시대인으로서 공감대를 이루게 된다. 문학은 이처럼 번역을 통해 모국어의 울타리를 벗어나 세계문학의 한 부분이 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번역가 없는 세계문학은 공허한 개념이다’라는 말이 설득력을 가지게 된다. 번역가의 역할과 관련하여 자주 거론되는 인물이 일본 작가 가와바다 야스나리의 ≪설국≫을 영어로 번역하여 노벨문학상까지 받게 만든 에드워드 사이덴스티커(Edward G. Seidensticker)이다. 원작의 독창성과 예술성이 좋은 번역과 만날 때 외국 독자를 감동시키는 새로운 언어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특히 문학은 고유의 지속성과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인해 문화적 전파 효과가 크다. 그러나 한국문학은 세계문학 내에서의 인지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 이것은 최근 K-팝을 비롯한 대중음악과 드라마를 통해 해외에서 부각된 한류현상이나 학습만화와 같은 실용적인 도서 내지는 장르소설(인터넷소설)의 인기와도 대조된다. 물론 정통 문학이 물질주의가 더욱 기승을 부리는 일상적인 삶속에서 전반적으로 퇴조하는 것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한국문학 번역출판의 문제점은 몇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한국문학을 전문적으로 번역하는 번역가가 많지 않다. 특히 한국어를 제대로 구사할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과 문화를 이해하면서 독자적으로 번역할 수 있는 원어민 번역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현재 한국문학이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고 있지만 원어민 번역자는 전체적으로 100여명에 불과하다. 이것은 문학뿐만 아니라 인문학술서에도 해당된다. 개념어의 번역에 전문가적 지식이 요구되는 학술도서나 문체의 아름다움을 살려야 하는 문학 모두 번역가의 특별한 능력이 요구된다. 원어민 번역가의 부족은 해외출판사 입장에서도 또 다른 고민거리이다. 흥미로운 번역물이 접수된다 하더라도 그것이 얼마나 원문에 충실하게 번역되었는지 판단해줄 전문편집위원이 없기 때문에 출판을 주저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한국문학의 번역출판은 지난 10여 년 동안 양적으로 크게 성장한 것도 사실이다. 여기에는 한국문학번역원과 대산문화재단의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판 발행으로 끝난 경우가 많은 것은 ‘해외 독자가 무엇을 원하는가’보다는 ‘무엇을 보여줄 것인가’에 더 많이 치중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의 한 라디오 방송국(SWR)의 문학담당 기자이면서 한국문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서평을 써온 카타리나 보르하르트(Katharina Borchardt)는 2011년 9월 한국문학번역원이 주최한 세계번역가대회에서 한국 문학의 독일 수용에 관한 주제발표를 했다. 이에 따르면 지금까지 독일에서 번역 출판된 한국문학의 주된 테마는 여전히 남북분단이나 민주화 투쟁이며 작가들 또한 50대 이상의 남성이 대부분이다. 이 기자는 독일 사회에서 지적 호기심이 많고 서적 구매력이 높은 젊은 여성들의 취향에 맞는 작품에도 신경을 쓸 것을 권한다. 가령 현대 시민사회에서의 고독한 개인의 삶이라는 문학의 보편적 주제가 한국 사회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를 표현한 작품이 호응도가 더 높을 것이다. 번역할 작품의 선정 단계에서부터 작가, 번역자, 해외 출판사 사이의 긴밀한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 셋째, 기존의 한국문학 번역 출판은 대부분 치밀한 마케팅전략이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져왔다. 세계 출판시장에서 중소 서점이 몰락하는 대신 대형 서점의 체인화가 진행되고 국제적인 저작권 에이전시 역시 글로벌한 차원에서 움직이는 최근의 추세를 고려할 때 한국문학 역시 이러한 시스템에 편입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더구나 미국을 중심으로 문화산업의 쏠림 현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국문학의 입지를 넓히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몇몇 한국 작가의 경우 국내외 에이전시와 계약을 맺고 책을 출판하고 있으며 개별적인 성과도 내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한 부분으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시행착오를 거울삼아 많은 것이 새롭게 기획되고 감동 번역을 통해 현지 시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국제관계학’이 아닌 ‘글로벌지역학’ – 독어독문학 수용패러다임의 변환을 요청함

