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경산 소월리 유적 출토 人面透刻土器와 목간의 기능 - 목간의 기능과 농경의례 -

        이용현(Lee Yong Hyeon)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1 동서인문 Vol.- No.16

        경산 소월리 유적 수혈 유구에서는 목간과 함께 인면투각토기, 시루토기, 나뭇가지다발 목제품 등이 동반 출토되었다. 나뭇가지 다발은 풍작기원 관련 주술행위와 유관하며, 시루토기는 경산 지역에서 고래로 제의에 활용되었다. 인면투각토기 역시 제의과 유관하며, 묘사된 인면은 지역사회의 농경과 안녕을 관장하는 토착신을 의인화한 것으로 보인다. 민속지적 사례로 볼 때, 영동신과 그 성격이 흡사해 보인다. 한편 이들과 함께 매납된 목간 역시 제의물의 용도로서 헌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사회의 소출이 기록된 목간의 내용, 75cm라는 장대한 외형은 풍작기원의 취지에 부합한다. 이 목간은 원래는 관문서로서 작성되었다가 그 문서적 기능이 폐기된 후, 2차적으로 지역사회의 농경의례에 활용되었다. 용도폐기 된 관문서가 지역 농경의례에 활용되었다는 것은, 국가가 지역사회의 농업 및 농경의례까지도 깊숙이 간여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즉 토지개간과 수리시설 확충, 농업진작을 매개로 국가의 지역사회에 대한 장악이 국가의 저변 바닥까지 관철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 6세기초에 불교가 공인된 이후인 6~7세기 단계에도 여전히 지역사회에서는 도교 혹 토착색 짙은 종교와 신앙이 지역사회를 규제하고 있었으며, 국가 역시 지역 관리에 토착 종교를 존중하며 이에 의존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pit remains of Sowol-ri in Gyeongsan-si, human face carved earthenware, Siru earthenware, and wooden items made with bundles of twigs were found along with a wooden tablet. The bundles of twigs are linked to the practice of witchcraft relating to good harvest prayers and the Siru Earthenware was used to steam the underfloor pipes of the house in the Gyeongsan area. The Human Face Carved Earthenware is also related to ritualism as the human face depicted is believed to be a personification of the indigenous spirit responsible for the farming and well-being of the local community. According to folklore, the nature of Yeongdongshin is similar.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Wooden Tablet, which was buried together, was also used as a ritual object. The Wooden Tablet records the local community’s harvest and the grand appearance of 75cm i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good harvest prayer. The Wooden Tablet was originally prepared as an official document, but after its documentary function was discarded, it was used for farming rituals in the local community. The use of discarded official documents in local agricultural rituals evidences that the state was deeply involved in the farming rituals of the local community. In other words, the state"s control of the community was being carried out to the bottom through land reclamation, expansion of repair facilities, and agricultural promotion. Even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in the early 6th century, Taoism or indigenous religions and faiths still regulated the community and the state was also seen to rely on local administration, thereby respecting indigenous religions.

      • KCI등재

        나주 복암리 목간 연구 현황과 전망

        이용현(Lee, Yong-hyeon) 한국목간학회 2013 목간과 문자 Vol.10 No.-

        7세기 백제 특히 남방의 문서행정을 미크로하게 보여주는 복암리 목간을 통해 역사복원을 전개해 나가는 것은 백제사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고대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백제 촌락에 관한 문서, 인력관리등 호적을 엿볼 수 있는 문서, 국내에서는 최초로 확인된 定의 감검표기 등 그 가치는 대단히 높다. 이 같은 자료에 대한 히라카와의 선행 연구는 매우 시사성이 높다. 그 외 여러 논자들에 의해 중요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다만 불확실한 사진자료에 입각하여 추측성 가설이 선행하는 경향도 짙다. 여기에는 보고자 측에서 양질의 사진자료를 공개하지 못한 데서 기인하는 바가 크다. 복암리목간의 경우는 이처럼 기초판독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아울러 발굴기관에서도 양호한 사진을 다른 형태로 재공개해주어야 할 것이다.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Bogamri are very important to study about history of not only Baegje but also East Asia. Bogamri wooden tablets are documents of Baegje villages, census registration, inspection sign. Main study were written by Mimami Hirakawa and otherwise. But part of studies on read to letters must advance.

