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지털 방송콘텐츠 제작단지의 클러스터 구축과 활용 방안 모색

        이옥기(Lee, Ok Ki)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3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8 No.2

        This study is based on the idea that the production of digital broadcast contents should be activated as one of the solutions for developing the production industry of broadcast program. From the point of view, building a complex of producing digital broadcasting contents as a cluster is necessary for activating the production. The study is aimed at firstly analyzing the problem of existing production equipment and its improvement as a prerequisite of raising the necessity of building the cluster and secondly seeking for how to apply i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xperts, this study highlights that not only production companies of broadcast program, unlike outdoor(broadcast) set, but also production facilities and its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should be concentrated in a certain place. Also, the study recognizes production facilities required for manufacturing a digital broadcast program and the support facilities. The production facilities enable to collect digital broadcast contents in a place, produce and distribute them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infrastructure of manufacturing digital broadcast contents will be set up and they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the future strategy as an empirical reference. 본연구는 방송프로그램 제작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디지털방송콘텐츠 생산 활성화를 위해 필수적인 제작단지를 클러스터로 구축하기 위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조건으로 기존의 제작 시설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으며,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기존의 야외세트장과는 달리 방송 제작사들과 관련기관은 물론 제작시설과 기술 그리고 정보를 일정 지역내에 집중시켜야 함을 강조하고, 이를 위한 선행조건으로 디지털 방송 제작에 필요한 제작 시설과 제작 지원 시설을 파악했으며, 클러스터 전략을 통해 활용하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이는 디지털 방송콘텐츠를 한곳에 집적하여 제작과 유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콘텐츠의제작 인프라를 구축하고, 미래전략 수립에 실증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있을 것이다.

      • KCI등재

        스마트TV 콘텐츠의 유통에 관한 연구

        이옥기(Ok-Ki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1

        스마트TV는 사용편의성, 풍부한 전용 콘텐츠 제공, 다양한 주변기기와의 연동 등으로 방송, 쇼핑, 교육, 의료, 미디어, 원격제어 등 다양한 산업을 아우르는 IoT 기본 플랫폼이자 스마트홈 허브(Hub)가 될 것이다. 스마트TV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콘텐츠를 인터넷 기반의 플랫폼을 통해 유통하는 가치사슬의 통합구조가 적용된다. 본 연구는 스마트TV용 콘텐츠를 매체에 상관없이 유통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제도적으로, 지상파 컨텐츠의 폐쇄적인 유통 정책과 통신사의 망중립성 원칙의 미 준수 그리고 TV 제조사 중심의 스마트TV 생태계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제작측면에서는 소규모 앱 개발사의 기술개발의 어려움과 스마트TV 앱은 유료화가 어렵다는 것이었고, 소비자 측면에서는 신규 스마트TV 구입 부담 등이 유통을 저해하는 요인 등으로 나타났다. 개선방안은 스마트 TV에서도 앱의 구현과 이용이 활성화 되도록 정책적으로 스마트TV 콘텐츠 사업자와 앱 개발 촉진을 위한 기술 개발 지원 제도가 필요하고, 통신사업자의 망 중립성 준수와 앱스토어 운영사들이 네트워크 품질을 보장하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Smart TV will be an IoT basic platform and smart home hub that covers various industries such as broadcasting, shopping, education, medical, media and remote control by interworking with various peripheral devices. Therefore, the integrated structure of the value chain that distributes the contents including the program through the Internet-based platform is applied to the smart TV.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o distribute contents for smart TV regardless of media. As a result, institutional problems such as the closed distribution policy of terrestrial content, the failure of telecommunication companies to adhere to the principle of network neutrality, and the smart TV ecosystem centered on TV manufacturers have arisen. On the manufacturing side, it was difficult for small-scale app developers to develop their technology and smart TV apps were difficult to charge. In terms of consumers, the burden of purchasing new smart TVs was a factor that impeded distribution. In order to improve the smart TV,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application and use of the smart TV, a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echnology development support for smart TV content provider and application development promotion. Also, it is necessary to comply with the network neutrality of the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that there is a need for an institutional It was also suggested that a government support system for technology development for promoting smart TV application development is needed.

      • KCI등재

        스마트 TV의 가치사슬에 따른 제작 유연화에 관한 연구

        이옥기(Ok-Ki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4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기존의 방송과 차별화되는 스마트 TV의 가치 사슬 구조를 파악하고, 제작 기법과 제작 시스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TV를 통해 제공되는 부가서비스는 방송형은 다른 TV프로와 동시 시청이 가능한 형태로, 통신형은 앱을 TV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며, 맞춤형은 스마트 TV 콘텐츠의 미래를 주도하는 다양한 방식의 콘텐츠가 제공될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부가서비스는 제작의 변화로 이어지면서, 인터페이스의 변화와 웹 기반 제작 그리고 홈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제작시스템과 사용자 참여제작이라는 제작시스템의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value chain structure of a smart TV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broadcasting, and to examine the changes in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duction systems. As a result, the Smart TV value-added services are broadcast type to another TV program and simultaneously watch two possible forms provid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ype is provided with a service that can use the app on your TV, custom is the future of Smart TV content the content of the various ways been found to be provided . As this additional service is followed by a change in production, was investigated as to cause a change in the Web-based interface, the change of production and production system and the production system made to connect to a home network user participation.