        이순예 한국독어독문학회 2019 獨逸文學 Vol.60 No.4

        In dieser Arbeit habe ich versucht, den koreanischen Germanisten bewusst zu machen, dass die veränderte Wahrnehmungsweise der Studierenden in Korea eine Neuoreintierung der Fakultät fordert. Das neue Bewusstsein setzt sich aus zwei Momenten zusammen. Erstens, leben wir im Zeitalter der digitalen Vernetzbarkeit, die durch technische Hilfe die räumliche Ferne zwischen Korea und Deutschland überwinden kann. Zweitens, führt die durch Technik vernetzte Gleichzeitigkeit zur Wiedereinführung der bestehenden Ungleichzeitigkeit, die sich aus der technischen Selektion unausweichlich ergibt und zur Stärkung des bestehenden Zentrums dient. Angesichts dieser beiden Momente ist das neue Bewusstsein als eine Erneuerung des Alten zu betrachten. Die Technik führt das Bestehende in seiner angepassten Version herbei und die Konstellation von Altem und Neuem verschiebt sich in der Welt des Scheins, in einer Welt, wo der Schein des Alten glorreich verpackt, die materielle Grenze triumphierend überschreitet. Dieser Triumph macht genau den Punkt aus, welcher das neue Bewusstsein durch die zeitliche Ungestimmtheit charakterisiert : das Neue kann nicht ohne das Alte bestehen. Die Überschreitung der Grenze durch Technik bleibt nur auf die virtuelle Welt begrenzt. Die materielle Schwere hängt wie immer vom Gegenstand ab. Ein Gegenstand leidet unter dieser Ungestimmtheit. Überschreitung der Grenze und Umgegrenztheit von den Grenzen machen das neue Bewusstsein als die Erneuerung des Alten aus. Die Konstellation verschiebt sich einen Schritt weiter, jedoch muss sie dem Druck von Seiten des Alten begegnen. Den materiellen Druck erneut bewusst zu machen, bildet die Herausforderung dieser Arbeit. Die Umstrukturierung der koreanischen Germanistik ist nicht nur als eine Sache der Notwendigkeit, sondern auch als die Sache der Machbarkeit zu betrachten, in dem Sinne, dass die Germanistik ihre Existenz hauptsächlich in der Tradition der individuellen Freiheit und die Utopie bergründet hat. Alle Germanisten wissen, dass Freiheit und Utopie keine Sache des Scheins, sondern ausschließlich durch Überwindung der erstarrten, konventionell-ungleichen Verteilung der materiellen Güter den Menschen ein Stück näher zu bringende Vorstellungen sind. Wir brauchen einen Paradigmenwechsel in Lehre und Forschung, jedoch können wir uns auf die Tradition der klassischen Germanistik stützen. All diese Problemstellungen habe ich in dieser Arbeit unter den Begriff 'Globale Regionforschung' zusammengefasst. ‘위기’가 ‘담론’으로 정착되는 과정은 위기극복주체가 위기를 소비하는 수준에 그쳤음을 방증한다. 오랜 시간 한국 독어독문학계를 짓누른 위기담론은 해방 이후 독어독문학 수용의 조건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그 조건의 변화에 둔감했던 독어독문학 담당자들의 각성을 요청하는 것이다. 한국사회가 개발독재를 거쳐 고도산업사회로 진입했음에도 자본의 성격을 초기자본주의 당시의 소박함에 고정시키고 이른바 ‘사회비판’을 문학의 본령으로 고수했던 일부 독어독문학 연구자들은 한국 독어독문학계가 80년대 수준의 내용과 형식을 지낸 채 계속 번성하기를 바랐다. 이 논문은 현실의 변화를 감당함에서 인문학은 사회구성원들의 의식변화를 중심에 두고 사유해야 하며 특히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의식변화를 적극 수용해야 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하지만 변화의 수용이라는 요청이 인문학의 본령을 뒷전으로 하는 ‘현실추수적’ 변형으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는 ‘자기비판’ 의식 역시 유지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논문의 후반부는 자유의 실현이 소비생활로 축소된 21세기 현실을 살아가는 지구촌 사람들이 경제적 중심부를 사유의 힘으로 말소시키는 훈련의 장으로 인문학이 등장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피력하였다. 중세 독일지역에 존재하였던 신성로마제국을 소한하는 것은 그런 사유의 훈련과정을 도입하기 위함이지, 그 제국을 새로운 모델로 제시하기 위함이 아니다.