      • KCI등재

        목간으로 본 신라의 문자ㆍ언어 생활

        이용현(Lee Yong-hyeon) 구결학회 2007 구결연구 Vol.18 No.-

        목간은 신라의 언어와 문자 생활을 복원할 수 있는 1차 사료 중 하나이다. 신라의 목간은 당시 왕경이었던 경주와 지방 지역에서 출토되고 있으며, 연대 폭은 6세기에서 9세기까지의 것이다. 본고에서는 국어 연구에 중요한 경주의 월성해자, 안압지와 경남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목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각각 6세기에서 8세기에 이르는 왕경과 6세기 중엽 지빙에서의 언어와 문자의 자료다. 월성해자 목간에서는 한글 어순에 의한 한자를 표기하였고, 반복부호와 경계부호를 사용하였다. 안압지 목간에서는 같은 ‘젓’(젓갈)을 나타내는 음독어 ‘助史’와 한자 즉 석독어 醯 혹은 ?이 동시에 병용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또 ‘가오리’를 나타내는 ‘加火魚’의 예에서 음독과 석독이 혼용되는 사례를 볼 수 있다. 또 ‘加火魚와 ‘전복’을 나타내는 ‘生鮑’등과 같이 15세기에 확인되는 용자의 기원이 8세기 신라로까지 소급할 수 있게 되었다. ?와 忽의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구려의 영향이 8세기까지 남아 있다. 성산산성 목간에서는 동명이기 (같은 지명에 대한 다른 표기)와 전도부 등을 볼 수 있다. 이들을 통해 신라의 문자언어를 생생하게 고찰할 수 있다. Wooden tablets are important material for reconstructing language and letters of Silla. Wooden tablets of Silla that are excaveted from the capital and localities are from 6th century to 9th century. This paper made an investigation into tablets from Anabji pond, Wolseong moat and Seongsan castle. Sentence made the arrangement of Hangeul word at times and made use of the repitition, replacement and section signs. Both phonetic mark 助史 and meaning mark 醯 or ? namely salted fish are used. Ray namely 加火魚 and ear shell namely 生鮑 are recognized. These appeared in Sejongsillokjiriji that is 15th century document must go back to at least 8th century. Silla are influenced by Koguryeo in vocabularies for example iI, m,. Several spellings made used for same name of place.

      • KCI등재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연대 -壬子年 해석을 중심으로-

        李鎔賢(Lee, Yong-hyeon)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종래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연대는 함안 즉 안라가 멸망하는 561년을 중심으로 해서 6세기 중엽으로 보았다. 이후 임자년 기년 목간의 출현이 출현하였고, 또 목간 출토층인 동성벽 부엽층에서 공반된 신라 토기가 6세기 말 혹 7세기 초로 편년되었다. 아울러 부엽층의 일괄 목간은 같은 시기에 폐기되었을 것이며, 이들은 산성 축조와 관련하여 길지않은 일정 시기에 제작 활용되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임자년을 592년으로 비정하고 부엽층에 일괄 매립된 254점의 목간이 일괄품이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함안 성산산성 목간은 592년을 중심으로 한 시기에 제작 운송 매립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어 그러한 편년을 중심으로, 592년에 앞서 589년 통일제국 수의 등장과 연동된 동아시아의 긴장과 격동에 주목하였다. 591년 경주 남산신성의 축성 사업 등과 연계하여, 수 나라의 중국 통일과 대제국 출현이라는 충격 속에서, 고구려-백제-신라와 왜가 연동하여 대응하는 과정의 일환으로서 왕경의 남산 신성 축성과 함께, 지역의 요충인 함안 성산산성의 축성을 해석하였다. Traditionally, the era of Wooden Tablets in Seongsan Fortress in Haman was regarded as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focusing on 561 years after the fall of r Anra. Later, a Wooden Tablet dating back to the year of 壬子年 appeared, and Silla earthenware, which was supplied from the wooden foundation, was divided into the late 6th century and early 7th century. In addition, the collective Wooden Tablets of the lower layers would have been discarded at the same time. Collective Wooden Tablets may have been produced and used at some time in relation to fortress construction. It was determined t hat 254 Wooden Tablets buried in culinary layer area would have been considered as a collective item, as the year of the owner was 592 years old. Accordingly, it was deemed that the wooden section of the fortress was manufactured and transported around 592 years ago. Then, focusing on the division, the East Asian tension and turbulence linked to the emergence of the unified empire in 589 prior to 592 was noted. In 591, the construction of the Haman fortress was interpreted as a key element of the area, alo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palace ie. Namsan Sinseong fortress or evacuationfor, as part of the process of cooperating with Goguryeo, Baekje, Silla, and Wa, Japan in the aftermath of the unification of China and the emergence of the Great Empire Sui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