      • KCI등재

        3D 영상에 대한 매체별 수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

        이옥기 ( Ok Ki Lee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1 언론과학연구 Vol.11 No.1

        3D 영상은 인간이 현실에서 인지하는 현실세계에 보다 근접한 영상을 시청자들에게 제공하고 이를 받아들이는 시청자는 경험 주체로서 현실경험에 가까운 반응을 보이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레즌스는 입체 영상이라는 사실을 지각하지 못하고 프로그램 장면 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듯한 느낌으로 개념화하고, 3D TV와 3D가상현실에서 즉 매체에 따라서 수용자 특성 요인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프레즌스 효과는 어떠한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수용자들은 첫째, 3DTV와 가상 현실로 구분되는 매체에 따라서 프레즌스 경험에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둘째, 수용자들은 환경적인 요인 즉 사용용이성과 입체시 피로도, 깊이지각에 따라 매체별로 프레즌스 경험의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수용자의 특성 가운데 몰입경향이나 성별 그리고 나이는 3DTV의 시청 경험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가상현실에서는 몰입경향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었지만, 성별과 나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고, 3D TV와 가상현실을 통해서 수용자들은 각성과 즐거움의 효과를 나타냈다. 3D image provides viewers with images closer to the real world and viewers, main agents which experience, show response nearly close to actual experience. Accordingly, in the present research, presence is conceptualized as sensation of being sucked into the scene viewers watch with no awareness of 3D image. The present research plans to investigate what viewers` characteristics affect when they experience 3D TV and 3D virtual world and what presence effects are. The results demonstrate the following three: First, viewers experience different sensation of presence by media such as 3D TV and virtual world. Second, viewers experience different sensation of presence by environmental factors of each medium such as usability, fatigue level while watching 3D image, and sensation of depth. Third, tendency to be immersed does not affect in virtual world, but gender and age are significant factors and viewers present pleasure and awakening through 3D TV and virtual world.

      • KCI등재

        드론카메라의 개인정보침해 특성과 개인영상정보보호를 위한 방안 탐색

        이옥기 ( Ok-ki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9 No.4

        드론카메라는 근접비행을 통해 건물안의 실내 촬영에서 특수 촬영까지 저고도 항공촬영이 가능하다. 이는 방송과 영화 등 영상 제작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에 있어서 제작비 절감이라는 효과를 나타낸다. 게다가 드론 영상화면은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입체감을 담아낼 수 있고, 생동감 넘치는 장면들로 표현할 수 있다. 특히 드론 카메라는 화면 구도에 대한 전방위적 구도로 사실적인 시각을 제공할 수 있고, 촬영장비로 인해 제작 환경에 경제성을 안겨준다는 점에서 점차로 사용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이처럼 드론 카메라의 유용성과는 반대로 드론으로 촬영된 개인정보영상은 피촬영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생산·이용·유통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라는 측면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이러한 시의성을 주목하고 드론카메라가 가져올 개인 정보침해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전문가심층인터뷰(FGI)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드론 카메라로 침해될 수 있는 사생활 침해의 유형은 안전성 문제와 사생활 침해 특성 그리고 법제의 미비와 범죄이용 가능성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드론카메라의 개인영상정보보호를 위한 방안을 가이드라인을 제정 또는 개정하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Low-altitude aerial photography is possible with the drone camera, ranging from indoor shooting inside a building to exceptional close-up photography. This graphic depicts the impact of lowering production costs on video production, such as broadcasting and filmmaking. Furthermore, the drone video screen may capture never before seen three-dimensional effect that can be expressed with vivid situations. Drone cameras, in particular, are continuously expanding their field of usage, as they can provide a realistic image with an omnidirectional composition on the screen, as well as providing economic feasibility for the production environment due to the shooting equipment. Contrary to the usefulness of drone cameras, personal information images captured by drones can be produced, used, and distributed regardless of the intent of the subject, raising concerns in terms of invasion of privacy. Paying attention to such timeliness, we analyzed experts’ perceptions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caused by drone cameras through in-depth expert interview (FGI). As a result, the types of invasion of privacy that can be infringed by drone cameras were found to be safety issues, privacy invasion characteristics, lack of legislation, and the possibility of criminal use. Accordingly, a plan for protecting personal image information of drone cameras was presented as a way to establish or revise guidelines.