      • KCI등재

        Stellung der deutschen Sprache an koreanischen Universita¨ten

        Lie, Kwang-Sook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獨逸文學 Vol.86 No.-

        1963년 이후로 한국에서 영어는 제1 외국어로 간주되었다. 독어, 불어, 스페인어, 일어, 중국어, 러시아어, 아랍어는 제2 외국어 고등학교에서 공식 학과목으로 인정되고 있다. 20세기에 들어오면서 제1 외국어와 제2 외국어의 위상은 날로 차이가 심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컴퓨터, 이메일 등에서 영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됨으로써 이 추세는 강화되고 있다. 1995년에 공표된 교육개혁은 제2 외국어의 위상을 날로 위협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비슷한 성격의 과를 통합해야 하는 규정에 의해 독일어과는 다른 어문학과와 합쳐져서 학부제, 광역화라는 이름하에 독자적인 학과로서 존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1995년에 64개의 독어독문학과 내지 독어과 (학생수 약 13500명)가 2001년에는 50개로 줄어들어 학생수가 약 6000명이 조금 넘는다. 실지로 독어독문학과는 생존의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독어교사의 수도 계속 줄어들고 있으며 2001년과 2002년에는 이들에게 일어, 중국어 연수과정이 제공되어 일어교사와 중국어교사로 전환이 가능하다. 각 대학 독어독문과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교과목 개편을 서두르고 있는 실정이다. 종전에 문학과 어학에만 치우친 교과목을 “매체와 문학”, “언어와 사회” 등 여러 가지 테마별로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흥미를 일깨우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로 문학과 어학의 이론과목은 축소되고 언어습득과 자역학, 문화에 관한 내용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숙고해야 할 점은 현 시대가 요청하는 교과목은 언어습득을 넘어서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과 접목된 내용이라는 것이다. 독어독문학과에서도 이에 보조를 맞추어 영어, 국어 등 다른 언어과목 또 나아가서는 법학, 음악, 예술, 철학, 경제, 사회과목 등과 연관된 교과목을 개발해야 한다. 영어의 위세가 날로 더해 가는 이 시대에 제2 외국어 위상은 제도적인 면에서 보장이 되지 않고서는 살아남기 어려운 상황이다. 교육부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의 국가 언어정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실용성과 인기의 차원을 넘어서서 제1 외국어뿐 아니라 제2 외국어도 균형있게 발전되어야 하는 전제조건과 교육환경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코리안 디아스포라, 독일속의 한국인 -파독 광부와 간호사

        이영남 ( Young Nam Le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3 獨逸文學 Vol.128 No.-

        한국과 독일의 관계에서 2013년은 무엇보다도 역사적인 한해이다. 한·독 수교 130주년이자 한독 경제협력 50주년을 맞는 해이기 때문이다. 자원도 없고 해외에 뭔가 수출할 수 있는 기술력도 없던 시절 한국은 인력을 수출했다. 파독 광부와 간호사는 한독 관계 및 독한 관계 무엇보다도 독일의 한인 디아스포라의 본격적인 출현의 시발점이며 독일에서 한국인 동포사회를 형성하는데 원동력이 되었다. 본 연구자는 2004년 겨울학기부터 2009년 여름학기까지 각각 독일의 마인츠대학과 보쿰대학 한국학과에서 강의를 하면서 파독 광부 및 간호사들을 많이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이들의 독일에서의 삶은 한마디로 대한민국 근대사의 한 부분이며 아직 현재형으로 쓰여지고 있기데 더욱 매력적이다. 이들과 나눈 수많은 이야기와 인터뷰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한인 디아스포라의 고향과 정체성의 문제 및 세계화 시대 고향이 갖는 의미를 독일로 간 그들을 통해 조명하고 있다. 제 1장에서는 60년대 독일에 파견되어 탄광과 병원에서 열심히 땀흘리며 일하면서 소중한 외화를 벌어들여 한국 경제발전에 많은 보탬이 되었던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이 계약기간이 끝나고 대부분 한국으로 다시 돌아갔지만 일부는 독일에 남아서 독일에서 한인교포사회를 형성하는 일세대로 거듭나고 있음을 서술한다. 제 2장에서는 그들의 자녀들 즉, 교민 2세대들이 독일 사회에서 겪는 정체성의 문제가 독일사회의 전반적인 이민자를 바라보는 시선과 관련 이민자 정책에도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제 3 장에서는 독일에서 살고 있는 한인들의 고향과 정체성에 대한 문제가 교민 1세대오 교민 2세대 간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서술한다. 제 4장에서는 교민 1세대 중 과거의 향수를 잊지 못하고 고향인 한국으로 다시 돌아와 남해의 독일 마을에 살고 있는 간호사와 그녀들의 독일인 남편을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고향으로 돌아온 그들은 이제 독일을 그리워한다.

      • KCI등재

        인터넷 기반 교수 학습 과정의 문화적 차이 -한국의 DaF 수업에서 “페이스북”을 활용한 이러닝

        강태호 ( Tae Ho Kang ),디륵슐로트만 ( Schlottmann Dirk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4 No.-

        이 논문은 2011년 3월 2일부터 한국교원대 독어교육과의 전공수업들에 활용하고 있는 ‘페이스북’ 프로젝트인 ‘Spielplatz Deutsch’의 연구 진행과정과 결과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최근 교수-학습 이론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웹 2.0과 소셜 네트워크, 특히 그 중심에 서 있는 ‘페이스북’에 대해 개괄한다. 그리고 ‘페이스북’ 프로젝트 ‘Spielplatz Deutsch’의 본격적인 연구에 관한 기술 부분에서는 ‘페이스북’의 기술적인 설정과정과 보안 조치 등에 대해 설명한 후, 독일어 수업에서 이러닝을 위한 소셜 네트워크의 도입이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어떤 콘텍스트에서 의미를 지니는지 기술한다. 그리고 이 ``Spielplatz Deutsch`` 프로젝트의, 잠정적으로 중간보고 형태를 취할 수밖에 없는 첫 번째 분석에서는 가상 공동체는 반드시 오프라인 환경을 배경으로 고찰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인터넷 사용자들과 독일의 인터넷 사용자들 사이의 소셜 네트워크를 비롯한 인터넷 환경에 대한 수용태도의 차이를 밝혀본다. 소셜 네트워크의 의미 또는 무의미에 대한 최근 논쟁들은 웹 2.0이라는 혼란스러운 키워드로 대변되는 새로운 디지털 세계의 사회적 수용이라는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러한 수용의 문화적 차이는 한국의 페이스북이 독일의 페이스북과 동일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수업에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미디어 교수법적 능력뿐 아니라 사회인류학적, 사회적 요소들에 대한 고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독어독문학연구에 나타난 ' 한독 교육-문화 교류관련 연구 ' 양상(1) : ' 독어교육 연구 ' 를 중심으로

        김황진,차제순 한국독어독문학회 1998 獨逸文學 Vol.65 No.1

        In dieser Arbeit geht es darum, die Forschungsarbeiten zum Deutschunterricht wissenschaftlich zu systematisieren. Bei den Untersuchungs-materialien, die bier aufgenommen sind, hundelt es sich um 222 wissen-schaftliche Aufsa¨tze, die im Zeitraum von 1945-1994 in den koreanischen Fachzeitschriften, Festschriften und universitaren Aufsatzsammlungen erschienen sind. Der Hauptteil dieser Arbeit enthalt drei Teile: Aspekte der Erforschung der Geschichte des Deutschunterrichts in Korea, Aspekte der Forschung im Sprachunterricht, Aspekte der Forschung im Literaturunterricht. Gliederung der Arbeit: I. Einleitung II. Hauptteil II.1. Aspekte der Erforschung der Geschichte van 'Deutsch al Fremdsprache' in Korea (Geschichte des Deutschunterrichts in Korea) (11) II.2. Aspekte der Forschung im Sprachunterricht (185) II.2.1. Aspekte der theoriebezogenen Forschung (45) II.2.2. Aspekte der pracisbezogenen Forschung (143) II.3. Aspekte der Forschung im Literaturunterricht (40) II.3.1. Aspekte der theoriebezogenen Forschung (6) II.3.2. Aspekte der praxisbezogenen Forschung (34) III. Schluß Die Forschungsergebnisse werden wie folgt zusammengefaßt: ① Die meisten koreanischen Forscher halten die koreanische Deutschunterrichtssituation in der Krise. Um diese Krise zu u¨berwinden haben viele Forscher einen realistischen Sprachunterricht betont: im Bereich DaF muß die Sprachkompetenz angezielt werden, im Bereich Literaturunterricht die kritische Kompetenz zu Literatur und Gesellschaft. ② In der letzten Zeit wird der Unterricht von Grammatik, U¨bersetzung und Lundeskunde in der DaF-Forschung wieder starker betont. ③ Nur wenige Forscher haben sich fu¨r die Literaturunterrichtsforschung interessiert. Die Anzahl der Arbeit ist nicht ausreichend und die behundelte Themen sind auch nicht meter farbenreich. Aber es kann positiv bewertet werden, daß der Grundstein zu der Literaturunterrichtsforschung gelegt wi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