      • KCI등재

        프레즌스 측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이옥기(Ok-Ki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8 No.4

        본 연구는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시청자들이 느끼는 사실감의 개념을 프레즌스로 보고 텔레비전에 적합한 프레즌스 측정 도구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프레즌스를 구성하는 하위 개념을 밝히고 신뢰도와 타당성이 확보된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레즌스의 결정요인으로 텔레비전의 사실성에 주목하고 적합한 하위 항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즉 미디어의 외형적 특성과 미디어의 내용을 감각적 리얼리티와 인지적 리얼리티로 나누어 측정 문항을 개발하고 통계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2단계의 조사를 진행하였다. 1차 조사를 통해 선정된 프레즌스 측정 항목을 대상으로 2차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증적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레즌스를 경험하게 하는 첫 번째 특성은 감각적인 리얼리티 즉 미디어 형태적 요인으로 감각적 충실성, 이미지 충실성, 이미지 사실성 요인이 밝혀졌다. 두 번째 특성은 인지적 리얼리티, 즉 미디어 내용 요인으로 사회적 사실성, 관계적 사실성, 현실적 사실성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하위요인을 종합해 볼 때 HDTV 시청 환경에서 프레즌스 경험은 미디어 형태와 내용의 사실성이라고 개념화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we regard the notion of reality that television viewers feel as presence, point out problem of measurement tool that appropriate for TV, clarify the subordinate concept of presence, and develop measurement tool that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To achieve this, we paid attention to reality of television as a determinant of presence and tried to elicit proper subcategories. That is, we progressed two steps research that distinguished external characteristic and content of the media into sensible reality and cognitive reality, and develop measure item and verified statistical validity. We analyzed the second research result about measurement category of presence selected by first research and then we di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first characteristic that make people experience presence is sensible reality, that is, it is the factor of sensible faithfullness, image faithfullness, and image reality as the form factor of the media.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cognitive reality. That is the factor of social reality, relational reality, and practical reality as the factor of media content. Synthesizing these subordinate factor, we can conceptualize presence experience as a reality of media form and content in HDTV viewing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 사용 행태와 사용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옥기(Ok-Ki Lee),백선기(Seon-Gi Baek)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1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2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의 스마트화를 넘어서 미디어의 이용행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의 사용의 편리성은 사용자 관점에서 스마트폰의 사용여부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이용행태, 특히 매체환경에 따른 사용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인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사용자들이 인식하는 사용성 요인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그리고 사용자의 만족도는 어떠한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한국인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의 이용행태는 사용영향과 사용의도 그리고 사용이유에 있어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었으며, 둘째, 사용성의 요인은 학습성과 편리성 그리고 작동성과 단순성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는가에 따라 프로그램 만족도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mart phones can basically change the usage patterns of media, which surpasses their primary role making mobile phones smart. Convenience in using smart phones is a factor for consumers to decide whether they use smart phone or not.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in smart phone usage patterns which are caused by specific media circumstances. With this purpose, the present study focuses main causes of smart phone usage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smart phone usage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Chinese and Korean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 the next two following. First, there both exist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influence, intention, and reason of usage when investigating usage patterns between Chinese and Korean college students. Second, learnability, convenience, and easiness of operation, and simplicity are extracted as main causes of smart phone usage. The satisfaction level of programs depends on whether convenience is guaranteed in using smart phones.

      • FRP로 외부 보강된 철근 콘크리트 보의 보강 변수에 관한 연구

        이옥기 ( Lee Ok Ki ),수진 ( Lee Su Jin ),신영수 ( Shin Yeong Soo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5 No.1

        In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 about the thickness of FRP, the change of strengthening length ratio, the kind of FRP and the change of beam size is as follows. The increase of flexural member strength is effective on the increase of ductility. The increase of the FRP strengthening ratio is not effective on the flexural capacity and strength but effective on the ductility. The increase of the FRP strengthening length is effective on the flexural capacity and strength. The carbon fiber sheet on FRP is the most effective on the stiffness and durability. The change of beam size on invariable strengthened ratio and reinforced ratio is a little strengthening effect as increasing beam size. That is, imposing flexural capacity as increasing height/width ratio of beam is more concrete than strengthening material.

      • KCI등재

        스마트 TV 생태계의 개인데이터보호

        이옥기(Ok-Ki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스마트 TV는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들이 그대로 상속되어 스마트TV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는 신규 위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데 주목하고, 스마트 TV의 개인정보 이슈와 개인정보보호의 필요성 그리고 개인정보보호 방안은 어떠해야 하는지 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TV의 개인정보보호의 범위, 구체적인 유형이 도출되었고, 스마트 TV의 개인정보보호 규정이나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은 기술적인 측면은 개인정보 암호화를 사전에 마련하고, 카드결제등은 보안채널을 이용하여 암호화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며, 관리적 제도적 측면으로는 내부 개인정보 유출을 경고하고, 불필요한 개인정보 수집 및 저장을 차단하는 방안이 필요하고, 추가 개인정보의 수집 목적을 이용자에게 명시하고 동의를 얻을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sibility that new threats to smart TV services are likely to occur due to inherited security threats that can occur in the Internet environment, and the need for privacy information, And how to protect the information. As a result, the range and specific typ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smart TVs have been derived, and the necessity of privacy regulations or guidelines of smart TVs has emerged. In particular, measure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require measures such as encrypting personal information in advance for the technical side, and using encryption algorithms using secure channels for card settlement, etc. In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al aspect, It is necessary to warn against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to prevent unnecessary collection and stora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o conclude tha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collecting additional personal information to the user and obtain con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